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뇌도 운동이 필요해 치매 환자 100만 명 시대, 주위를 둘러보면 부모님이 치매에 걸려 간병을 하고 있거나, 치매로 장례를 치른 집이 참 많습니다. 내 차례는 언제 올까 점점 불안해지고요. 치매는 정말 예방할 수 없는 불치병일까요? 오늘 ‘추천! 더중플’에선 뇌와 치매 전문가 인터뷰를 소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치매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고자 김성윤(65)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를 만났습니다. 김 교수는 1994년부터 노인정신장애, 경도인지장애, 우울증 등 노인정신질환을 연구해 왔는데요.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그의 연구실에 도착했을 때, 낯선 풍경이 펼쳐졌습니다.

김 교수는 의자에 앉는 대신 꼿꼿이 선 채로 컴퓨터 모니터를 바라보고 있었는데요. 자세히 보니 책상 아래 워킹패드(걷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운동 기구)를 놓고 가볍게 걷고 있었습니다. “평소에 걸으면서 일하시냐”고 묻자 김 교수는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책을 봐야 할 때처럼, 눈으로 일할 때는 웬만하면 걷는다”고 했습니다.
연구실에서 워킹패드 위를 걷고 있는 김성윤 교수. 김종호 기자
그러면서 “이렇게 매일 운동하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치매는 ‘정신의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운동으로 치매를 막을 수 있다’니, 기자는 의아한 마음으로 되물었습니다. “운동이 뇌 건강에 도움이 될까요?” 김 교수는 확신에 찬 얼굴로 이렇게 답했습니다. “치매는 유전이 아니에요. 운동을 통해 근육을 단련하면 치매를 막을 수 있고, 늦출 수 있습니다.”

치매 걸린 아버지와 태극권
중앙일보 '더,마음'팀과 인터뷰 중인 김성윤 교수. 김종호 기자

Q : 그동안 많은 치매 환자를 진료하셨죠. 운동으로 치매가 호전된 사례가 있었나요?

치매 초기 단계의 70대 할머니가 오셨는데요. 인지능력이 약간 떨어진 상태였고, 뇌가 위축돼 있었습니다. 그래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었거든요. 2~3개월마다 약을 처방해 드리면서 경과를 봤는데요. 상태가 빠르게 나빠졌어요. 혼자 사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그러다 시골에서 연배가 비슷한 고모가 오셨어요. 극단적으로 활발하고, 깔끔한 분이었어요. 계속 청소하고 운동하고 돌아다닌 거예요. 할머니와 함께 산에도 가고, 남대문시장·올림픽공원에 자주 갔다고 해요. 두 분이 함께 매일 걷는 운동을 한 셈이죠. 1년 사이에 할머니 얼굴이 까맣게 탔어요. 체중도 꽤 줄었고요. 중요한 건 눈빛이 총명하게 변했다는 겁니다. 인지 기능 검사를 해보니까 점수가 올라갔더라고요.


Q : 교수님의 아버님도 치매셨다고요.

아버지는 치매를 앓다가 2년 전에 94세로 돌아가셨어요. 80대 후반에 치매 판정을 받았는데, 거의 직전까지 운동하셨어요. 40년 정도 태극권을 하셨는데, 전국 태극권대회에서 금메달도 따셨죠. 노년층에서 80세 이상이 거의 없다 보니 받으셨던 것 같기도 해요.(웃음)


Q : 태극권이 치매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됐을까요?

물론입니다. 태극권은 동작을 천천히 해야 하는데요. 마음을 평온하게 유지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정신건강에 좋아요. 또 상체 근육은 힘을 빼고, 하체 근육과 코어 근육을 주로 사용합니다. 치매에 걸리면 인지기능이 떨어지면서 신체기능도 나빠지거든요. 아버지는 치매로 뇌 기능이 떨어졌으나, 신체기능을 늦게까지 유지하셨어요. 그런 점에서 도움이 많이 됐다고 봅니다. 어쩌면 치매가 더 일찍 왔을 수도 있는데, 운동을 오래 하셨기 때문에 늦출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김 교수는 뇌 건강을 위한 운동에는 ‘세 가지 축’이 있다고 설명하는데요. 뇌세포를 활성화시켜 치매를 막는 세 가지 축은 대체 무엇일까요? 김 교수 인터뷰 전문에선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운동하면 뇌가 커진다?
-근육량과 치매는 관계가 있을까?
-근손실은 뇌 건강에 치명적?
-사회 생활, 인간 관계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
-살 빼는 약 위고비가 치매를 막아준다?
-뇌 건강을 위한 ‘세 가지 운동 축’은?
-김 교수가 추천하는 운동법은?

