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60일 재임한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11월 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마지막 ‘도어스테핑’(출근길 문답)에 응했다. 총 61차례 진행한 도어스테핑은 용산 이전과 윤석열 정부의 상징이었지만 갖은 논란을 촉발하며 반년 만에 중단됐다. [중앙포토]
대통령 윤석열이 파면됐다. 등장만큼이나 파괴적인 퇴장이다. 구세주 같은 정치인은 없다는 걸 다시금 확인했다. 권력의 정점에 선 자가 오독(誤讀)·오판(誤判)하면 나라가 어디까지 흔들리는지도 확인했다.

#윤석열은 보수의 희망이었다

2021년 4월 어느 날, 박근혜의 대통령 당선을 도운 뒤 청와대 참모로 근무했던 이가 국회 서점에서 서성댔다. 당시 갓 출간된 『윤석열의 진심』이란 책 앞이었다. 그에게 물었다.

“형, 뭐해요?”

“윤 총장 관련 책을 사람들이 더 봐야지. 앞으로 슬쩍 뺐다.”

‘최순실 특검팀’ 수사팀장이었던 윤석열은 박근혜를 영어(囹圄)의 몸으로 만든 날카로운 칼이었다.

“마음이 괜찮아요? 박 전 대통령한테 안 미안해?”

“안 좋지. 미안하지. 그런데 이겨야 할 거 아냐. 암만 봐도 윤 총장 말고는 이길 수가 없어.”

대선 가도를 걷기 시작한 윤석열은 말했다. “열 가지 중 아홉 가지 생각은 달라도, 국민이 진짜 주인인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같이하는 모든 사람이 힘을 합쳐야 합니다.”

#윤석열에게 이재명은 그저 피의자였다

대통령직인수위 때, 그는 이재명의 대장동·백현동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한 국민의힘 의원 중 한 명과 독대했다.

“정말 수고했어요. 그런데 대선은 끝났어도 범죄는 범죄잖아요. 끝까지 파헤치세요.”

거야(巨野)의 대표 이재명은 그에게 그저 피의자였다. 그는 이재명과의 회담을 꺼렸다. 협상이나 타협을 몰랐던 그에게 과반 야당은 그저 ‘벽’이었다. 야권의 비토로 국정 운영이 뜻대로 안 된다는 생각이 강고해졌다.

2023년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공산전체주의를 맹종하며 조작선동으로 여론을 왜곡하고 사회를 교란하는 반국가세력들이 여전히 활개치고 있다”고 했다. 22대 총선 참패 직후, 취임 721일 만에 딱 한 번 이재명과 만났다. 둘은 각자 할 말만 했다. 루비콘강을 건넜다.

#그의 화(火)는 피아(彼我)를 넘나들었다

지난해 7월 18일은 가뭄에 단비 같은 날이었다. 24조원 규모인 체코의 원전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한국수력원자력이 선정됐다. 국민의힘 원내지도부와 만찬 중에 소식을 들은 그는 식탁을 “탕” 내려칠 정도로 기뻐했다. 소폭이 두어 순배 돌았다. 분위기가 무르익자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이 나섰다.

“분위기도 좋은데, 그간 못했던 불편한 얘기 조금씩 하시죠.”

22대 총선에서 ‘175(민주당) 대 108(국민의힘)’로 깨진 3개월 후였다. 참석자들은 ‘이때다’ 싶었다.

“아니, 이 좋은 날 뭣 하러 그런 얘길 합니까. 쓸데없이 말이야.”

좌중은 곧장 얼어붙었다. 바른말은 ‘없던 말’이 됐다.

지난해 총선 직전, 의대 정원 문제가 뜨거웠다. ‘막 밀어붙이는 건 아닌데…’란 참모가 많았지만, 말을 못 했다. 이때, 직을 걸고 “안 된다”고 했던 이들이 당시 이관섭 비서실장과 한오섭 정무수석이다. 물류대란의 불을 껐던 이관섭과, 이태원 참사 때 발 빠른 보고로 큰 화를 막았던 한오섭은 유능한 참모였다. 그러나 이들은 “아니다”고 했다가 회의에서 배제됐고, 옷을 벗었다. 다른 참모들에겐 시그널이 됐다.

#자신만의 세계에 갇혔다

22대 총선날이던 4월 10일 저녁, 일부 참모가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몇 분 일찍 듣고 보고했다.

“그럴 리가 없어! 당장 방송 막아!”

