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30 고객 많고 제반시설 탄탄
연예계 러브콜에 작년 31건 진행
하루 매출 6000만원···파급력 커
콜드플레이도 10일부터 첫 행사
더현대 서울 지드래곤 팝업스토어 전경. 사진 제공=현대백화점

[서울경제]

현대백화점의 플래그십 지점 ‘더현대 서울’이 엔터테인먼트 업계와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달 가수 지드래곤에 이어 이번 달엔 영국 밴드 콜드플레이와 팝업스토어를 열기로 하는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러브콜이 잇따르는 모습이다.

더현대 서울 지드래곤 팝업스토어 전경. 사진 제공=현대백화점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이달 10일부터 더현대 서울에서 콜드플레이 팝업스토어를 진행할 예정이다. 좀처럼 상업적인 제휴를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잘 알려진 콜드플레이가 백화점과 같은 상업 시설에서 행사를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팝업스토어 오픈 요청이 잇따르면서 더현대 서울은 작년에만 31건의 아이돌·가수·배우 관련 팝업을 열었다. 통상 팝업스토어 기간이 1~2주일 가량인 점은 감안하면 지난해 더현대 서울에서는 1년 내내 엔터 관련 팝업이 진행된 셈이다. 2023년(14건)과 비교해도 1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올해는 5월까지 이미 12건이 예정돼 있다.

매출액도 상당하다. 팬덤이 탄탄한 아티스트의 굿즈를 판매하면서 기대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더현대 서울에서 진행된 엔터 관련 팝업스토어의 평균 일매출은 약 6000만 원으로, 2023년(1500만 원) 대비 4배 이상 가파르게 증가했다. 1~2주의 팝업스토어 기간 동안 발생하는 평균 매출은 약 7억 원에 달한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통상 백화점에 입점한 패션 브랜드가 월 평균 1억 5000만 원 가량의 매출을 올리는 것을 감안하면, 엔터 팝업스토어의 파급력은 어마어마한 수준”이라며 “특히 유명 아이돌 팝업스토어의 경우 굿즈가 완판돼 더 이상 판매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 실제 집객 효과는 더 크다”고 말했다. 콜드플레이 역시 이번 팝업스토어에서 지난해 10월 발매된 정규 앨범 음반과 함께 의류·물병·포스터 등 20여 종의 공식 투어 굿즈 상품을 판매할 것으로 알려졌다.

더현대 서울 지하 2층 아이코닉스퀘어에 마련된 가수 지드래곤 팝업스토어에 고객이 몰린 모습. 사진 제공=크리에이티브 멋


엔터 업계가 오프라인 팝업 공간으로 더현대 서울을 찾는 이유는 분명하다. 제품 판매 중심이었던 기존 쇼핑몰의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경험에 집중한 결과 신규 콘텐츠가 몰리는 상징적인 문화 공간으로 거듭났기 때문이다. 실제 더현대 서울이 지난달 2개 층에 걸쳐 지드래곤 팝업스토어를 운영할 당시 지하 2층 아이코닉스퀘어와 5층 에픽 서울, 사운즈포레스트까지 총 3개 공간에서 동시에 행사를 진행하고, 가상현실(VR)을 활용한 홀로그램 전시, 7m 높이의 초대형 응원봉 등 미디어 콘텐츠를 선보이면서 대규모 문화 체험 공간을 만들어냈다.

젊은 고객들의 집객이 보장돼 있다는 점과 팝업 제반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는 점 역시 인기 요인이다. 더현대 서울은 오픈 이후 2년 간 2030 고객이 전체 매출의 55%를 차지할 정도로 젊은 고객 비중이 높다. 또 냉방시설 및 조명 등 쾌적한 내부 시설이 마련됨과 동시에 각 층에는 보안요원 등 관리 인원이 배치돼 있어 팝업 행사를 준비하는 엔터 업계에게 안정적인 선택지로 꼽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인에게 한국의 랜드마크로 유명세를 탄 더현대 서울은 쇼핑몰이라기 보다는 콘텐츠를 경험하고 즐기는 문화 체험 공간의 이미지가 더 우세하다”며 “콜드플레이 같은 글로벌 스타가 더현대 서울을 팝업 공간으로 낙점한 것도 이 같은 이미지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99 [속보] 美 재무 “미국 상장 中 기업 상폐 배제 않아” 랭크뉴스 2025.04.09
46198 中, 트럼프 104% 관세에 반격… “미국산 관세 34%에서 84%로” 랭크뉴스 2025.04.09
46197 [속보] 중국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 추가 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09
46196 심상치 않은 4인방 모임‥수사 상황은? 랭크뉴스 2025.04.09
46195 의대 파행에 정원 '안갯속'…수험생 절반 이상 "동결 반대" 랭크뉴스 2025.04.09
46194 트럼프가 들이민 안보 비용 청구서… "방위비·관세 패키지 협상 전략 세워야" 랭크뉴스 2025.04.09
46193 中, ‘美 104% 관세’에 재보복…“미국산 추가관세 84%” 랭크뉴스 2025.04.09
46192 한덕수 “보복관세보다 한미 경제동맹 격상이 슬기로운 해법” 랭크뉴스 2025.04.09
46191 한국거래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불성실 공시 법인 지정 예고 랭크뉴스 2025.04.09
46190 트럼프의 104% 관세에 中 다시 보복 “모든 미국산 수입품 관세 84%” 랭크뉴스 2025.04.09
46189 '내란 우두머리' 윤 전 대통령 방어‥위헌적 논리까지 랭크뉴스 2025.04.09
46188 [속보] 中 “내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09
46187 [속보] 中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 추가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09
46186 "계엄 전에도 이완규 추천"‥배후·목적 두고 커지는 의구심 랭크뉴스 2025.04.09
46185 국회 나온 이완규 "헌법재판관 잘할 수 있다"‥"사퇴해야" 맹공 랭크뉴스 2025.04.09
46184 예금 같으면서도 펀드스러운 ‘IMA 통장’ 나온다 랭크뉴스 2025.04.09
46183 한덕수 지명 함상훈 후보자, ‘요금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전력 랭크뉴스 2025.04.09
46182 트럼프의 책사 “관세, 미국이 제공하는 안보·무역체제의 대가” 랭크뉴스 2025.04.09
46181 [속보] 중국, 미국에 84% 맞불 관세 부과 랭크뉴스 2025.04.09
46180 [속보] 中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 추가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