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이 현실화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계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정치권 인사들이 개헌 논의가 필요하다며 한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김부겸 전 총리는 오늘(7일) SNS를 통해 "개헌과 내란종식은 동전의 앞뒷면으로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내란 수습을 핑계로 개헌을 방관하는 태도는 안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오늘 개헌 요구에 "필요하지만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는 입장을 내놓은 데 대한 반박으로 풀이됩니다.
김 전 총리는 "대한민국을 새롭게 출발시킬 대안을 마련해야 하고 이번 대선이 기회"라며 "진정한 내란 종식, 개헌으로 완성하자"고 말했습니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SNS를 통해 "이번 조기대선은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느냐 마느냐를 가늠 짓는 선거"라며 "우원식 국회의장의 대선·개헌 동시 투표 제안에 적극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김 지사는 "분권형 4년 중임제 등 공감대가 큰 사안은 대선과 동시 투표하고, 국민적 동의가 더 필요한 부분은 대선 공약을 통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어제(6일) 우 의장의 개헌 추진 제안에 "적극 동의하며 환영한다"며 "이번 대선에서 여야가 합의 가능한 범위의 개헌부터 먼저 하자"고 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불법 계엄 방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행정수도 이전 및 강력한 지방분권, 국민의 직접 민주주의 확대와 기본권 강화와, 견제와 균형에 입각한 행정부와 입법부 관계 재정립, 국정운영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권력구조 개편 등 다양한 개헌 과제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도 우 의장의 개헌 제안 후 민주당 내에서 개헌 반대 입장이 잇따라 나오자 SNS에 글을 올려 "너도나도 '개헌이 나중'이라는 이 흐름에 절망한다"며 "개헌은 새 질서"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전 의원은 "새 질서를 만들자는데 '나중에 하자'면 도대체 언제 하자는 말이냐"며 "'나중에 하자'는 '하지 말자'와 사실상 같은 말"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어제 우원식 의장이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하자고 제안한 데 대해 민주당 지도부와 친명계 의원들 사이에선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부겸 전 총리는 오늘(7일) SNS를 통해 "개헌과 내란종식은 동전의 앞뒷면으로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내란 수습을 핑계로 개헌을 방관하는 태도는 안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오늘 개헌 요구에 "필요하지만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는 입장을 내놓은 데 대한 반박으로 풀이됩니다.
김 전 총리는 "대한민국을 새롭게 출발시킬 대안을 마련해야 하고 이번 대선이 기회"라며 "진정한 내란 종식, 개헌으로 완성하자"고 말했습니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SNS를 통해 "이번 조기대선은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느냐 마느냐를 가늠 짓는 선거"라며 "우원식 국회의장의 대선·개헌 동시 투표 제안에 적극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김 지사는 "분권형 4년 중임제 등 공감대가 큰 사안은 대선과 동시 투표하고, 국민적 동의가 더 필요한 부분은 대선 공약을 통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어제(6일) 우 의장의 개헌 추진 제안에 "적극 동의하며 환영한다"며 "이번 대선에서 여야가 합의 가능한 범위의 개헌부터 먼저 하자"고 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불법 계엄 방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행정수도 이전 및 강력한 지방분권, 국민의 직접 민주주의 확대와 기본권 강화와, 견제와 균형에 입각한 행정부와 입법부 관계 재정립, 국정운영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권력구조 개편 등 다양한 개헌 과제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도 우 의장의 개헌 제안 후 민주당 내에서 개헌 반대 입장이 잇따라 나오자 SNS에 글을 올려 "너도나도 '개헌이 나중'이라는 이 흐름에 절망한다"며 "개헌은 새 질서"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전 의원은 "새 질서를 만들자는데 '나중에 하자'면 도대체 언제 하자는 말이냐"며 "'나중에 하자'는 '하지 말자'와 사실상 같은 말"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어제 우원식 의장이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하자고 제안한 데 대해 민주당 지도부와 친명계 의원들 사이에선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