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인원한남 70억·아크로포레스트 65억 전세계약
“대중적이기보다 사생활 중시… 수요 늘어나”

아파트 전셋값이 3.3㎡(평)당 1억원을 넘어서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서울 용산·성동구의 하이엔드 아파트의 대형 평수에서다. 젊은 자산가들이 사생활을 지키면서 고급 커뮤니티를 누릴 수 있다는 데 공통점이 있다.

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 206㎡(75평)은 지난 1월 16일 70억원에 전세계약이 체결됐다. 이 평형은 지난해 8월과 11월에 75억원에 세입자를 찾아 이미 3.3㎡당 1억원을 넘어섰다. 성동구 성수동의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59㎡(60평)는 지난 1월 17일 65억원(24층)에 전세계약을 맺었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의 모습./연합뉴스

호가는 현재 더 높게 형성돼 있다. 나인원한남 전용 206㎡의 전세매물 호가는 현재 70억~82억원 수준이다.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59㎡ 역시 53억~70억원에 전세매물이 나와 있다.

이들 아파트는 대형평형인 데도 전세가율이 꽤 높은 수준이다. 나인원한남 전용 206㎡의 가장 최근 매매거래 지난해 7월 31일의 110억원(5층)이다.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59㎡는 지난 2월 4일 135억원(32층)에 거래된 바 있다.

이는 압구정, 반포 등 여타 인기 지역과는 다른 모습이다. 현재 재건축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압구정2구역 신현대(현대 9, 11, 12차)의 경우 전용 183㎡가 지난 3월 19일 92억원에 거래됐지만, 전셋값의 경우 최고 20억원 수준이다. 지난 2월 14일 같은 단지, 평형이 20억원에 전세계약을 맺었다. 재건축 아파트인 만큼 투자가치 대비 주거가치가 낮게 평가되면서 전세가율이 21% 수준에 불가한 것이다.

반포의 신축 대단지 아파트 래미안 원베일리의 경우도 매매가격은 3.3㎡당 2억원을 넘어섰지만 전세가격은 1억원을 넘지 못하고 있다. 원베일리 전용 133㎡(52평)은 매매거래, 전세계약의 거래 가격이 각각 106억(28층), 47억원에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조선DB

나인원한남, 아크로서울포레스트의 경우 대중적이기 보다는 사생활을 중시하는 분위기로, 젊은 자산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반포, 대치 등은 학군과 편의시설, 교통여건 등 여러 면에서 편리하지만, 수 천 가구에 달하는 대단지로 사생활 보호와는 거리가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과거 고소득층은 단독주택을 선호했다면, 지금의 젊은 고소득층은 편리한 공동주택에서 프라이빗한 공간을 원한다”면서 “가구 수가 많지 않으면서 매각, 담보가치산정도 편해 현금화도 어렵지 않다”고 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중대형 면적 위주의 고급 주거지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는 지역”이라면서 “이들 지역은 높은 전세가격에도 수요가 많아 거래가 상당히 잘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02 국민의힘 해산은 왜 논의하지 않는가 [왜냐면] 랭크뉴스 2025.04.15
44001 구글, ‘트럼프 관세’ 등에 업고 韓 지도 데이터 요구하는데…“시장 잠식 우려”vs“세계 유일의 불허” 랭크뉴스 2025.04.15
44000 [속보] 최상목 "12조대 필수추경안 마련"…당초 발표보다 2조 증액 랭크뉴스 2025.04.15
43999 선배 가고 후배 오고…사외이사 ‘알박기’ 요지경 랭크뉴스 2025.04.15
43998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 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7 ‘테슬라 매장 방화·머스크 비난 낙서’ 40대 기소…미 법무부 “형량 협상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3996 트럼프 “자동차 회사들 시간 필요해”…관세 일시 유예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5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4 미 재무장관 “한국과 내주 무역협상 예정···빠르게 진행될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93 구글, ‘트럼프 관세’ 등에 업고 韓 지도 데이터 요구하는데…“시장 잠식 우려”vs“전 세계 유일의 불허” 랭크뉴스 2025.04.15
43992 "왜곡·조작됐다"‥헌재 판단도 모조리 '부정' 랭크뉴스 2025.04.15
43991 국회, 오늘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최상목 미국 국채 논란 다뤄질까 랭크뉴스 2025.04.15
43990 철 지난 장자승계, 법보다 앞설까…LG ‘2조 상속분쟁’ 판결 촉각 랭크뉴스 2025.04.15
43989 5개월 아기 뇌출혈에 온몸 멍 자국…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3988 "선거운동 해야하니 재판 빼달라"…대선 주자들 특권인가[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4.15
43987 [인터뷰] 홍준표 "정상적인 대선보다 쉬울 수도…이재명 잡을 사람은 나" 랭크뉴스 2025.04.15
43986 [투자노트] 트럼프 리스크 정점?… ‘종목 장세’는 이제 시작 랭크뉴스 2025.04.15
43985 “한 입 먹고 버리더라”…9,900원 빵 뷔페, 음식 낭비 논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3984 이재명 첫 공약은 '인공지능'‥김두관 경선 '이탈' 랭크뉴스 2025.04.15
43983 박수영 "국힘 의원 54명 한덕수 출마 촉구 확인... 분위기 달라져"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