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년 인사청문회 답변 두고 누리꾼들 '찬사'
"한국 가구당 평균 3억 좀 넘어선 것 같아 반성"
가장 중요한 공직자 덕목으로는 "겸손함" 꼽아
올해는 가족 포함 15억... "배우자 상속분 포함"
2019년 4월 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문형배(왼쪽 사진) 당시 헌법재판관 후보자(현 헌재소장 권한대행)가 백혜련(오른쪽)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 제공


지난 4일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주문을 낭독했던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청빈함을 보여 주는 과거 발언들이 재조명을 받고 있다. 6년 전 헌법재판관 후보자 시절 인사청문회 당시 문 대행이 밝힌 재산 규모, 공직자로서의 신념 등에 대해 누리꾼들이 찬사를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부친 재산 포함 6억 신고'... 헌법재판관 평균은 20억



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와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문형배 헌법재판관의 재산이 적은 이유'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확산했다. 글쓴이는 "다른 헌법재판관들 재산은 평균 20억 원인데, 문형배 재판관 재산이 4억 원에 못 미치는 이유는 평균인의 삶에서 벗어나지 않겠다는 다짐 때문"이라며 "'존경하는 재판관님'이란 말이 절로 나온다"고 문 대행의 검소함을 치켜세웠다.

이 게시물에 함께 첨부된 영상은 2019년 4월 9일 문형배 당시 헌법재판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언급한 내용이다. 영상에서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헌법재판관들 재산이 평균 20억 원쯤 되는데 후보자 재산은 6억7,545만 원"이라며 "헌법재판관이 되면 '가장 적은 재산을 가진 헌법재판관'이 되실 텐데, 27년간 법관을 했는데 너무 과소한 것 아닌가.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라고 물었다.

답변에 나선 문 대행은 "제가 결혼할 때 다짐한 게 있다. 평균인의 삶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되겠다고 생각했다"며 운을 뗐다. 이어 "최근 통계를 봤는데 (대한민국) 가구당 평균 재산이 한 3억 원 남짓 되는 걸로 알고 있다. 제 재산은 한 4억 조금 못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산 신고 액수인) 6억7,000만 원은 아버님 재산이 포함된 것이고, 제 재산은 4억 원이 안 된다"며 "(한국의 가구당) 평균 재산을 좀 넘어선 것 같아 반성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결정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공직 끝내면 영리 변호사 활동 안 한다" 약속



청문회 참석자들은 문 대행의 이 같은 발언에서 엿보이는 청렴함을 높이 샀다. 백 의원은 "청문회를 하는 저희가 오히려 죄송한 느낌"이라고 밝혔다. 당시는 민주평화당, 현재 민주당 소속인 박지원 의원도 "거듭 후보자의 도덕성에 대해 존경을 표한다"라고 했다. 문 대행은 "부끄럽다"며 자세를 낮췄다.

문 대행은 또, '공직자로서 가장 중요한 덕목'을 묻는 질문에는 "겸손함"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공직 생활을 끝내더라도 영리를 위한 변호사 생활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그는 오는 18일 퇴임을 앞두고 있다.

현재 문 대행 및 가족의 재산은 2019년보다 증가한 상태다. 지난달 27일 헌재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5년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문 대행은 지난해보다 2,947만 원 늘어난 15억4,379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배우자와 부친, 장남의 재산을 모두 합한 것으로, 6년 전과 비교하면 배우자 소유 대지(2억6,000만 원) 및 아파트(2억2,400만 원) 등이 새로 추가됐다. 다만 해당 부동산은 '매입'이 아니라, 2022년 문 대행의 부인이 부친(문 대행의 장인)으로부터 '상속 또는 증여'를 받은 것이라는 게 헌재 설명이다. 문 대행이 이번에 본인 몫으로 신고한 재산은 아파트(3억4,000만 원)와 예금(1억7,000만 원) 등 총 4억7,815만 원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80 관식의 헌신적 사랑, 현실에서 가능할까... 오히려 자녀에겐 독 랭크뉴스 2025.04.15
43979 “여직원들 끌어안고” 폭로에…고창군의원 “사과했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3978 "외투기업 알맹이 빼먹기에 당했다"···464일째 고공농성 중인 두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5
43977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3976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몰락한 내란 정권의 ‘알박기’ 금도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5 [100세 과학] “디지털 치매는 오해”…스마트폰이 인지기능 보호한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4 “7세 고시는 학대, 아이 뇌 망가트려”··· 소아정신과 교수의 단호한 조언 랭크뉴스 2025.04.15
43973 中·日 투매설에 폭락한 美 국채… 일생일대 투자 기회? 랭크뉴스 2025.04.15
43972 트럼프 또 후퇴…"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1 “장제원 공소권 없음과 수사 중지는 달라”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 김재련 변호사[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5
43970 美, 5개국과 무역 협상 우선추진…韓도 포함 랭크뉴스 2025.04.15
43969 우크라, 생포 중국인 기자회견…트럼프 “곧 좋은 제안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8 당신의 걸음걸이는 안녕하십니까… 느려졌다면 파킨슨 의심 랭크뉴스 2025.04.15
43967 자동차 부품도 유예 조치?‥"나는 유연한 사람" 랭크뉴스 2025.04.15
43966 [단독] 20년 믿고 맡긴 경리의 배신... "회삿돈 22억으로 명품 사고 호화 여행" 랭크뉴스 2025.04.15
43965 구글, '유튜브 뮤직' 뺀 새 요금제 韓에도 출시하나…공정위와 협의 중 랭크뉴스 2025.04.15
43964 오락가락 반도체 관세 '일단 유예'에 美 증시 상승 마감 [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5
43963 [단독]단순 예산 편성착오에…지자체 수십억 예산 날아갈판 랭크뉴스 2025.04.15
43962 "한국 가면 무조건 사야 돼"…일본인들 우르르 몰려와 사간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1 양당 경선 무용론에 '반명 빅텐트' 솔솔... 범보수 단일화냐, 제3지대 연대냐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