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일(현지시간) 미국의 심장 워싱턴 곳곳엔 2m가 넘는 철제 벽이 세워져 있었다. 끝없이 이어진 철벽의 종착지는 백악관이다.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자국 국민들을 차단하기 위한 ‘철옹성’을 쌓았기 때문이다.

전국적인 반트럼프 시위가 일어난 다음날인 6일(현지시간) 백악관을 비롯한 워싱턴 곳곳에 높은 철장이 설치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를 혼란에 빠뜨린 상호관세를 직접 발표한 바로 다음날인 지난 3일(목요일) 플로리다로 직행해 주말 내내 골프장에 머물렀다. 시민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귀를 닫으려 한다″며 그의 관세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평소 시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던 백악관 앞 도로엔 무장 병력이 배치됐다.

경호 요원들은 “대통령을 보호하기 위해 통행이 제한된다”고 했지만, 정작 백악관엔 트럼프 대통령은 없었다. 관세폭탄을 던진 바로 다음날인 지난 3일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타고 플로리다 마이애미로 직행해 목요일부터 주말까지 내내 골프를 쳤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를 조롱하듯 소셜미디어에 드라이버 샷을 날리는 동영상을 직접 올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골프 드라이버를 치는 영상을 직접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직후 마이애미에서 주말 내내 골프를 치면서 미국 언론의 강한 비판을 받아왔다. 트럼프 대통령 SNS 캡쳐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골프장에서 동반자들이 외치는 ‘굿샷(good shot)’ 연호에 심취해 있던 사이 뉴욕증시의 시가총액 6조 6000억 달러(약 9645조원)가 증발했다.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부담에 내몰린 서민 60만명은 거리로 나서 50개주 전역에서 진행된 반(反)트럼프 시위 ‘손을 떼라(hands off)’에 참여했다.

철장 사이로 멀리 보이는 백악관을 한동안 바라보던 패트리스 볼러는 “나도 어제 워싱턴 집회에 참석했는데 트럼프는 끝내 철장까지 세워 귀를 닫았다”며 “트럼프 때문에 시민들의 인권과 권리가 매일 도전받는 상황에 대해 분노하지 않는 것이 더 이상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전국적인 반트럼프 시위가 일어난 다음날인 6일(현지시간) 백악관을 비롯한 워싱턴 곳곳에 높은 철장이 설치됐다. 백악관 앞에서 만난 패트리스 볼러는 본지에 "트럼프 대통령이 철장을 쳐서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닫았다"고 비판했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그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해 “절대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 난센스”라고 했다. 그러면서 “무역은 물론 경제에도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악영향을 끼쳐 결국 모든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적 반트럼프 시위가 일어난 다음날인 6일(현지시간) 워싱턴 곳곳에 높은 철장이 설치됐다. 터널 챈스는 본지에 "트럼프의 정책은 부자들만을 위한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가족들과 백악관을 찾았다가 철창에 가로막혀 발길을 돌리던 터널 챈스는 “관세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든다는 말은 부자와 힘 있는 사람들만을 위한 구호”라며 “나 같은 서민들에게 미국은 한 번도 위대한 적이 없었고, 트럼프가 돌아온 뒤 끔찍한 일만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그 역시 관세가 트럼프의 정책 중 가장 나쁜 선택이라고 했다. 챈스는 “관세는 결국 없는 사람들이 물건을 살 때 더 내야 하는 세금에 불과하다”며 “트럼프의 모든 정책은 서민과 중산층이 아닌 부자와 권력자, 영향력이 있는 대기업 CEO들만이 더 큰 힘을 얻기 위한 속임수”라고 했다.
전국적인 반트럼프 시위가 일어난 다음날인 6일(현지시간) 백악관을 비롯한 워싱턴 곳곳에 높은 철장이 설치됐다. 평소 시민들이 자유롭게 출입했던 백악관 앞 도로엔 무장 병력이 배치됐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미국 전역이 관세 정책에 대한 불안감에 휩싸였을 때 SNS에 “버티라”는 짧은 글을 올렸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늦게 골프장을 떠나 워싱턴으로 복귀했다. 상호관세 발표 이후 4일만에 워싱턴으로 돌아오는 기내에서 기자들과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했고, 주가 폭락에 대해선 “때때로 무언가를 고치려면 약을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에 대한 강한 반발 여론에도 “관세가 수십억 달러를 미국에 가져올 것”이라며 “대(對)중국 무역 적자 1조 달러를 해결하기 전까지는 협상하지 않겠다”고 했다. 관세 정책을 고수하겠다는 의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 기지로 이동하는 동안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취재진과 대화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유럽연합(EU)에 대한 무역 적자를 거론하며 “유럽은 미국으로부터 많은 돈을 벌고도 미국을 나쁘게 대우한다”며 “우리는 그렇게 하면서 유럽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돈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쓸 수 없다”고 강조했다.

