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모습. 이종근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고 사흘이 지난 7일에도 서울 한남동 관저에 머물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피의자 신분인 윤 전 대통령의 퇴거가 늦어질수록 증거인멸 우려가 크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은 검찰·경찰·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의 수사를 피할 수 없는 처지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지난 1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막은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로 윤 전 대통령을 피의자로 입건했다. 공수처가 1년 넘게 수사 중인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뿐만 아니라 검찰이 관련자 대다수를 재판에 넘긴 ‘명태균 게이트’의 정점에도 윤 전 대통령이 있다. 윤 전 대통령을 겨냥한 수사 대부분에는 김건희 여사가 직간접적으로 연루돼 있다는 의혹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의 ‘관저 생활 유지’는 증거인멸의 기회가 될 수 있다. 한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전직 대통령이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고 관저 생활을 이어가는 건 위험하다. 여러 수사가 진행 중인데 증거인멸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말맞추기 우려도 나온다. 특히 체포영장 저지 사건의 경우, 핵심 피의자인 윤 전 대통령과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같은 공간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이창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검경개혁소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의 현직 대통령 지위가 사라진 만큼 본격적인 말 맞추기나 증거인멸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경호처 관계자를 상대로 한 입단속이나 회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내란 사건 관련 윤 전 대통령의 증거인멸 우려가 커지면서 시민사회에선 대통령지정기록물 지정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정기록물이 될 경우 최소 15년 동안 열람이 제한(사생활 관련 기록은 최대 30년)되고, 국회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나 관할 고등법원장이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할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열람이 가능하다. 지정기록물 지정 권한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있다. 기록관리단체협의회는 4일 성명을 내어 “무분별한 (대통령지정기록물) 지정은 범죄 증거 은폐나 다름없다”며 “대통령지정기록물 지정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67 '재판관'이 소환한 '어른'‥어둠 밝혀줄 '희망' 랭크뉴스 2025.04.16
48966 [단독] '청부 민원' 류희림, 계엄 뒤 휴대폰 두 번 바꿔‥권익위에 재조사 요청 랭크뉴스 2025.04.16
48965 "몸에 안 좋은 줄 알았는데"…억울하게 누명 쓴 '사카린' 반전 연구 결과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16
48964 멕시코 '물 빚' 청산 나섰나…댐 방류량 6.7배 늘려 랭크뉴스 2025.04.16
48963 "우리 애 간식 편의점에서 사줬는데 어쩌나"…당·나트륨 함량 "이럴 수가" 랭크뉴스 2025.04.16
48962 항공기 이륙 직전 승객이 비상문 개방…“공포 휩싸인 기내” 랭크뉴스 2025.04.16
48961 ‘방첩사 작성 계엄 문건’ e메일, 북한 해커들 미끼였다 랭크뉴스 2025.04.16
48960 이국종 "탈조선해라" 발언에…이준석 "국가 상황 냉정히 돌아봐야 하는 시점" 랭크뉴스 2025.04.16
48959 중국 “미국 보잉기 인수 말라”…희토류 이어 비관세 보복 랭크뉴스 2025.04.16
48958 재빨리 뛰어와 새끼 둘러쌌다…지진 나자 코끼리들 보인 행동 랭크뉴스 2025.04.16
48957 “한국산 선크림 쟁여놔라”… 관세 덕에 얼굴 핀 K뷰티 랭크뉴스 2025.04.16
48956 노숙자에 '샌드위치' 나눠줬다가…30년 근무한 공항 직원 하루아침에 '해고', 왜? 랭크뉴스 2025.04.16
48955 [대선언팩] “심증뿐인 입증 안된 검은손”… 양당 주장은 과대포장 랭크뉴스 2025.04.16
48954 S&P, 한국 신용 등급 ‘AA’ 유지…“정치 분열로 경제 회복은 우려” 랭크뉴스 2025.04.16
48953 삼성전기, 中 BYD에 전장 부품 공급 랭크뉴스 2025.04.16
48952 계엄 뒤 칩거했던 尹 "실패하면 탄핵, 알고 있었다" [尹의 1060일 ⑧] 랭크뉴스 2025.04.16
48951 [사설] 美 “韓과 우선 협상”…초당적 대처하되 타결은 차기 정부에 맡겨야 랭크뉴스 2025.04.16
48950 하마스 "이스라엘 폭격에 美이중국적 인질 호위팀과 연락 끊겨" 랭크뉴스 2025.04.16
48949 [사설] “주 4.5일제” “정년 연장”…선거용 노동 포퓰리즘 경쟁 자제해야 랭크뉴스 2025.04.16
48948 윤석열의 93분 궤변 쇼…파면되고도 헌재 결정문 ‘입맛대로’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