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게티이미지=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강화 기조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에 대해 “고려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선을 그었다.
6일(현지 시각) 미국 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베선트 장관은 “지난달 고용지표만 봐도 미국 경제가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4일 발표된 고용지표에 따르면 일자리 증가세는 여전히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상호관세 발표 직후 미 증시가 급락한 데 대해 그는 “무엇보다 인상 깊었던 것은 금요일(4일) 증시가 기록적인 거래량을 기록했고, 시장은 질서 있게 움직였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 국민들도 이 점에서 큰 안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장 불안에 대한 질문에는 “단기적인 시장 반응은 언제든 있을 수 있다”며 “2016년 트럼프 대통령 당선 당시에도 시장이 폭락했지만, 이후 그는 100년 만에, 어쩌면 미국 역사상 가장 친(親)기업적인 대통령으로 자리매김했다”고 주장했다.
베선트 장관은 “경기침체가 반드시 올 것이라는 전제엔 동의할 수 없다”며 “시장이 하루 뒤, 일주일 뒤 어떻게 반응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우리가 집중해야 할 건 장기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조정의 시기”라며 “과거 레이건 대통령도 인플레이션을 잡고, 카터 시대 침체를 극복했을 때 일시적인 불안정을 겪었지만 결국 그 과정을 견뎠다. 우리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상대국과 협상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건 대통령의 결정”이라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누구도 하지 못한 방식으로 협상 지렛대를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이어 “50개국 이상이 무역장벽 완화, 자국 관세 인하, 통화조작 중단 의사를 미국 정부에 전달했다”며 “이들은 오랫동안 잘못된 행동을 해왔고, 며칠이나 몇 주 만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베선트 장관은 “각국이 제시하는 안이 믿을 수 있는지 지켜봐야 한다”며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20년, 30년, 혹은 40~50년이 지나도 과거의 잘못은 쉽게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