EU가 무역흑자 규모를 줄이지 않으면 동맹 안보에서 손을 떼겠다는 협박에 가까운 말로, 이는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한국에도 언제든지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통보한 한국에 대한 25%의 상호관세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를 비롯해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동맹국 중에서 가장 높다.

전국적인 반트럼프 시위가 일어난 다음날인 6일(현지시간) 백악관을 비롯한 워싱턴 곳곳에 높은 철장이 설치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를 혼란에 빠뜨린 상호관세를 직접 발표한 바로 다음날인 지난 3일(목요일) 플로리다로 직행해 주말 내내 골프장에 머물렀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이에 대해 맥 셸리 아이오와 주립대 교수는 이날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관세 정책의 성격은 근본적으로 국내 문제인 동시에 국제 문제”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관세를 통해 나토의 핵심 요소를 뒤흔들고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다국적 동맹 구조나 한국 등 개별 동맹국과의 관계에서 관세를 협상 카드로 제시할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 있다”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82 트럼프, '정책 반기' 하버드大에 '면세 지위' 박탈 위협(종합) 랭크뉴스 2025.04.16
48981 62년 만에 첫 ‘여성만 탄’ 우주선, 무중력 체험 뒤 지구로 무사귀환 랭크뉴스 2025.04.16
48980 "트럼프 對中무역전쟁, 펜타닐·대만·틱톡 등 현안 논의 방해" 랭크뉴스 2025.04.16
48979 "잠시만요, 고객님!"…신입 은행원의 놀라운 촉, 5000만원 지켰다 랭크뉴스 2025.04.16
48978 "눈 떠보니 집 앞이 '쓰레기산'이에요"…환경미화원 파업에 비상 걸린 英 도시 랭크뉴스 2025.04.16
48977 '수억 원대 금품 수수 혐의' LS증권 전 본부장 구속 랭크뉴스 2025.04.16
48976 “미국장 뜨는 건 이익의 질 때문…한국선 방산 폭발력 주목” 랭크뉴스 2025.04.16
48975 러, 나발니 취재한 기자 4명에 징역 5년6개월형 랭크뉴스 2025.04.16
48974 뉴욕지수, 관세 감면 기대에 상승 출발 랭크뉴스 2025.04.16
48973 민생·통상·재난 12조 추경…“초당적 협조를” 랭크뉴스 2025.04.16
48972 세상 떠난 가수 추모 앨범에 누드 사진을…"용서 못해" 日 발칵 랭크뉴스 2025.04.16
48971 경호차장 “이달 내 사퇴”…‘수사·연판장’에 압박 느낀듯 랭크뉴스 2025.04.16
48970 하버드 때리기 나선 트럼프… "면세 지위 박탈할 수도" 랭크뉴스 2025.04.16
48969 3개월 갓난아이 분유 먹인 뒤 잠든 친부…숨진 아이 놓고 '무죄' 주장 랭크뉴스 2025.04.16
48968 ‘출마설’ 한덕수, 광주 찾아 “관세 부담 최소화 위해 최선” 랭크뉴스 2025.04.16
48967 '재판관'이 소환한 '어른'‥어둠 밝혀줄 '희망' 랭크뉴스 2025.04.16
48966 [단독] '청부 민원' 류희림, 계엄 뒤 휴대폰 두 번 바꿔‥권익위에 재조사 요청 랭크뉴스 2025.04.16
48965 "몸에 안 좋은 줄 알았는데"…억울하게 누명 쓴 '사카린' 반전 연구 결과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16
48964 멕시코 '물 빚' 청산 나섰나…댐 방류량 6.7배 늘려 랭크뉴스 2025.04.16
48963 "우리 애 간식 편의점에서 사줬는데 어쩌나"…당·나트륨 함량 "이럴 수가"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