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 발언
"尹 파면으로 경호처 등 돌리고
김성훈·이광우도 통제력 잃어"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거처 이전이 논의되고 있는 6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옥상에서 경호처 관계자가 망원경으로 주변을 살피고 있다. 최주연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퇴거가 임박한 가운데,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경호원 이탈 조짐이 뚜렷한 데다 대체 인력 충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직 대통령 파면에 따른 후폭풍의 일면이다.

"윤 경호 인력, 떠나려 해... 기존 관례와 달라"



박근혜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박관천 전 경정은 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보통 대통령의 현직 시절 수행경호부에 있던 사람들이 (대통령 퇴임 후) 함께 나가 전직 대통령을 경호하는 게 관례인데, 이번에는 나가는 인원이 상당해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애를 먹고 있다는 말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찰 간부후보생 출신인 박 전 경정은 김영삼 정부 때 청와대 경호실, 박근혜 정부 땐 청와대 비서실에서 각각 근무했다. 박 전 대통령의 비선 실세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씨의 전남편 정윤회씨의 국정 개입 의혹을 담은 이른바 ‘정윤회 문건’ 작성자이기도 하다.

박 전 경정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고 영광스럽게 나가는 것도 아니고, 불미스러운 일로 나가는 것이 아니냐”며 “(윤 전 대통령의) 밑에서 입의 혀처럼 굴던 사람들이 제일 먼저 등을 돌리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김건희 여사도 빨리 한남동 관저를 떠나고 싶어 한다고 한다"며 "하지만 대책 없이 (경호처를) 쪼다 보니 직원들 불만이 크다”고 전했다.

윤 전 대통령을 비호하던 대통령경호처 내 ‘강경파’에 대한 언급도 했다. 김 차장이나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대해 박 전 경정은 “이들은 (경호처에서) 통제력을 점점 잃고 있다”고 진단한 뒤 “(윤 대통령에게) 충성을 다하겠다고 현직 때 맹세한 김성훈이나 이광우는 사표를 쓰고 개인 신분으로 나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파면을 결정한 4일, 윤 전 대통령 자택이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하상윤 기자


"尹, 임기 초 전용 승강기 사용... 이젠 힘들어"



박 전 경정은 윤 전 대통령 부부 자택이 위치한 서울 서초구 주상복합건물 아크로비스타의 경호 환경이 열악하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통상 전직 대통령은 (퇴임 후) 독립가옥으로 가는데, 전직 대통령은 한 담장 안에 대통령 거처와 경호동이 같이 있어야 하고 대통령 거처 안에 경호원이 있어야 하기에 별도의 경호원 대기 공간도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폐쇄회로(CC)TV도 독립 CCTV로 관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대통령의 옆집을 경호CP(지휘소)로 사용할 수 있는데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이 임기 초반 아크로비스타에서 출퇴근하던 때와는 주민 여론이 사뭇 다를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 박 전 경정은 “(대통령) 당선자 시절에는 경호CP를 아크로비스타 지하에 있는 코바나컨텐츠에 뒀고, 엘리베이터 한 대도 전용으로 사용하는 등 주민들이 많이 양해해 줬다”며 “통상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고 가면 동네 주민들도 환영식을 해 주지만 지금은 그런 분위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관기사
• 尹 부부 9일 전후로 관저에서 나온다... 아크로비스타 경호가 관건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0611450003904)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59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사고 닷새째…실종자 밤샘 수색 랭크뉴스 2025.04.15
43958 수도권 1분기 분양 70%↓… 건설사 진퇴양난 랭크뉴스 2025.04.15
43957 "메시지 계엄"‥사과·반성 없는 82분의 '강변' 랭크뉴스 2025.04.15
43956 오락가락 트럼프 또 '관세 변덕'…"반도체 일부기업에 유연성"[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15
43955 K-스타트업에 쏠린 표심…대선판 흔드는 AI·반도체 공약 랭크뉴스 2025.04.15
43954 [속보] 美, 반도체·의약품 안보 영향 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15
43953 "AI 고급인재에 軍 면제"…韓 AI 특허, 中 8% 수준[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15
43952 한은 "정치 불확실성 여전히 계엄 전보다 월등히 높아" 랭크뉴스 2025.04.15
43951 “몇시간 사건이 내란? 법리에 안 맞아”… 尹, 기존입장 되풀이 랭크뉴스 2025.04.15
43950 트럼프, 차 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반도체 등 관세 부과 수순 랭크뉴스 2025.04.15
43949 자나깨나 입조심… ‘대선 3수’ 이재명, 본선까지 ‘안정 전략’ 랭크뉴스 2025.04.15
43948 탄핵됐어도 경호시설 예산 140억 집행될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5
43947 [속보]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46 태양광 비리 쫓던 檢, '여론조사 조작' 꼬리를 찾았다...무더기로 발견된 휴대폰 랭크뉴스 2025.04.15
43945 [샷!] "임신·사고쳤다는 오해 받을까봐…" 랭크뉴스 2025.04.15
43944 "반대 없습니까" 불통의 K주총…젠슨황이 설명, 소통의 美주총 [K주총의 그늘] 랭크뉴스 2025.04.15
43943 3년 만에 가입자 2000만 돌파…신용점수도 '이만큼' 올렸다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5
43942 선고일 화환까지 26t 치워… “한겨울에 속옷 다 젖었어요” 랭크뉴스 2025.04.15
43941 '노아의 방주' 흔적 나올까…아라라트산 유적 발굴 추진 랭크뉴스 2025.04.15
43940 [이희옥 칼럼] 美, 중국의 수를 잘못 읽었다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