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무역적자 해결 전까지 中과 협상 않을 것"
러트닉 등 핵심 측근도 "연기 없다" 지원사격
무역 구조개혁, 트럼프 30년 넘는 신념
美, 리쇼어링을 국가안보이슈로 접근
이시바 "지금은 국난···빨리 방미"
대만·印 "보복없다" 베트남 "45일 연기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 시간)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최근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 폭락에도 고강도 관세정책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의 만성 무역적자 구조 개혁은 30년 이상 주장해온 ‘신념’에 가깝다는 이유에서다. 또 1기 때 너무 많은 관세 예외를 인정해줬던 것을 정책의 주요 패인으로 보고 있는 만큼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6일(이하 현지 시간) 백악관 풀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에어포스원에서 ‘시장이 어느 정도까지 떨어지면 정책을 조정할 것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그 질문은 멍청하다. 나는 아무것도 떨어지기를 바라지 않는다. 하지만 때때로 무언가를 고치려면 약을 먹어야 한다”고 답했다. 미국의 무역구조를 고치려면 관세라는 약을 먹어야 하고 이에 따른 시장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중국에 대해서도 “우리의 대(對)중국 무역적자는 1조 달러이며 우리는 이를 해결해야 한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전까지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나는 협상하고 싶지만 그들은 (대미 무역) 흑자를 해결해야 한다”며 “중국은 지금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왜냐하면 모두가 우리가 옳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나는 유럽, 아시아, 전 세계의 많은 사람과 대화했다”면서 “그들은 정말로 협상하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서도 “언젠가 사람들은 관세가 매우 아름다운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심 참모들도 지원사격에 나섰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이날 CBS와의 인터뷰에서 9일 상호관세 발효와 관련해 “연기는 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농담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파장을 축소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만큼은 출혈이 있더라도 미국의 만성 무역적자를 바꾸는 방향으로 세계 무역 질서를 재편해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다고 짚었다. 관세 부과에 따른 리쇼어링(제조업 국내 복귀)이 국가 안보 문제와 직결된다는 판단도 주요 배경이다. 이날 러트닉 장관은 “자동차부터 전자레인지까지 모든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는 전부 해외에서 생산된다”며 “이는 국가 안보 문제다. (유사시를 대비해) 우리는 스스로를 보호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지지층이 단기간의 주가 흐름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자산으로 주식만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은퇴 연금 계좌를 소유한 사람의 자산가치 하락률은 최근의 주가 하락보다는 낮을 것으로 분석했다. 대규모 감세를 담은 예산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물가가 오르더라도 미국인의 부담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계산도 자리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아시아 등 미국에 대항할 카드가 마땅치 않은 나라들은 협상을, 유럽연합(EU) 등은 맞대응을 검토 중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7일 상호관세에 대해 “국난이라고 할 수 있는 사태”라며 “가능한 한 빨리 방미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번 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도 추진하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7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상호관세 문제를 논의한다. 대만의 라이칭더 총통은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는 없을 것이라고 밝히며 대미 투자 확대 등을 추진한다.

인도 역시 현재 협상 중인 무역협정 체결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로이터통신은 인도 정부가 230억 달러(약 33조 8000억 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반면 EU·캐나다 등은 일단 보복에 방점을 찍고 있다. EU는 7일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보복관세 대상 품목을 확정하고 27개 회원국에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보복관세 대상 품목은 9일 회원국 표결로 확정된다. 이달 2일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빠진 캐나다는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자동차에 25%의 맞불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28 홍준표, “이재명 심판” 출사표…‘한덕수 차출론’엔 “비상식적” 랭크뉴스 2025.04.14
43827 기억하세요, 희망은 좋은 것입니다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14
43826 이성배 아나운서, MBC 퇴사…홍준표 캠프 대변인 맡아 랭크뉴스 2025.04.14
43825 검찰, '선거법 위반' 김혜경 항소심도 벌금 300만원 구형 랭크뉴스 2025.04.14
43824 경찰, 박나래 자택 절도 피의자 검거…"단독범행·전과 다수"(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4
43823 “몇 시간 사건을 내란으로”…“국헌문란 폭동 일으켜” 랭크뉴스 2025.04.14
43822 11년 만에 세월호 참사 결론…“선체 내력 부실” 랭크뉴스 2025.04.14
43821 유동규 "이재명 당선되면 꽃게밥 된다…살려달라" 호소 랭크뉴스 2025.04.14
43820 '서부지법 난동' 변호인 "천대엽 탓 구속" 주장에 재판부 질책 랭크뉴스 2025.04.14
43819 경선 흥행 ‘빨간불’?…국민의힘, 1차 경선 토론회 3→2회로 랭크뉴스 2025.04.14
43818 이재명, 첫 행보로 'AI 스타트업' 방문‥김두관 "경선 거부" 랭크뉴스 2025.04.14
43817 지역 새마을금고 이사장 경북 구미 야산서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14
43816 “내란 공모 정당”에 폭발…본회의장에 무슨 일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4
43815 민주 대선 경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3파전’ 구도…김두관 불참 랭크뉴스 2025.04.14
43814 투자형 지주사 ‘인베니’ 지분 늘리는 구자은 LS 회장 두 딸 랭크뉴스 2025.04.14
43813 제3지대·무소속 출마 가능성 묻자…유승민 “백지 상태서 고민” 랭크뉴스 2025.04.14
43812 ‘의원 끌어내라’ 거부한 군 지휘관 “항명죄 구형 받은 박정훈 대령 떠올랐다” 랭크뉴스 2025.04.14
43811 "박나래 집서 훔친 금품, 장물로 내놓기도"…절도범 정체 보니 랭크뉴스 2025.04.14
43810 유승민, 무소속·제3지대 대선출마 의향에 "백지상태서 고민"(종합) 랭크뉴스 2025.04.14
43809 동원F&B, 상장폐지…동원산업 100% 자회사로 편입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