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외국인 현물 2조 원 매도 폭탄에
코스피 1년 5개월 만 최저가 '뚝'
8개월 만 매도 사이드카 발동도
홍콩 항셍 -13% 등 아시아 증시 폭락
원·달러 환율은 5년 만 최대 급등
7일 서울 중구 외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종가 현황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종가와 비교해 137.22포인트(5.57%) 하락한 2,328.20으로 마감했고,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36.09포인트(5.25%) 하락한 651.30으로 거래를 마쳤다. 정다빈 기자 [email protected]


7일 국내 증시가 올해 들어 최악의 날을 기록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놓자 한층 커진 미국발(發)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가 시장을 강하게 짓눌렀다. 외국인 투자자 대탈출에 거의 모든 업종이 파랗게 질렸고, 환율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해소 효과를 일시 반납하며 5년 만에 최대폭으로 치솟았다.

이날
코스피는 장중 내내 4~5%대 급락세를 이어가다
전 거래일 대비 137.22포인트(5.57%) 빠진 2,328.2로 마감
했다. 종가 기준
2023년 11월 1일(2,301.56) 이후 1년 5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
이다. 하락 폭과 하락률은 모두 지난해 8월 5일 대폭락(234.64포인트, -8.77%) 이후 최대였다. 개인이 1조6,749억 원 순매수하고 연기금 등판과 함께 기관도 장중 매수 우위로 전환해 2,528억 원 사들였지만, 외국인 투자자의 2조950억 원어치 매물 폭탄을 받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코스닥 또한 36.09포인트(5.25%) 내린 651.3에 마치며 지난해 12월 9일(627.01) 이후 가장 낮은 종가를 나타냈다.

기계·장비(-8.8%), 운송장비·부품(-7%), 의료·정밀기기(-6.9%)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대다수 종목이 약세를 보였다. 이날
외국인 투자자의 코스피 순매도 규모는 2021년 8월 13일(2조7,000억 원) 이후 가장 컸는데, 특히 시가총액 상위주에 집중돼 지수 하락을 주도
했다. 외국인이 6,600억 원 가량 내다 판 삼성전자는 5.17% 하락한 5만3,200원에 거래를 마쳤고, 그 다음으로 외국인 순매도액이 많았던 SK하이닉스는 9.55% 폭락하며 4개월 만에 17만 원 아래(16만4,800원)에서 마감했다. 이외 현대차(-6.62%), 삼성바이오로직스(-5.71%), 한화에어로스페이스(-8.85%) 등 낙폭도 컸다.

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한국거래소는 장 초반인 오전 9시12분부터
5분간 코스피 현·선물 거래를 멈추는 프로그램 매매 호가 효력정지(사이드카)를 발동
했다.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급등하거나 급락한 채 1분 이상 지속될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안정 조치다. 이날은 코스피200선물이 전 거래일 종가 대비 5.19%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이어진 점이 근거가 됐다.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은 지난해 8월 5일 매도 사이드카, 6일 매수 사이드카 이후 8개월 만이다.

아시아 증시도 파랗게 물 들기는 마찬가지다. 중국이 관세 보복전 참전 소식을 전한 뒤 첫 개장일인 이날 홍콩항셍(H)지수는 13.74% 폭락했고, 중국 상해 종합도 7.34% 급락한 채 거래를 마쳤다. 대간 가권도 9.7% 추락한 채 마감했다. 일본의 닛케이225도 7.83% 폭락해 거래를 마치는 등 아시아 증시 전반이 쑥대밭이 됐다.

검은 월요일(월요일 증시 폭락)은 예견된 결과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3,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팬데믹 이후 최악의 급락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고강도 상호관세 조치에 반발한 중국이 34%의 맞불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패닉 장세’를 촉발
했다. 이틀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9.26% 떨어졌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평균지수도 각각 -10.53%, -11.44%의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증발한 시가총액은 6조6,000억 달러(약 9,681조5,000억 원)에 달한다.

문제는 금융시장 비명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버텨라’식 강경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침체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금리인하에 나설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
향후 관세 협상 양상에 따라 일시적 조정에 그칠지 약세장 진입이 될지 확인할 수 있을 것
”이라며 “단기 대응으로 미디어, 지주, 소프트웨어 등
방어력이 높은 내수주 비중을 높일 필요
가 있다”고 조언했다.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해지면서 원화 가치는 급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3.7원 급등한 1,467.8원
에 거래를 마쳤다. 코로나19 유행 때인 2020년 3월 19일(40원)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것이다. 4일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하락분(32.9원)을 하루 만에 되돌렸다. 미 달러화와 함께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 가치 역시 급등하면서
원·엔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00엔당 1,008.21원
으로 2023년 4월 27일(1,000.26원) 이후 2년 만에 1,000원대에 복귀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26 “인공지능 교육에 ‘A1’이 뭐야?”…트럼프 내각 ‘시끌’ [뉴스in뉴스] 랭크뉴스 2025.04.16
49225 이재명 후원금 하루새 29억 한도 채워…“10만원 미만이 99%” 랭크뉴스 2025.04.16
49224 5초 만에 ‘와르르’…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직전 CCTV에 포착된 장면 랭크뉴스 2025.04.16
49223 박성재 “제가 무슨 내란을 했나···권한정지 너무 억울했다” 랭크뉴스 2025.04.16
49222 역대급 실적에도 줄줄이 가격 인상… 외식업계 ‘그리드플레이션’ 랭크뉴스 2025.04.16
49221 금보다 더 올랐다… 트럼프 리스크 속 환율 1위 통화는 랭크뉴스 2025.04.16
49220 '여신도 성폭행' 피해자 더 있었다…'징역 17년' 정명석 추가 기소 랭크뉴스 2025.04.16
49219 24시간 스마트폰 없이 살아봤더니… 랭크뉴스 2025.04.16
49218 [단독] 개표소서 뜬 '화웨이 와이파이'는 자작극?…선관위 고발 검토 랭크뉴스 2025.04.16
49217 “만원으로 한 끼 해결?” 김밥이나 짜장면 정도...또 인상 랭크뉴스 2025.04.16
49216 경찰 사격훈련 중 총기 사고…20대 순경 머리 총상에 심정지 랭크뉴스 2025.04.16
49215 이재명 후원금, 첫날에 한도 29억원 다 채워…“99%가 소액후원” 랭크뉴스 2025.04.16
49214 출시 3개월만 1000만개 팔린 이 라면…추억·복고 전략 통했다 랭크뉴스 2025.04.16
49213 "미국에 714조원 투자" 안 통했다... 엔비디아, 중국용 AI 칩 수출 길 막혀 랭크뉴스 2025.04.16
49212 “생고기 트럭 상온에 방치”… 경찰, ‘위생 논란’ 더본코리아 내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16
49211 용인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사기 혐의로 수사받아…“목졸림 추정”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6
49210 ‘내가 20억? 손이 덜덜’… 1등 당첨자 버킷리스트 보니 랭크뉴스 2025.04.16
49209 부산경찰청 사격 훈련 중 오발 사고… 20대 순경 의식 불명 랭크뉴스 2025.04.16
49208 CCTV에 잡힌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직전 모습 랭크뉴스 2025.04.16
49207 경찰 실내사격장에서 총기 오발 사고…20대 순경 중상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