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 사진공동취재단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12·3 비상계엄의 위헌·위법성을 대부분 인정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우두머리 형사 재판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헌재는 결정문에서 윤 대통령이 “국방부 장관 김용현에게 이 사건 계엄 선포와 관련하여 국회에 군대를 투입할 것을 지시했다”고 적시했다. 윤 대통령이 국회를 봉쇄하고 체포조를 운영한 사실,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군에 지시한 점 등 내란죄에 해당하는 사실관계 역시 대부분 인정했다. 윤 전 대통령은 자신이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에게 전화를 했지만 당시 상황을 확인했을 뿐 국회의원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는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헌재는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없을 경우 당시 국회에 투입된 군의 움직임이 설명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정치인 체포 지시가 아니라 격려 전화를 걸었다’는 윤 전 대통령 주장도 “믿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탄핵 재판에선 위헌·위법 행위를 한 공직자 파면 여부 판단이 목적이지만, 형사 재판에선 처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사실관계를 따질 때 더 엄격한 증명을 요구한다. 윤 전 대통령 재판에서도 합리적 의심이 없을 정도로 내란 혐의가 입증돼야 한다. 그럼에도 법조계에서는 헌재의 판단이 윤 전 대통령 형사 재판에서도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임지봉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6일 “국회의원을 끌어내고 체포조를 운영했다는 지시는 내란죄 구성요건인 ‘국헌문란의 목적’을 입증하기 위한 중요 쟁점들”이라며 “형사 재판이 탄핵심판의 결정을 따라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같은 사법기관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차원에서 간접적으로라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본다”고 짚었다.

헌재가 “병력 투입으로 국회의 계엄해제요구권 행사를 방해해 포고령의 효력을 ‘상당 기간’ 지속시키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판시한 대목도 내란죄 성립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다. 1997년 대법원은 전두환 신군부가 1980년 5월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한 내란 사건 재판에서 계엄군의 국회 장악과 관련해 “상당 기간 (국회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만드는 것” 역시 ‘국헌문란 목적’이 인정된다고 판결했다. 차성안 서울시립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비상계엄을) ‘상당 기간 지속’하고자 했다면 시민들의 저항과 군경의 소극적 저항으로 두세시간 만에 계엄이 종료됐어도 내란죄 국헌문란 목적이 인정된다”며 “헌재가 (형사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의) 내란죄 성립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결론을 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14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5번째 불출석…法 "더는 소환 안 하겠다" 랭크뉴스 2025.04.07
45013 경찰 “尹 사저 경호, 경호처 요청 오면 경찰력 동원해 지원” 랭크뉴스 2025.04.07
45012 '공천 헌금 1억 수수' 혐의 건진법사, 첫 재판서 "돈은 받았지만 죄는 아냐" 랭크뉴스 2025.04.07
45011 [속보] 이재명 "개헌 필요하지만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 랭크뉴스 2025.04.07
45010 수원 공군기지서 전투기 무단 촬영한 중국인 2명 입건 랭크뉴스 2025.04.07
45009 "아니 헌법이 뭘 잘못했냐고‥" 국회의장 담화에 '역풍' 랭크뉴스 2025.04.07
45008 지뢰 109개·불발탄 15개…'지뢰 찾기' 세계 신기록 보유자 정체 랭크뉴스 2025.04.07
45007 “수상한 사람이”…전투기 무단 촬영한 10대 중국인들 입건 랭크뉴스 2025.04.07
45006 ‘윤석열의 멘토’ 신평 “윤 예언자적 점지로 국힘 대선후보 뽑힐 것” 랭크뉴스 2025.04.07
45005 이재명, 재판 증인 다섯번째 불출석…법원 “더 소환 않겠다” 랭크뉴스 2025.04.07
45004 우의장 "정당간 합의만큼 개헌하면 돼…국민투표법 개정 서두르자" 랭크뉴스 2025.04.07
45003 귀갓길 계단서 쓰러진 50대 목수…6명 살리고 떠났다 [아살세] 랭크뉴스 2025.04.07
45002 “尹 이해한다”던 인요한, 파면 후 BBC엔 “대가 치르는 중” 랭크뉴스 2025.04.07
45001 ‘죽은 윤석열’ 누가 먼저 버릴까, 극우·국힘·검찰 [4월7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4.07
45000 아내 외도 현장 덮쳐 찍은 '불륜 영상'…처가·자녀에 뿌린 男 결국 랭크뉴스 2025.04.07
44999 이재명 ‘대장동 증인’ 5회 연속 불출석···재판부 “더 이상 소환 안 한다” 랭크뉴스 2025.04.07
44998 용혜인의 걱정…‘내란기록 은폐 방지법’ 발의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7
44997 대구 경찰, SNS에 ‘낙상 마렵다’ 올린 20대 대학병원 간호사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7
44996 “대통령 근접한 사람이 개헌 거부” 국힘, 이재명 압박 랭크뉴스 2025.04.07
44995 이재명, 대장동 재판 5번째 불출석…법원, 증인소환 포기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