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사흘째 관저에 머물러... 주중엔 이사 완료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후 주말에 거처 이동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한남동 관저 퇴거가 논의되는 가운데 6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가 적막하다. 최주연 기자


한남동 관저는 6일에도 조용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 이후 사흘이 지났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는 관저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어제와 그제 관저를 찾은 전직 참모들과 정치인들을 만나는 데 시간을 보냈다. 거처 이동을 위한 살림살이 정리에 꽤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는 달랐다. 금요일 파면 선고 이후 일요일 밤에 관저를 떠났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은 조금 더 시간이 걸리는 상황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선고 직후 손님을 맞기도 했고, 정리해야 할 것들도 많은 걸로 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선고 이후 정진석 비서실장 등 고위 참모들, 권영세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 이어 나경원 의원 등과 차례로 관저에서 만나 인사를 나눴다. 다만 윤 전 대통령 본인은 물론이고 측근들이 대부분 복귀를 예상했던 터라 정리에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수요일인 9일 전후로 이사를 완료할 계획이라는게 윤 전 대통령 측 입장이다.

문제는 다음 거처다. 대통령 취임 전후 사용했던 서울 서초동 자택의 경우 경호 여건이 좋지 않아 무리가 아니냐는 관측이 적지 않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건은 25~30명가량의 경호 인력들이 사용할 경호동 마련이다. 한 관계자는 "공간을 임대하거나, 행사 같은 외부 행사 때 임시로 사용하는 대형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서초동 자택으로 가더라도 한 번 더 장소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오지 않겠느냐고 예상한다. 8년 전 탄핵으로 물러난 박 전 대통령은 청와대 관저에서 나와 삼성동 자택으로 거처를 정했지만, 이후 지지자들이 몰려오는 통에 인근 주민 피해가 커져 다시 내곡동으로 집을 옮겼다.

더불어민주당은 한시라도 빨리 관저에서 퇴거하라고 압박했다. 황정아 대변인은 논평에서 "파면된 윤석열이 어째서 아직까지 대통령 관저의 주인 행세를 하고 있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에 맞춰 윤석열 정부에서 생산된 대통령기록물의 이관 작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행안부 대통령기록관은 이르면 7일부터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을 차례대로 찾아 이관 대상 기록물에 대한 현황 파악에 나선다. 대상 기관은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를 비롯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를 포함한 대통령 자문기관 등 28곳이다.

정치권의 관심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계엄 관련 국무회의록과 계엄상황 일지 등 계엄 관련 기록물을 '지정 기록물'로 지정하는지에 쏠려 있다. 대통령기록물법 제17조는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기록물은 '지정기록물'로 지정해 최대 15년까지 비공개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만큼 규정상 기록물 지정 권한은 한 대행에게 있는 것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93 대선 경선 레이스 돌입…주자들 각축전 속 잰걸음 랭크뉴스 2025.04.15
48692 ‘방첩사 계엄 문건’ 알고 보니 北해킹 메일…120명 털렸다 랭크뉴스 2025.04.15
48691 中 3월 수출 12.4%↑…”관세 부과 전 주문으로 일시적 급등” 랭크뉴스 2025.04.15
48690 '불출석 패소' 권경애 변호사 "기사화했으니 각서 무효"‥유족 측 "조건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8689 "미국에 700조 투자"...엔비디아 '반도체 1위' 굳힌다 랭크뉴스 2025.04.15
48688 美 민감국가 지정 못 피한 정부 "교섭 지속…시간 필요할 듯" 랭크뉴스 2025.04.15
48687 美 '韓 포함 민감국가 리스트' 발효…과학·산업협력 차질 우려 랭크뉴스 2025.04.15
48686 ‘이완규·함상훈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국회 운영위 통과 랭크뉴스 2025.04.15
48685 [속보]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살해 혐의 50대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8684 尹 ‘다 이기고 돌아왔다’ 발언에 전한길 “예수님 같다” 랭크뉴스 2025.04.15
48683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숨진 채 발견…살인 혐의 50대 체포 랭크뉴스 2025.04.15
48682 [단독] '청부 민원' 류희림, 계엄 뒤 휴대폰 2번 교체‥'왜 바꿨냐' 물었더니 랭크뉴스 2025.04.15
48681 “이재명 땡큐”… 주가 2배 뛰자 딱 45억원어치만 주식 판 코나아이 대표 랭크뉴스 2025.04.15
48680 "얼마나 맛있길래"…1억개 팔린 이장우 호두과자, '성심당 본진' 진출 랭크뉴스 2025.04.15
48679 “이재명은 실용주의자, 한동훈과 달라” 윤 멘토 신평의 변심? 랭크뉴스 2025.04.15
48678 한동훈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 만들 것… AI 200조 투자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8677 "공보의 대신 군대 간 의대생 1천900명…의정갈등 중 입대 10배" 랭크뉴스 2025.04.15
48676 박지원 "김두관 경선 불참, 김경수 때문… 한덕수 땜빵론은 '윤건희' 작품" 랭크뉴스 2025.04.15
48675 이륙 준비 중 승객이 갑자기 비상문을…제주공항서 항공기 결항, 100여명 불편 랭크뉴스 2025.04.15
48674 한동훈 “3·4·7로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 열겠다”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