▶“아버지 치매 이렇게 늦췄다” 정신과 의사의 ‘뇌 펌핑’ 비법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025
추천! 더중플 - 뇌도 운동이 필요해 ▶70대 치매 노인이 시 썼다…뇌 되살린 하루 '한 숟가락'
기억력 끌어올리는 훈련법부터 하루 한 숟가락으로 뇌에 활력을 불어넣는 ‘슈퍼 푸드’의 정체까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0058

▶섹스만큼 사랑 호르몬 뿜는다…딴사람 까는 ‘뒷담화’ 대반전
암, 당뇨, 비만, 우울증까지 막아주는 옥시토신 호르몬의 비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412

▶차 막히면 욕부터 나온다? 당신은 몰랐던 ‘ADHD’ 증상
대화에 집중을 못하고, 마감 시간을 자주 어기거나, 충동구매로 늘 후회한다면 당신은 성인ADHD?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9443

▶숏폼 빠진 뒤 영화관 못가죠? 당신의 뇌, MSG에 절여졌다
학습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뇌의 ‘아웃풋’ 훈련법을 해마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가 알려드립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0294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289 “인류애 충전 완료”…가게 앞 무거운 택배 옮겨준 중학생 [이슈클릭] 랭크뉴스 2025.04.15
44288 민주당 ‘3파전’ 국힘 ‘5파전’ 경선 대진표 완성 랭크뉴스 2025.04.15
44287 “나라 다쳐 마음 아파” 캄보디아 이주민들, 축제 대신 산불 성금 랭크뉴스 2025.04.15
44286 이재용, 中 출장 효과…세계 1위 전기차 BYD 핵심부품 뚫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4285 일본, 미국에 "한반도·남동중국해 '하나의 전쟁구역'으로"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4284 나라 경제야 어떻게 되든 말든…[그림판] 랭크뉴스 2025.04.15
44283 증명서 떼러 경찰서 갔다가…살인미수 피의자 16년 만에 덜미 랭크뉴스 2025.04.15
44282 국힘 주자 하나같이 “반명 빅텐트” 실제로 ‘연대 결성’ 미지수 랭크뉴스 2025.04.15
44281 소상공인 50만 원 지원…‘12조+α’ 추경 내용은? 랭크뉴스 2025.04.15
44280 코리안드림? "브로커에 수천만원 줬는데 1년 만에 쫓겨날 위기" 랭크뉴스 2025.04.15
44279 ‘계엄 문건’ 피싱 메일 뿌린 북한… 120명 개인정보 털렸다 랭크뉴스 2025.04.15
44278 6000억 제안한 조선미녀, 독도토너 품나…매각 협상 재개 [시그널] 랭크뉴스 2025.04.15
44277 '유튜브 뮤직 끼워팔기' 제재위기 구글…공정위에 자진시정 의사 랭크뉴스 2025.04.15
44276 윤 참모들, 계엄 뒤 휴대전화 ‘최대 6번’ 바꿔…김태효는 이틀간 3번 랭크뉴스 2025.04.15
44275 “트럼프, 시진핑보다 패 약해… 조만간 항복” FT의 경고 랭크뉴스 2025.04.15
44274 [단독] 中 '희토류 통제'로 기회 왔는데…LS 베트남 사업 난항 랭크뉴스 2025.04.15
44273 "나이키 대신 아디다스" 인증 줄줄이… 유럽 '미국산 보이콧' 커진다 랭크뉴스 2025.04.15
44272 매일 붙어 있었는데…생후 7개월 아이, 반려견 습격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15
44271 몸 은밀한 곳에 필로폰 숨겨 밀반입한 30대 2명 징역 8년 랭크뉴스 2025.04.15
44270 민주 대선경선, 이재명·김동연·김경수 3파전으로 확정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