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가경제위원장·재무·상무 이구동성
‘단기 협상 통한 유예’ 가능성 일축
“소비자 부담·경기 침체” 우려 반박
케빈 해셋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지난달 19일 워싱턴 백악관 웨스트윙(집무동)에서 기자들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경제팀 수뇌부가 일요일 방송에 일제히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구상을 이구동성으로 옹호했다. 발표 뒤 협상을 요청한 나라가 50개 국이 넘는다는 사실이 당위성을 방증한다는 것이다.

관세 인하 협상은 장기전



케빈 해셋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6일(현지시간) 미 ABC방송 ‘디스위크’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2일 새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뒤) 50개 이상의 국가가 대통령에게 협상 개시를 요청해 왔다는 보고를 어젯밤 미국무역대표부(USTR)로부터 받았다”고 밝혔다.

그가 보기에 이는 관세 정책을 밀어붙일 수 있는 명분이다. “그들은 자기들이 많은 관세를 부담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며 “따라서 나는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수출업자들이 가격을 깎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도 이날 미 CBS방송 ‘페이스더네이션’ 인터뷰에서 50여 개국의 접촉 시도와 관련해 “이 모든 나라들이 우리를 속여 왔다는 것을 알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제 그 일을 끝낼 때가 됐다”고 말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2일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를 주제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행사에 참석해 있다. 워싱턴=UPI 연합뉴스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는 강행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새 관세 정책 발표 당시 5일부터 모든 교역 상대국에 10%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9일부터는 ‘최악의 침해국’들을 상대로 개별 관세(10%+α)를 물리겠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대통령이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부과 연기를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연기는 없다. 며칠 또는 몇 주간 유지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단기 협상을 통한 유예 가능성을 일축한 것이다. “그(트럼프)가 그렇게 발표했고 농담이 아니었다. 관세는 부과될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관세 인하 협상은 장기전이 되리라는 게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이야기다. 그는 이날 미국 NBC방송 ‘미트더프레스’에 나와 “며칠이나 몇 주 안에 협상을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각국이 무엇을 제안하는지, 그게 믿을 만한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 30, 40, 50년간 나쁜 행동을 했다면 그냥 깨끗이 지울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물가 안정보다 고용 창출



이들은 한결같이 관세 정책 부작용 우려를 반박했다. 헤셋 위원장은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악화하면 미국 소비자가 그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하는데 미 소비자가 비용을 부담한다면 다른 나라들이 화내고 보복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가격 상승이 미국 소비자에게 큰 부담이 될 것이라면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뒤 30년간 지속돼 온 (미국의) 무역 적자가 줄어들었을 것”이라고도 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달 6일 뉴욕에서 열린 뉴욕이코노믹클럽 행사에 참석해 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베선트 장관도 “경기 침체를 고려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관세 발표 이후 미국 증시 폭락에 대해 “일회성 가격 조정”이자 “견뎌 낼 수 있는 불안정”이라고 평가하면서다.

더불어 이들이 함께 부각한 것은 트럼프표 관세 정책의 당위성이다. 헤셋 위원장은 “값싼 (중국산) 상품이 답이라면 그 기간(중국의 WTO 가입 뒤 30년간) 실질 소득이 증가했겠지만 그렇지 않았다. 임금이 물가보다 더 많이 하락했기 때문”이라며 “우리는 식료품점에서 값싼 물건을 사게 됐지만 그 결과 일자리가 줄었다”고 말했다. 물가 안정보다 고용 창출이 복지에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베선트 장관은 “우리가 주목할 것은 번영을 위한 장기적 경제 기반을 구축한다는 것”이라고 말했고, 러트닉 장관은 “이 문제(관세 부과)는 국가안보 문제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더는 이 나라에서 의약품, 배, 전투에 사용할 강철과 알루미늄을 만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40 '영리치' 몰리자 용산·성수 전세값 '평당 1억' 돌파 랭크뉴스 2025.04.07
45139 [단독] 파면 결정문, 윤석열 아닌 ‘회사동료 김OO’ 대신 수령 랭크뉴스 2025.04.07
45138 "건진법사 '공천뒷돈' 현장, 이천수가 목격"…검찰, 법원에 제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7
45137 '환율 쇼크' 원·달러 5년 만의 최대 상승폭, 엔화 환율 1000원 돌파 랭크뉴스 2025.04.07
45136 "美 100명 넘는데 韓은 9명뿐…항공사고 조사관 확보 시급"[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랭크뉴스 2025.04.07
45135 헌재 "韓대행은 마은혁 임명할 헌법상 의무 부담"…국회질의에 답변(종합) 랭크뉴스 2025.04.07
45134 하동 옥종면 산불 확산, 2단계 상향 발령…4시간째 진화 중(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7
45133 [단독] 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9일 출범…유종일 등 100여명 랭크뉴스 2025.04.07
45132 미얀마 지진 현장서 실종자 수색하는 '사이보그 바퀴벌레' 랭크뉴스 2025.04.07
45131 [단독] 윤석열 파면 결정문, 한남동 관저 ‘김OO’이 대신 수령 랭크뉴스 2025.04.07
45130 김경수·김부겸·김동연 “개헌이 내란종식”…이재명과 선그었다 랭크뉴스 2025.04.07
45129 대선·개헌 동시투표, 하루만에 난관 봉착…시기·범위 동상이몽 랭크뉴스 2025.04.07
45128 '낙상 마렵다'… 중환자실 신생아 조롱 간호사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7
45127 ‘시청역 역주행’ 운전자, 블랙박스 영상 공개 “급발진 정황” 주장…1심은 유죄 랭크뉴스 2025.04.07
45126 '사저정치' 시동거는 尹... 박근혜 탄핵 때보다 위험한 이유 랭크뉴스 2025.04.07
45125 尹 파면 뒤에도 헌재 앞에는 여전히 차벽… 일부 지지자는 한남동 모여 랭크뉴스 2025.04.07
45124 법원, 방통위 ‘신동호 EBS 사장 임명’ 제동···방심위·방통위 ‘마이웨이’는 지속 랭크뉴스 2025.04.07
45123 경남 하동 산불 2단계 발령, 주민 326명 긴급 대피 랭크뉴스 2025.04.07
45122 10대 중국인에게 공군 전투기 사진 털렸다…“비행기 촬영이 취미”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7
45121 원·달러 환율 33.7원 급등, 5년 만 최대… 엔도 3년 만 최고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