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사흘째 관저에 머물러... 주중엔 이사 완료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후 주말에 거처 이동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한남동 관저 퇴거가 논의되는 가운데 6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가 적막하다. 최주연 기자


한남동 관저는 6일에도 조용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 이후 사흘이 지났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는 관저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어제와 그제 관저를 찾은 전직 참모들과 정치인들을 만나는 데 시간을 보냈다. 거처 이동을 위한 살림살이 정리에 꽤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는 달랐다. 금요일 파면 선고 이후 일요일 밤에 관저를 떠났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은 조금 더 시간이 걸리는 상황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선고 직후 손님을 맞기도 했고, 정리해야 할 것들도 많은 걸로 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선고 이후 정진석 비서실장 등 고위 참모들, 권영세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 이어 나경원 의원 등과 차례로 관저에서 만나 인사를 나눴다. 다만 윤 전 대통령 본인은 물론이고 측근들이 대부분 복귀를 예상했던 터라 정리에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수요일인 9일 전후로 이사를 완료할 계획이라는게 윤 전 대통령 측 입장이다.

문제는 다음 거처다. 대통령 취임 전후 사용했던 서울 서초동 자택의 경우 경호 여건이 좋지 않아 무리가 아니냐는 관측이 적지 않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건은 25~30명가량의 경호 인력들이 사용할 경호동 마련이다. 한 관계자는 "공간을 임대하거나, 행사 같은 외부 행사 때 임시로 사용하는 대형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서초동 자택으로 가더라도 한 번 더 장소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오지 않겠느냐고 예상한다. 8년 전 탄핵으로 물러난 박 전 대통령은 청와대 관저에서 나와 삼성동 자택으로 거처를 정했지만, 이후 지지자들이 몰려오는 통에 인근 주민 피해가 커져 다시 내곡동으로 집을 옮겼다.

더불어민주당은 한시라도 빨리 관저에서 퇴거하라고 압박했다. 황정아 대변인은 논평에서 "파면된 윤석열이 어째서 아직까지 대통령 관저의 주인 행세를 하고 있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에 맞춰 윤석열 정부에서 생산된 대통령기록물의 이관 작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행안부 대통령기록관은 이르면 7일부터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을 차례대로 찾아 이관 대상 기록물에 대한 현황 파악에 나선다. 대상 기관은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를 비롯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를 포함한 대통령 자문기관 등 28곳이다.

정치권의 관심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계엄 관련 국무회의록과 계엄상황 일지 등 계엄 관련 기록물을 '지정 기록물'로 지정하는지에 쏠려 있다. 대통령기록물법 제17조는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기록물은 '지정기록물'로 지정해 최대 15년까지 비공개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만큼 규정상 기록물 지정 권한은 한 대행에게 있는 것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81 한국 -5%, 중국 -7%, 일본 -8%…트럼프 관세 폭탄에 ‘초토화’ 랭크뉴스 2025.04.07
45180 이재명, 선거법 상고심 소송서류 미수령… 특별송달 시도 랭크뉴스 2025.04.07
45179 [단독] 野, 상법·자본시장법 ‘패키지 개정’ 구상… 유증 때도 주주 보호 랭크뉴스 2025.04.07
45178 ‘내란선동’ 혐의 고발당한 전광훈… 경찰 “그간 해온 발언 분석 중” 랭크뉴스 2025.04.07
45177 “오늘이 100일이다” 가족의 손편지…특별법 통과됐지만 남은 과제는?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7
45176 법원이 신동호 EBS 사장 임명에 제동 건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7
45175 국민의힘, ‘황우여 선대위’ 출범… ‘尹과 절연’ 요구엔 선 긋기 랭크뉴스 2025.04.07
45174 탄핵 얘기하다 주먹다짐…대한항공 기장·부기장 등 중징계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7
45173 ‘산불 2단계’ 경남 하동군 산불…야간 산불 진화 돌입 랭크뉴스 2025.04.07
45172 '개헌 대선' 사활 건 국힘... '이재명 반개헌' 세력으로 몰아 국면 전환 노림수 랭크뉴스 2025.04.07
45171 다시 ‘블랙먼데이’ 코스피 2300대까지 급락…“관세협상 성과, 추경 등 절실” 랭크뉴스 2025.04.07
45170 개헌론 vs 내란종식… 대선 프레임 싸움 돌입 랭크뉴스 2025.04.07
45169 이철규 의원 아들, 마약 정밀검사서 대마 양성 반응 랭크뉴스 2025.04.07
45168 영상에 웃음 터진 민주…윤 퇴거·국힘 책임 말하다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7
45167 전 세계 증시 폭락하는데... 트럼프는 왜 관세에 집착하나 랭크뉴스 2025.04.07
45166 '일곱째' 낳은 장흥 40대 부부…1억원 규모 육아지원 받는다 랭크뉴스 2025.04.07
45165 주가 폭락에도 트럼프 “병 고치려면 藥 먹어야” 亞는 ‘협상’, EU·加는 ‘보복’ 랭크뉴스 2025.04.07
45164 경남 하동군 옥종면 산불 2단계…주민 대피 랭크뉴스 2025.04.07
45163 "내란 종식 먼저" 개헌 거절한 이재명, 대신 '스몰딜'로 후퇴 랭크뉴스 2025.04.07
45162 89세 자산가, 재혼 2달 만에 사망하자… 56억 인출한 중국 아내 ‘무혐의’ 결론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