분노에 찬 목소리가 문밖에서도 들렸다. 선거 전부터 여러 지표가 패배를 가리켰지만 안 믿었다. 대패를 부정선거 탓이라 여겼다. 극우 유튜버들의 주장을 진짜라 믿었다. 집권 초부터 그는 유튜브를 좋아했다. 참모들에게 몇몇 채널을 “꼭 보라”며 권했다. 2023년 4월 국빈 방문 중이던 미국에서도, 알링턴 국립묘지 참배가 예정됐던 날 아침에도 우파 유튜버와 1시간을 통화했다. 지난해 6월 검사 출신 소장파 김웅 전 의원이 라디오에서 눈물로 호소했다.

“꼭 대통령에게 당부드리고 싶다. 제발 유튜브 좀 그만 보시라. 이러다 우리 다 죽는다.”

허사였다. 계엄령의 이유 중 하나가 부정선거론이었다. 기자회견은 네 번이 전부였다. 체포된 1월 15일에도 그는 찾아온 의원들에게 말했다. “레거시 미디어는 편향돼 있다. 잘 정리된 유튜브 정보를 보라.”

#김건희는 아내 그 이상이었다

임기 첫해인 2022년 가을, 기자는 이른바 ‘여사 라인’ 참모 중 한 명과 식사했다. “여사님 참 대단하셔. 대통령님이 저녁 전 관저에 가면 뭐하시는 줄 알아? 앞치마 두르고 김치찌개를 끓이셔. 계란말이도 만들고. 그러곤 여사님과 그날 일과를 놓고 한참을 얘기해. 국정 전반이 다 화두야.”

대통령실 실무급 참모들이 여사를 ‘브이 투(V2)’라 부르기 시작한 것도 그 무렵이다. ‘브이’는 대통령을 지칭하는 약어다. 많은 이가 ‘V2’ 문제로 걱정이 태산이었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그의 선택은 한결같았다.

#자신에게만 충성했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말은 그의 상징어였다. 검사 윤석열을 대통령 윤석열로 이끌었다. 정작 본인은 맹종(盲從)을 요구했다. 이견은 허용되지 않았다. 이준석도, 한동훈과도 그랬다. 곁에는 충암고 선후배인 극소수 장관들, ‘여사 라인’ 등 일부 참모 정도만 남았다. 결과는 계엄과 파면이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당장 방송 막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38 '계엄 정당' 주장 계속‥다음 재판은 21일 랭크뉴스 2025.04.14
43837 "그 돈이면 딴 데 가지"…아이들도 시시해 하던 '레고랜드'서 어른들 비명소리가? 랭크뉴스 2025.04.14
43836 도심 속 13m 여성 누드 조각상…"이런 게 예술? 눈살 찌푸려진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5 10대 소녀 37명 불타죽었다…사과궤짝 위 '악몽의 부검' 랭크뉴스 2025.04.14
43834 재택근무 중 일하는 척 키보드 '2100만번' 톡톡…'월급 루팡' 경찰의 최후 랭크뉴스 2025.04.14
43833 국내 최초 개인용 컴퓨터 개발한 이용태 ‘삼보컴퓨터 명예회장’ 별세 랭크뉴스 2025.04.14
43832 군 간부들 "의원 끌어내라 지시 있었다" 尹 "증인신문 순서 정치적 의도" 랭크뉴스 2025.04.14
43831 "다이소 또 일냈다"…건기식 이어 내놓는 '가성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43830 김동연 자서전, 예약 판매 엿새만에 베스트셀러 1위 랭크뉴스 2025.04.14
43829 트럼프 관세발 '트리플 약세'에 미국 경제위기 빠지나 랭크뉴스 2025.04.14
43828 홍준표, “이재명 심판” 출사표…‘한덕수 차출론’엔 “비상식적” 랭크뉴스 2025.04.14
43827 기억하세요, 희망은 좋은 것입니다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14
43826 이성배 아나운서, MBC 퇴사…홍준표 캠프 대변인 맡아 랭크뉴스 2025.04.14
43825 검찰, '선거법 위반' 김혜경 항소심도 벌금 300만원 구형 랭크뉴스 2025.04.14
43824 경찰, 박나래 자택 절도 피의자 검거…"단독범행·전과 다수"(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4
43823 “몇 시간 사건을 내란으로”…“국헌문란 폭동 일으켜” 랭크뉴스 2025.04.14
43822 11년 만에 세월호 참사 결론…“선체 내력 부실” 랭크뉴스 2025.04.14
43821 유동규 "이재명 당선되면 꽃게밥 된다…살려달라" 호소 랭크뉴스 2025.04.14
43820 '서부지법 난동' 변호인 "천대엽 탓 구속" 주장에 재판부 질책 랭크뉴스 2025.04.14
43819 경선 흥행 ‘빨간불’?…국민의힘, 1차 경선 토론회 3→2회로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