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글로벌 증시 일제히 급락]
美 선물지수 한때 5% 이상 뚝
泰 등도 장 열리면 하락 불보듯
관세고수땐 충격 길어질 가능성
대만, 22조 안정기금 투입 검토
7일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앞에서 시민들이 닛케이225지수를 나타내는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7일 패닉(공황)으로 내몰렸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금융시장이 ‘죽음의 차트(Chart of Death)’를 그리고 있다고 짚었다.



아시아 시장을 덮친 ‘블랙먼데이’의 전조는 6일(현지 시간) 미국 주식 선물지수의 급락이다. 선물시장 개장 초반 S&P500과 나스닥100·다우존스 등 뉴욕 3대 지수의 선물이 장중 한때 최대 5% 이상 급락하며 약세를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달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한 후 미국에서 불과 이틀 동안 총 6조 6000억 달러(약 9660조 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사라진 데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6일 “때때로 무언가를 고치기 위해 약을 먹어야 한다”며 강행 의지를 재확인하자 시장이 공포에 휩싸인 것이다. 시장의 충격은 고스란히 이날 개장한 아시아 증시와 유럽 증시로 옮겨붙으며 일제히 폭락장을 연출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종가 3만 1136.58, -7.83%)는 장이 열리자마자 3만 1000선이 무너질 정도로 크게 후퇴했고 이에 일본 오사카 증권거래소는 닛케이평균선물 매매를 30분 동안 일시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거래 일시 중단)’를 발동하기도 했다. 대만(-9.70%)과 홍콩(-13.22%), 중국 선전(-10.79%)과 상하이(-7.34%)는 물론 호주(-4.23%)와 인도(-3.53%) 할 것 없이 모두 큰 폭의 하락을 나타냈다. 대만 TSMC(-10.1%)와 일본 도요타(-5.65%)를 비롯해 중국 BYD(-15.90%)와 알리바바(-17.98%) 등 아시아 각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주식 가치도 속절없이 떨어졌다.

베트남(훙왕 기념일)과 태국(짜끄리왕조 기념일), 인도네시아(르바란 연휴) 등 공휴일로 이날 증시가 열리지 않은 국가들만 겨우 하락장을 피했지만 8일 정규장이 열리면 충격파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 삭소마켓의 차루 차나나 수석 투자전략가는 “하루 동안 눈을 깜빡인 횟수보다 (시장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모니터를 새로고침한 횟수가 더 많다”고 말하며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아시아 증시 마감 이후 열린 유럽장에서도 유로스톡스와 독일 DAX, 영국 FTSE, 프랑스 CAC 등이 장 초반 최대 7%까지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

더 큰 문제는 시장 충격이 단기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고 금융시스템 전반이 크게 훼손될 것이라는 비관론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옛 트위터) 계정에 “(관세정책이) 전환될 때 까지 (금융시장은) 심각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후 S&P500지수가 10% 이상 떨어진 것이 1987년 10월 ‘블랙먼데이(-26.4%)’와 20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13.9%), 2008년 11월 금융위기(-12.4%) 등에 이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4번째로 큰 하락률이라고 짚은 뒤 “앞으로도 시장에 더 많은 격변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증시가 입은 타격에다 소비자 손실까지 합하면 이미 30조 달러(약 4경 3850조 원)라는 천문학적인 금전적 피해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며 맞대응에 나선 중국 증시도 당분간 약세를 면하지 못할 것으로 관측된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이날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중국지수의 12개월 성장률 전망을 기존 16%에서 10%로 낮췄다.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을 목적으로 공개한 2조 위안(약 400조 2000억 원) 규모의 부양 패키지로 미국의 관세 피해를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겠지만 미중 간 무역전쟁 긴장이 갈수록 고조되는 만큼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국가별로 대응책 마련에 서두르는 모습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전날 경제부처 관료 등과 면담한 자리에서 세계 금융시장이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만큼 관계 각료들이 시장과 투자자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하라고 주문했다고 NHK방송 등이 전했다. 대만 정부는 5000억 대만 달러(약 22조 1000억 원) 규모의 국가금융안정기금을 언제든 투입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에 뒀다. 짐 차머스 호주 연방 재무장관은 이날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비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좀 더 높일 것을 시사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86 "늑대 아냐"…입마개 안한 대형견 세마리 쇼핑몰 활보, 주인 해명은 랭크뉴스 2025.04.16
49085 인천 부평 횡단보도서도 땅꺼짐 현상…차량 통제 랭크뉴스 2025.04.16
49084 美, 엔비디아 'H20 칩 中 수출' 제한 통보…'중국 압박' 강화 랭크뉴스 2025.04.16
49083 [단독] 여론조사 경선 개선 연구 '0'...양당 정책연구소는 '선거 승리 전략'만 랭크뉴스 2025.04.16
49082 "정말 불안해서 못 살겠네"…이번엔 인천 부평역 횡단보도서 '싱크홀' 랭크뉴스 2025.04.16
49081 김두관측 "무소속 출마도 고민중…국힘 비명 빅텐트엔 참가 안해" 랭크뉴스 2025.04.16
49080 트럼프, 희토류 수입 안보 조사 지시…‘수출 제한’ 中에 맞불 랭크뉴스 2025.04.16
49079 [속보] 원·달러 환율, 3.5원 오른 1429원 개장 랭크뉴스 2025.04.16
49078 ‘민주당 경선 거부’ 김두관 쪽 “국힘 ‘비명 빅텐트’ 참가 안 해” 랭크뉴스 2025.04.16
49077 '설마 우리동네도?'···경기도 작년에만 '땅꺼짐' 29건 랭크뉴스 2025.04.16
49076 ‘불닭효과’ 지속…신한證 “MSCI 5월 정기변경서 삼양식품 편입 예상”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4.16
49075 김두관 측 "행보 고민 중‥'국민의힘 빅텐트' 참여 가능성 없어" 랭크뉴스 2025.04.16
49074 용인 일가족 5명 살해 50대 호송…살해 동기 수사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16
49073 신안 홍도 해상에서 조업중이던 20대 외국인 선원 추락해 숨져 랭크뉴스 2025.04.16
49072 다시 맑고 포근한 봄…서울 22도·대구 26도 등 한낮 18∼26도 랭크뉴스 2025.04.16
49071 "尹 탄핵 반대 밤샘 시위는 극소수, 국민이 지지한다고 생각하면 착각" [위기의 보수, 길을 묻다] 랭크뉴스 2025.04.16
49070 황교안이 봉인한 '7시간 행적'‥단서 있었다 랭크뉴스 2025.04.16
49069 윤석열이 불붙인 ‘부정선거’ 의혹…그 많다던 증거들은 진짜일까 랭크뉴스 2025.04.16
49068 김두관측 "불출마부터 무소속출마까지 논의…국힘 빅텐트 참가안해" 랭크뉴스 2025.04.16
49067 광장의 버팀목 세월호…유가족은 항상 약자 곁을 지킨다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