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2년 4월 13일 당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브리핑룸에서 2차 국무위원 후보 및 대통령 비서실장 인선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오른쪽은 법무부 장관에 내정된 한동훈 당시 사법연수원 부원장. 중앙포토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2년 3월 대선에서 승리하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출범하기 직전 친윤계 핵심 A 의원은 당선인 신분이던 윤 전 대통령과 만났다. 그와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던 A는 의외의 미션을 받았다. “가서 한동훈을 만나 봐라. 나는 너무 가까워서 공정한 평가를 할 수 없다”는 이유였다. A에 따르면 이렇게 “내가 친해서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 인사 리스트에 올린 사람 중 윤 전 대통령이 주변에 평가를 맡긴 인물은 두 명이었다. 당시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과 이상민 변호사. 그 둘은 윤석열 정부 초대 법무부 장관과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낙점되면서 실세로 부상했다.

윤 전 대통령이 A에게 내린 또 다른 미션은 “서로 도움이 될 테니 한동훈과 잘 지내보라”였다. 대선판 한가운데서 이미 정권 창출의 경험을 해본 A에게 자신의 최측근과 교류를 하라는 건 무슨 의미였을까. A는 이렇게 해석했다. “대통령은 한동훈도 드라마를 만든다면 차기 대통령 후보가 될 수 있다고 본 것 같다.”

윤 전 대통령의 밑그림은 예상보다 빨리 등장했다. 지난해 4월 총선을 앞두고 위기감을 느낀 여권은 2023년 12월 국민의힘의 당권을 한동훈 당시 법무부 장관에게 맡겼기 때문이다. 그렇게 혜성처럼 집권 여당의 당수로 등장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앞길은 꽃길보단 가시밭길에 가까웠다.

위원장 취임 직후부터 김건희 여사 특검법 문제로 삐걱거리던 윤·한 관계는 마리 앙투아네트 논란이 불거지면서 최악으로 치달았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전화를 받은 한 전 대표도 물러서지 않다가 결국 전화를 먼저 끊었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총선 대패엔 ‘윤·한 갈등’도 작용했다는 평가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한동훈 전 대표는 3개월 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출마해 60%가 넘는 득표율로 당권을 쟁취했다.

지난해 10월 21일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를 만나 대화하며 차담 장소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한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이 아니라 당 대표가 되고서도 둘의 불편한 기류는 이어졌다. 특히 지난해 9월 한 전 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지도부와 윤 전 대통령의 만찬 직전 벌어진 일은 둘의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당시 만찬 장소인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분수정원에 참석자들이 집결했고, 윤 전 대통령이 곧 도착할 상황이었다.

당시 잠시라도 독대해 김건희 여사 문제 등 현안에 관해 긴밀히 대화하기를 원했던 한 전 대표와 달리 윤 전 대통령은 독대를 거부했고, 이 과정에서 양측의 감정의 골은 깊어졌다. 만찬 현장에서도 한 전 대표와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 문제를 두고 언성을 높였다.

윤 전 대통령이 곧 도착할 상황에서 대통령실은 한 전 대표가 영접을 거부하려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반면 한 전 대표는 독대를 거부하며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대통령실에 항의하는 과정에서 실랑이가 벌어진 것이다.

결국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나서 설득하며 한 전 대표는 영접에 나섰지만, 이때 오간 얘기는 여러 입을 통해 퍼져 나갔다.

윤 전 대통령에게 파국을 안긴 12·3 비상계엄 때도 둘은 충돌했다. 계엄 당일 여권에서 가장 먼저 계엄에 반대한다는 메시지를 낸 정치인은 한 전 대표였다. 계엄 이튿날 윤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 등 여권 핵심부가 모인 자리에선 한 전 대표는 “왜 저를 체포하라 하셨느냐”고 따졌다고 한다.

지난해 12월 16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대표직 사퇴 발표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뉴스1

비록 “집권당 대표가 어떻게 대통령 탄핵을 주도하냐”는 반발 때문에 한 전 대표는 국민의힘 대표직에서 쫓겨나듯 물러났지만, 헌법재판소 파면 선고 이후 그나마 보수의 정당성을 지켰다는 점에서 조기 대선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젊은 대표가 (계엄 해제에 앞장서) 대단히 용감했다”(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는 평가와 “배신자”(홍준표 대구시장)란 비난이 보수 진영 내부에 공존한다. 한 전 대표가 넘어야 할 대권 가도의 제1 관문은 이렇듯 확연히 갈리는 여론 사이에서 중심을 잡고 보수 지지층을 규합하는 일이다. 윤 전 대통령의 정치 생명은 끝났지만, 윤·한 갈등의 최종 결말은 아직 열려 있는 셈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91 “마지막 소명” 언급한 한덕수…전략적 모호성 유지하며 출마 저울질 랭크뉴스 2025.04.15
43890 [여론조사③] 중도층 66% "윤석열, 부정적 영향 클 것" 랭크뉴스 2025.04.15
43889 美백악관, 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우려…모든 옵션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4.15
43888 62년 만에 여성만 탄 우주선 비행했다 랭크뉴스 2025.04.15
43887 [사설] 中 희토류 수출 중단, 공급망 다변화로 자원전쟁 대비해야 랭크뉴스 2025.04.15
43886 EU, 美와 관세협상 당일 '보복관세 90일 보류' 확정 랭크뉴스 2025.04.15
43885 뉴욕증시, 스마트폰·컴퓨터 관세 유보 조치에 고무…급상승 출발 랭크뉴스 2025.04.15
43884 "많은 사람 구속해봤지만‥이게 왜 내란?" 큰소리 랭크뉴스 2025.04.15
43883 유엔 "미얀마 강진 잔해 트럭 12만5천대 분량" 랭크뉴스 2025.04.15
43882 [사설] ‘평화 계엄’ 주장한 尹… 여전한 궤변과 책임 떠넘기기 랭크뉴스 2025.04.15
43881 “10년 내 세상 바꿀 양자컴퓨팅 리더 찾아라” 미 DARPA, 옥석 가리기 프로젝트 랭크뉴스 2025.04.15
43880 쿠르스크 주민들 "우린 지옥에 살았다"...조국 러시아 원망 랭크뉴스 2025.04.15
43879 블루 오리진, 여성만 탑승한 우주선 발사…1963년 이후 처음 랭크뉴스 2025.04.15
43878 누적 부채 21조에 'KTX 교체' 임박…적자구조 개선 논의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3877 비상계엄 당시 ‘상관 지시 거부’한 군 지휘관 “항명죄로 징역형 구형 박정훈 대령 떠올랐다” 랭크뉴스 2025.04.14
43876 지하 공사장 인근 땅이 꺼진다…서울·부산 계속되는 '발밑 공포' 랭크뉴스 2025.04.14
43875 오늘·바로·지금…‘새벽’으론 부족한 배달 경쟁 랭크뉴스 2025.04.14
43874 [Who] 트럼프 관세 정책 핵심… 경제 책사 ‘스티븐 미란’ 랭크뉴스 2025.04.14
43873 폐기될 샌드위치 노숙자 나눠줬다가 해고된 프랑스인 랭크뉴스 2025.04.14
43872 "2년 전 지반 불량 지적했는데‥" 위험 신호 무시했다가 피해 커졌나?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