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강공일변도에 연준도 요지부동…"관세정책 변화 있어야"
관세협상 따라 충격완화 여지…정치불안 해소로 악영향 상쇄 기대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이민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벌인 관세전쟁의 충격으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가 코로나19 팬데믹 못지않은 대폭락장에 직면했다.

국내 증시 역시 4개월간의 정책 공백 해소라는 호재에도 힘 한번 쓰지 못한 채 연일 급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증시에서는 이 같은 대폭락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를 볼 때 당분간 반등의 계기를 찾기는 쉽지 않다는 비관적 전망이 커지고 있다.

코스피 급락에 매도 사이드카 발동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는 가운데 업무용 모니터에 프로그램매도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 발동 관련 보도가 나오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2분 11초에 코스피200선물지수의 변동으로 5분간 프로그램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됐다. 코스피시장에서는 글로벌 증시가 급락한 지난해 8월 5일 '블랙먼데이' 당시 매도 사이드카, 다음날인 6일에는 급등으로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된 바 있다. 2025.4.7 [email protected]


7일 코스피는 오전 9시 12분 코스피200선물지수의 급변동으로 인해 지난해 8월 5일 '블랙먼데이' 이후 8개월 만에 사이드카(side car·5분간 프로그램 매매 중단)가 발동됐다.

오전 한때 5.59% 약세로 2,327.61까지 내리는 등 4~5%대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26일 2,643.94였던 지수는 지난주까지 7거래일 동안 180포인트 가까이 빠진 데 이어 이날 100포인트 넘게 내려 52주 최저치를 경신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오전에 벌써 1조원이 넘는 순매도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코스피200선물도 1조원 가까운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시가총액 100위권 내에서 1%대 강세인 한국전력 외 전 종목이 내리고 있고, 업종별로도 전부 내림세다.

코스피 2,400 붕괴, 4%대 하락 출발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06.17p(4.31%) 내린 2,359.25로 개장했다. 원/달러 환율은 27.9원 오른 1,462.0원, 코스닥지수는 20.37p(2.96%) 내린 667.02로 시작했다. 2025.4.7 [email protected]


이날 증시는 지난주 말(현지시간 4일) 뉴욕 증시가 연이틀 대폭락한 영향으로 일찌감치 하락장이 예고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에 맞서 중국이 동률 34%의 '맞불 관세'를 예고하자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5% 넘게 급락했다.

전날까지 포함한 주요 지수 누적 낙폭이 9~11%였고, 이틀간 증발한 시가총액은 9천600조원에 달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글로벌 증시 대폭락이 과거 역대급 폭락장과 비견될 만한 위기 상황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난해 블랙먼데이는 비교 대상이 아니다. 이번은 당시 위기를 넘어섰다"며 "대공황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인 만큼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본부장도 보고서에서 "최근 급락은 과거보다 더 큰 규모로, 현 시점에서 느끼는 충격은 코로나19 팬데믹 때보다 큰 상황"이라고 짚었다.

위기를 초래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변화 조짐이 없다는 점이 이 같은 분석의 주요 배경이다.

자산시장의 붕괴 위기에도 트럼프 행정부는 50개 이상의 국가가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해 문의했다며 기존 정책 기조를 고수했다.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언젠가 사람들은 미국을 위한 관세가 매우 아름다운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세로 인한 기업 펀더멘털의 악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증시가 기대를 걸 수 있는 것은 통화정책이지만,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 같은 기대에 부응할지도 미지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뉴욕 증시 폭락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고율 관세에 따른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를 경고하며 통화정책 변화에 유보적 입장을 밝혔다.

김성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정책이 유지될 경우 세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추세적 반등은 쉽지 않을 전망"이라며 "트럼프 관세정책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래픽] 이번주 코스피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코스피가 4일 간밤 뉴욕증시의 폭락에도 국내 정치 불안 해소에 힘입어 제한적인 낙폭을 보였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21.28포인트(0.86%) 내린 2,465.42에 장을 마감했다.
[email protected]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다만 글로벌 관세전쟁의 태풍이 몰아치는 한가운데도 희망이 없지는 않다는 분석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면전을 선포했지만 교역 상대국과의 협상 과정에 따라 충격의 정도는 약해질 수 있다.

46%의 초고율 상호관세가 결정된 베트남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0%로 낮출 수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도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 부과가 예정된 오는 10일을 앞두고 갈등 완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여전하다.

증시가 극단적 투매 이후 급락분을 만회한 과거 선례들도 참고할 만하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단기간 폭락이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시장의 공포심이 팬데믹 이후 최대치에 달한 점을 볼 때 낙폭과대 인식에 따른 기술적 반등은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은 강경 일변도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변화할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하는 추세에서 하반기에는 중간선거 대비를 위해서라도 전략을 선회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관세전쟁의 가장 큰 충격을 받는 곳은 사실 미국이다. 나머지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점은 최근 비(非)미국 증시의 상대적 선방에 반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날 급락장세에 빛이 바래긴 했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의 해소와 내수 회복 기대감, 대선 국면 돌입에 따른 정책 모멘텀 강화가 관세 충격을 상대적으로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61 "나이키 대신 아디다스" 인증 줄줄이… 유럽 '미국산 보이콧' 커진다 랭크뉴스 2025.04.15
48860 매일 붙어 있었는데…생후 7개월 아이, 반려견 습격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15
48859 몸 은밀한 곳에 필로폰 숨겨 밀반입한 30대 2명 징역 8년 랭크뉴스 2025.04.15
48858 민주 대선경선, 이재명·김동연·김경수 3파전으로 확정 랭크뉴스 2025.04.15
48857 反明 ‘공포 마케팅’ 실효성엔 물음표 랭크뉴스 2025.04.15
48856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 백종원의 결심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5
48855 툭 하면 날아드는 골프공…불안해 살겠나? 랭크뉴스 2025.04.15
48854 "우리 아이 소변 색 봤다가 '깜짝'"…독감 걸린 후 '이 병'으로 입원한다는데 랭크뉴스 2025.04.15
48853 용인서 부모·아내·두 딸까지 5명 살해…5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4.15
48852 이국종 "입만 터는 문과X들이 해먹는 나라"…의료∙군조직 작심 비판 랭크뉴스 2025.04.15
48851 “이진숙 종군기자 경력은 허위” 주장한 유튜버들 2심도 벌금형 랭크뉴스 2025.04.15
48850 버스 승객 47명 다쳤는데…드러누워 ‘인증샷’ 찍은 중국인 여성들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15
48849 LIG넥스원 10% 주주로…국민연금, 원전·방산·조선株 늘렸다 랭크뉴스 2025.04.15
48848 국민의힘 경선에 11명 후보 등록‥'대망론' 한덕수는 불참 랭크뉴스 2025.04.15
48847 "누가 X 싸고 내렸다"…지하철 9호선 인분 소동,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15
48846 [단독] 'IFC' 떼내는 현대제철 …동국제강이 전격 인수[시그널] 랭크뉴스 2025.04.15
48845 "미묘한 시기에 호남갔다"…불출마 침묵한 韓 대행 광폭행보 랭크뉴스 2025.04.15
48844 김부겸 측 "제3지대 '빅텐트' 금시초문‥김부겸은 민주당원" 랭크뉴스 2025.04.15
48843 안철수·나경원의 동시다발 ‘한동훈 때리기’는 4강 전략? 랭크뉴스 2025.04.15
48842 이재명 “공수처 대폭 강화···한·중 관계는 중국도 상당한 책임”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