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글로벌 증시 일제히 급락]
美 선물지수 한때 5% 이상 뚝
泰 등도 장 열리면 하락 불보듯
관세고수땐 충격 길어질 가능성
대만, 22조 안정기금 투입 검토
7일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앞에서 시민들이 닛케이225지수를 나타내는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7일 패닉(공황)으로 내몰렸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금융시장이 ‘죽음의 차트(Chart of Death)’를 그리고 있다고 짚었다.



아시아 시장을 덮친 ‘블랙먼데이’의 전조는 6일(현지 시간) 미국 주식 선물지수의 급락이다. 선물시장 개장 초반 S&P500과 나스닥100·다우존스 등 뉴욕 3대 지수의 선물이 장중 한때 최대 5% 이상 급락하며 약세를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달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한 후 미국에서 불과 이틀 동안 총 6조 6000억 달러(약 9660조 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사라진 데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6일 “때때로 무언가를 고치기 위해 약을 먹어야 한다”며 강행 의지를 재확인하자 시장이 공포에 휩싸인 것이다. 시장의 충격은 고스란히 이날 개장한 아시아 증시와 유럽 증시로 옮겨붙으며 일제히 폭락장을 연출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종가 3만 1136.58, -7.83%)는 장이 열리자마자 3만 1000선이 무너질 정도로 크게 후퇴했고 이에 일본 오사카 증권거래소는 닛케이평균선물 매매를 30분 동안 일시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거래 일시 중단)’를 발동하기도 했다. 대만(-9.70%)과 홍콩(-13.22%), 중국 선전(-10.79%)과 상하이(-7.34%)는 물론 호주(-4.23%)와 인도(-3.53%) 할 것 없이 모두 큰 폭의 하락을 나타냈다. 대만 TSMC(-10.1%)와 일본 도요타(-5.65%)를 비롯해 중국 BYD(-15.90%)와 알리바바(-17.98%) 등 아시아 각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주식 가치도 속절없이 떨어졌다.

베트남(훙왕 기념일)과 태국(짜끄리왕조 기념일), 인도네시아(르바란 연휴) 등 공휴일로 이날 증시가 열리지 않은 국가들만 겨우 하락장을 피했지만 8일 정규장이 열리면 충격파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 삭소마켓의 차루 차나나 수석 투자전략가는 “하루 동안 눈을 깜빡인 횟수보다 (시장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모니터를 새로고침한 횟수가 더 많다”고 말하며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아시아 증시 마감 이후 열린 유럽장에서도 유로스톡스와 독일 DAX, 영국 FTSE, 프랑스 CAC 등이 장 초반 최대 7%까지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

더 큰 문제는 시장 충격이 단기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고 금융시스템 전반이 크게 훼손될 것이라는 비관론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옛 트위터) 계정에 “(관세정책이) 전환될 때 까지 (금융시장은) 심각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후 S&P500지수가 10% 이상 떨어진 것이 1987년 10월 ‘블랙먼데이(-26.4%)’와 20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13.9%), 2008년 11월 금융위기(-12.4%) 등에 이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4번째로 큰 하락률이라고 짚은 뒤 “앞으로도 시장에 더 많은 격변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증시가 입은 타격에다 소비자 손실까지 합하면 이미 30조 달러(약 4경 3850조 원)라는 천문학적인 금전적 피해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며 맞대응에 나선 중국 증시도 당분간 약세를 면하지 못할 것으로 관측된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이날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중국지수의 12개월 성장률 전망을 기존 16%에서 10%로 낮췄다.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을 목적으로 공개한 2조 위안(약 400조 2000억 원) 규모의 부양 패키지로 미국의 관세 피해를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겠지만 미중 간 무역전쟁 긴장이 갈수록 고조되는 만큼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국가별로 대응책 마련에 서두르는 모습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전날 경제부처 관료 등과 면담한 자리에서 세계 금융시장이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만큼 관계 각료들이 시장과 투자자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하라고 주문했다고 NHK방송 등이 전했다. 대만 정부는 5000억 대만 달러(약 22조 1000억 원) 규모의 국가금융안정기금을 언제든 투입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에 뒀다. 짐 차머스 호주 연방 재무장관은 이날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비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좀 더 높일 것을 시사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409 금감원 “PF 부실 털어라”…저축銀에 6월말 데드라인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6
44408 尹 탄핵에 쪼개진 국민의힘 '묻지마 빅텐트'... 무책임한 러브콜 랭크뉴스 2025.04.16
44407 친노·친문 적자 김경수의 ‘착한 2등’ 전략…차기 노린 빌드업? 랭크뉴스 2025.04.16
44406 대구의 고민 "누굴 뽑아야 되능교? 그 총리 출마헙니꺼" [보수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6
44405 김문수, 오세훈과 회동…한동훈 대구행, 홍준표 경제정책 발표 랭크뉴스 2025.04.16
44404 문재인은 뚫었다… 이재명 지지율 정말 30%대 '박스권'에 갇혔나 랭크뉴스 2025.04.16
44403 민주 경선 주자, 경선룰 확정 후 첫 모임…세월호 추모식도 공동 참석 랭크뉴스 2025.04.16
44402 박보검 ‘한복웨이브’ 사업 한류 문화예술인 선정 랭크뉴스 2025.04.16
44401 부모·아내·자녀 살해한 비정한 50대 가장 랭크뉴스 2025.04.16
44400 [단독] 여론조사 공천 OECD 중 한국이 유일한데…'어디 맡기고' '어떻게 조사하고' 죄다 깜깜이 랭크뉴스 2025.04.16
44399 “답답하다”며 비상문 연 승객… 재발 방지 대책 없나 랭크뉴스 2025.04.16
44398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11명 후보 등록… 韓대행 미등록 랭크뉴스 2025.04.16
44397 남편 택시 이어 아내 택시 탄 수상한 승객…부부의 직감, 보이스피싱범 잡았다 랭크뉴스 2025.04.16
44396 미리 알았나?…親트럼프 美의원, '관세 유예' 발표 前 주식 매수 랭크뉴스 2025.04.16
44395 반탄 청년들 ‘윤 어게인’에 전문가들 “법적으로 불가능” 랭크뉴스 2025.04.16
44394 트럼프, '정책 반기' 하버드大에 '면세 지위' 박탈 위협(종합) 랭크뉴스 2025.04.16
44393 62년 만에 첫 ‘여성만 탄’ 우주선, 무중력 체험 뒤 지구로 무사귀환 랭크뉴스 2025.04.16
44392 "트럼프 對中무역전쟁, 펜타닐·대만·틱톡 등 현안 논의 방해" 랭크뉴스 2025.04.16
44391 "잠시만요, 고객님!"…신입 은행원의 놀라운 촉, 5000만원 지켰다 랭크뉴스 2025.04.16
44390 "눈 떠보니 집 앞이 '쓰레기산'이에요"…환경미화원 파업에 비상 걸린 英 도시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