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사흘째 관저에 머물러... 주중엔 이사 완료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후 주말에 거처 이동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한남동 관저 퇴거가 논의되는 가운데 6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가 적막하다. 최주연 기자


한남동 관저는 6일에도 조용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 이후 사흘이 지났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는 관저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어제와 그제 관저를 찾은 전직 참모들과 정치인들을 만나는 데 시간을 보냈다. 거처 이동을 위한 살림살이 정리에 꽤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는 달랐다. 금요일 파면 선고 이후 일요일 밤에 관저를 떠났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은 조금 더 시간이 걸리는 상황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선고 직후 손님을 맞기도 했고, 정리해야 할 것들도 많은 걸로 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선고 이후 정진석 비서실장 등 고위 참모들, 권영세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 이어 나경원 의원 등과 차례로 관저에서 만나 인사를 나눴다. 다만 윤 전 대통령 본인은 물론이고 측근들이 대부분 복귀를 예상했던 터라 정리에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수요일인 9일 전후로 이사를 완료할 계획이라는게 윤 전 대통령 측 입장이다.

문제는 다음 거처다. 대통령 취임 전후 사용했던 서울 서초동 자택의 경우 경호 여건이 좋지 않아 무리가 아니냐는 관측이 적지 않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건은 25~30명가량의 경호 인력들이 사용할 경호동 마련이다. 한 관계자는 "공간을 임대하거나, 행사 같은 외부 행사 때 임시로 사용하는 대형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서초동 자택으로 가더라도 한 번 더 장소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오지 않겠느냐고 예상한다. 8년 전 탄핵으로 물러난 박 전 대통령은 청와대 관저에서 나와 삼성동 자택으로 거처를 정했지만, 이후 지지자들이 몰려오는 통에 인근 주민 피해가 커져 다시 내곡동으로 집을 옮겼다.

더불어민주당은 한시라도 빨리 관저에서 퇴거하라고 압박했다. 황정아 대변인은 논평에서 "파면된 윤석열이 어째서 아직까지 대통령 관저의 주인 행세를 하고 있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에 맞춰 윤석열 정부에서 생산된 대통령기록물의 이관 작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행안부 대통령기록관은 이르면 7일부터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을 차례대로 찾아 이관 대상 기록물에 대한 현황 파악에 나선다. 대상 기관은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를 비롯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를 포함한 대통령 자문기관 등 28곳이다.

정치권의 관심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계엄 관련 국무회의록과 계엄상황 일지 등 계엄 관련 기록물을 '지정 기록물'로 지정하는지에 쏠려 있다. 대통령기록물법 제17조는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기록물은 '지정기록물'로 지정해 최대 15년까지 비공개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만큼 규정상 기록물 지정 권한은 한 대행에게 있는 것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77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3976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몰락한 내란 정권의 ‘알박기’ 금도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5 [100세 과학] “디지털 치매는 오해”…스마트폰이 인지기능 보호한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4 “7세 고시는 학대, 아이 뇌 망가트려”··· 소아정신과 교수의 단호한 조언 랭크뉴스 2025.04.15
43973 中·日 투매설에 폭락한 美 국채… 일생일대 투자 기회? 랭크뉴스 2025.04.15
43972 트럼프 또 후퇴…"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1 “장제원 공소권 없음과 수사 중지는 달라”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 김재련 변호사[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5
43970 美, 5개국과 무역 협상 우선추진…韓도 포함 랭크뉴스 2025.04.15
43969 우크라, 생포 중국인 기자회견…트럼프 “곧 좋은 제안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8 당신의 걸음걸이는 안녕하십니까… 느려졌다면 파킨슨 의심 랭크뉴스 2025.04.15
43967 자동차 부품도 유예 조치?‥"나는 유연한 사람" 랭크뉴스 2025.04.15
43966 [단독] 20년 믿고 맡긴 경리의 배신... "회삿돈 22억으로 명품 사고 호화 여행" 랭크뉴스 2025.04.15
43965 구글, '유튜브 뮤직' 뺀 새 요금제 韓에도 출시하나…공정위와 협의 중 랭크뉴스 2025.04.15
43964 오락가락 반도체 관세 '일단 유예'에 美 증시 상승 마감 [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5
43963 [단독]단순 예산 편성착오에…지자체 수십억 예산 날아갈판 랭크뉴스 2025.04.15
43962 "한국 가면 무조건 사야 돼"…일본인들 우르르 몰려와 사간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1 양당 경선 무용론에 '반명 빅텐트' 솔솔... 범보수 단일화냐, 제3지대 연대냐 랭크뉴스 2025.04.15
43960 [단독] 방사청, 한화오션 ‘부정당업자 제재’ 검토…이달 30일 방추위서 KDDX ‘최종 결론’ 가닥[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15
43959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사고 닷새째…실종자 밤샘 수색 랭크뉴스 2025.04.15
43958 수도권 1분기 분양 70%↓… 건설사 진퇴양난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