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무역적자 해결 전까지 中과 협상 않을 것"
러트닉 등 핵심 측근도 "연기 없다" 지원사격
무역 구조개혁, 트럼프 30년 넘는 신념
美, 리쇼어링을 국가안보이슈로 접근
이시바 "지금은 국난···빨리 방미"
대만·印 "보복없다" 베트남 "45일 연기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 시간)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최근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 폭락에도 고강도 관세정책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의 만성 무역적자 구조 개혁은 30년 이상 주장해온 ‘신념’에 가깝다는 이유에서다. 또 1기 때 너무 많은 관세 예외를 인정해줬던 것을 정책의 주요 패인으로 보고 있는 만큼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6일(이하 현지 시간) 백악관 풀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에어포스원에서 ‘시장이 어느 정도까지 떨어지면 정책을 조정할 것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그 질문은 멍청하다. 나는 아무것도 떨어지기를 바라지 않는다. 하지만 때때로 무언가를 고치려면 약을 먹어야 한다”고 답했다. 미국의 무역구조를 고치려면 관세라는 약을 먹어야 하고 이에 따른 시장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중국에 대해서도 “우리의 대(對)중국 무역적자는 1조 달러이며 우리는 이를 해결해야 한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전까지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나는 협상하고 싶지만 그들은 (대미 무역) 흑자를 해결해야 한다”며 “중국은 지금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왜냐하면 모두가 우리가 옳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나는 유럽, 아시아, 전 세계의 많은 사람과 대화했다”면서 “그들은 정말로 협상하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서도 “언젠가 사람들은 관세가 매우 아름다운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심 참모들도 지원사격에 나섰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이날 CBS와의 인터뷰에서 9일 상호관세 발효와 관련해 “연기는 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농담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파장을 축소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만큼은 출혈이 있더라도 미국의 만성 무역적자를 바꾸는 방향으로 세계 무역 질서를 재편해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다고 짚었다. 관세 부과에 따른 리쇼어링(제조업 국내 복귀)이 국가 안보 문제와 직결된다는 판단도 주요 배경이다. 이날 러트닉 장관은 “자동차부터 전자레인지까지 모든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는 전부 해외에서 생산된다”며 “이는 국가 안보 문제다. (유사시를 대비해) 우리는 스스로를 보호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지지층이 단기간의 주가 흐름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자산으로 주식만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은퇴 연금 계좌를 소유한 사람의 자산가치 하락률은 최근의 주가 하락보다는 낮을 것으로 분석했다. 대규모 감세를 담은 예산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물가가 오르더라도 미국인의 부담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계산도 자리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아시아 등 미국에 대항할 카드가 마땅치 않은 나라들은 협상을, 유럽연합(EU) 등은 맞대응을 검토 중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7일 상호관세에 대해 “국난이라고 할 수 있는 사태”라며 “가능한 한 빨리 방미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번 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도 추진하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7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상호관세 문제를 논의한다. 대만의 라이칭더 총통은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는 없을 것이라고 밝히며 대미 투자 확대 등을 추진한다.

인도 역시 현재 협상 중인 무역협정 체결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로이터통신은 인도 정부가 230억 달러(약 33조 8000억 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반면 EU·캐나다 등은 일단 보복에 방점을 찍고 있다. EU는 7일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보복관세 대상 품목을 확정하고 27개 회원국에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보복관세 대상 품목은 9일 회원국 표결로 확정된다. 이달 2일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빠진 캐나다는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자동차에 25%의 맞불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45 [샷!] "임신·사고쳤다는 오해 받을까봐…" 랭크뉴스 2025.04.15
43944 "반대 없습니까" 불통의 K주총…젠슨황이 설명, 소통의 美주총 [K주총의 그늘] 랭크뉴스 2025.04.15
43943 3년 만에 가입자 2000만 돌파…신용점수도 '이만큼' 올렸다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5
43942 선고일 화환까지 26t 치워… “한겨울에 속옷 다 젖었어요” 랭크뉴스 2025.04.15
43941 '노아의 방주' 흔적 나올까…아라라트산 유적 발굴 추진 랭크뉴스 2025.04.15
43940 [이희옥 칼럼] 美, 중국의 수를 잘못 읽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39 이재명 “조국혁신당은 동지…통 큰 단합으로 정권교체 이룰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38 李, 유시민·도올과 '차기정부 과제' 대담…영상으로 공개 랭크뉴스 2025.04.15
43937 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3936 트럼프, 자칭 '쿨한 독재자' 엘살바도르 대통령에 "환상적" 랭크뉴스 2025.04.15
43935 트럼프 "우크라戰, 푸틴·바이든·젤렌스키 책임…곧 좋은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3934 경기도 법카 유용 혐의 김혜경, 2심도 벌금 300만원 구형 랭크뉴스 2025.04.15
43933 "내 반려견 지켰을 뿐인데"…퓨마 죽인 남성, 이웃들이 경찰에 신고한 이유 랭크뉴스 2025.04.15
43932 ‘한국 IT 대부’ 이용태 전 삼보컴퓨터 회장 별세 랭크뉴스 2025.04.15
43931 이재명 “한국형 챗GPT 무료 보급”…AI 기본사회론 꺼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30 윤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계엄” 93분 항변 랭크뉴스 2025.04.15
43929 엔비디아 "美서 4년간 700조원 규모 AI 인프라 생산 계획" 랭크뉴스 2025.04.15
43928 "애인 있는데 왜 결혼 안 해?" 묻자…男 "돈 없어서", 女 "조건이 별로" 랭크뉴스 2025.04.15
43927 ‘3000원 영양제 대란’ 다이소, 이번엔 르까프·스케쳐스 ‘이것’ 출시 랭크뉴스 2025.04.15
43926 남 “결혼비용 부담돼서”… 여 “기대 맞는 상대 없어”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