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 발언
"尹 파면으로 경호처 등 돌리고
김성훈·이광우도 통제력 잃어"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거처 이전이 논의되고 있는 6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옥상에서 경호처 관계자가 망원경으로 주변을 살피고 있다. 최주연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퇴거가 임박한 가운데,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경호원 이탈 조짐이 뚜렷한 데다 대체 인력 충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직 대통령 파면에 따른 후폭풍의 일면이다.

"윤 경호 인력, 떠나려 해... 기존 관례와 달라"



박근혜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박관천 전 경정은 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보통 대통령의 현직 시절 수행경호부에 있던 사람들이 (대통령 퇴임 후) 함께 나가 전직 대통령을 경호하는 게 관례인데, 이번에는 나가는 인원이 상당해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애를 먹고 있다는 말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찰 간부후보생 출신인 박 전 경정은 김영삼 정부 때 청와대 경호실, 박근혜 정부 땐 청와대 비서실에서 각각 근무했다. 박 전 대통령의 비선 실세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씨의 전남편 정윤회씨의 국정 개입 의혹을 담은 이른바 ‘정윤회 문건’ 작성자이기도 하다.

박 전 경정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고 영광스럽게 나가는 것도 아니고, 불미스러운 일로 나가는 것이 아니냐”며 “(윤 전 대통령의) 밑에서 입의 혀처럼 굴던 사람들이 제일 먼저 등을 돌리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김건희 여사도 빨리 한남동 관저를 떠나고 싶어 한다고 한다"며 "하지만 대책 없이 (경호처를) 쪼다 보니 직원들 불만이 크다”고 전했다.

윤 전 대통령을 비호하던 대통령경호처 내 ‘강경파’에 대한 언급도 했다. 김 차장이나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대해 박 전 경정은 “이들은 (경호처에서) 통제력을 점점 잃고 있다”고 진단한 뒤 “(윤 대통령에게) 충성을 다하겠다고 현직 때 맹세한 김성훈이나 이광우는 사표를 쓰고 개인 신분으로 나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파면을 결정한 4일, 윤 전 대통령 자택이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하상윤 기자


"尹, 임기 초 전용 승강기 사용... 이젠 힘들어"



박 전 경정은 윤 전 대통령 부부 자택이 위치한 서울 서초구 주상복합건물 아크로비스타의 경호 환경이 열악하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통상 전직 대통령은 (퇴임 후) 독립가옥으로 가는데, 전직 대통령은 한 담장 안에 대통령 거처와 경호동이 같이 있어야 하고 대통령 거처 안에 경호원이 있어야 하기에 별도의 경호원 대기 공간도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폐쇄회로(CC)TV도 독립 CCTV로 관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대통령의 옆집을 경호CP(지휘소)로 사용할 수 있는데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이 임기 초반 아크로비스타에서 출퇴근하던 때와는 주민 여론이 사뭇 다를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 박 전 경정은 “(대통령) 당선자 시절에는 경호CP를 아크로비스타 지하에 있는 코바나컨텐츠에 뒀고, 엘리베이터 한 대도 전용으로 사용하는 등 주민들이 많이 양해해 줬다”며 “통상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고 가면 동네 주민들도 환영식을 해 주지만 지금은 그런 분위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관기사
• 尹 부부 9일 전후로 관저에서 나온다... 아크로비스타 경호가 관건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0611450003904)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89 美백악관, 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우려…모든 옵션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4.15
43888 62년 만에 여성만 탄 우주선 비행했다 랭크뉴스 2025.04.15
43887 [사설] 中 희토류 수출 중단, 공급망 다변화로 자원전쟁 대비해야 랭크뉴스 2025.04.15
43886 EU, 美와 관세협상 당일 '보복관세 90일 보류' 확정 랭크뉴스 2025.04.15
43885 뉴욕증시, 스마트폰·컴퓨터 관세 유보 조치에 고무…급상승 출발 랭크뉴스 2025.04.15
43884 "많은 사람 구속해봤지만‥이게 왜 내란?" 큰소리 랭크뉴스 2025.04.15
43883 유엔 "미얀마 강진 잔해 트럭 12만5천대 분량" 랭크뉴스 2025.04.15
43882 [사설] ‘평화 계엄’ 주장한 尹… 여전한 궤변과 책임 떠넘기기 랭크뉴스 2025.04.15
43881 “10년 내 세상 바꿀 양자컴퓨팅 리더 찾아라” 미 DARPA, 옥석 가리기 프로젝트 랭크뉴스 2025.04.15
43880 쿠르스크 주민들 "우린 지옥에 살았다"...조국 러시아 원망 랭크뉴스 2025.04.15
43879 블루 오리진, 여성만 탑승한 우주선 발사…1963년 이후 처음 랭크뉴스 2025.04.15
43878 누적 부채 21조에 'KTX 교체' 임박…적자구조 개선 논의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3877 비상계엄 당시 ‘상관 지시 거부’한 군 지휘관 “항명죄로 징역형 구형 박정훈 대령 떠올랐다” 랭크뉴스 2025.04.14
43876 지하 공사장 인근 땅이 꺼진다…서울·부산 계속되는 '발밑 공포' 랭크뉴스 2025.04.14
43875 오늘·바로·지금…‘새벽’으론 부족한 배달 경쟁 랭크뉴스 2025.04.14
43874 [Who] 트럼프 관세 정책 핵심… 경제 책사 ‘스티븐 미란’ 랭크뉴스 2025.04.14
43873 폐기될 샌드위치 노숙자 나눠줬다가 해고된 프랑스인 랭크뉴스 2025.04.14
43872 "2년 전 지반 불량 지적했는데‥" 위험 신호 무시했다가 피해 커졌나? 랭크뉴스 2025.04.14
43871 가짜 신분증으로 전자담배 구매…규제 빈틈 노린 학교 앞 ‘무인 판매점’ 랭크뉴스 2025.04.14
43870 中의존의 덫…삼성은 제조기지 이전했는데 탈중국 못한 애플, 왜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