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험료 인하·사고율 상승 탓에
손해율 전년 대비 3.1%P 증가
자동차 부문 보험손익 97억 손실
지난해 11월 27일 전북 진안군 진안읍 익산포항고속도로 48.5㎞ 지점에서 25톤 트레일러 차량이 눈길에 미끄러져 전도됐다. 뉴스1

[서울경제]

지난해 국내 자동차보험의 보험손익이 4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차보험료 인하가 이어진 데다 사고율까지 상승한 탓이다. 코로나19 이후 자동차 운행량이 급감하면서 누렸던 3년 연속 흑자 기록도 깨졌다.

금융감독원이 6일 발표한 ‘2024년 자동차보험 사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보험 매출액(원수보험료)은 전년(21조 484억 원) 대비 1.8% 감소한 20조 6641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보험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하는데 보험료는 지속적으로 내려간 탓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자동차 보험 가입 대수 증가율은 2022년 2.4%에서 2023년 2.5%로 상승했으나 지난해에는 0.9%로 크게 낮아졌다. 평균 자동차보험료는 2022년 72만 3434원에서 2023년 71만 7380원, 2024년 69만 1903원으로 줄고 있다.

특히 지난해 손해율은 83.8%로 1년 새 3.1%포인트 뛰었다. 같은 기간 사업 비율이 16.3%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떨어졌으나 손해율 상승 폭이 더 컸다. 자동차 사고 건수만 해도 △2022년 367만 건 △2023년 376만 건 △2024년 383만 건 등으로 상승세다. 업체별로는 MG손보(114.7%)와 캐롯(97.4%), 흥국화재(93.7%) 등의 손해율이 높았다.

그 결과 자동차 부문 보험손익은 합산비율(손해율+사업비율)이 손익분기점인 100%를 넘어서면서 97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5636억 원(-101.7%) 급감한 것으로 2020년 이후 첫 적자다. 자동차보험 부문 손익은 2019년 1조 6445억 원까지 적자 폭이 확대됐지만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2021~2023년에는 3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자동차보험 투자손익이 5988억 원 흑자를 기록하면서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을 합친 총손익은 5891억 원 흑자를 기록했다. 주력 사업이 보험이 아닌 투자로 손실을 메운 꼴이다. 그마저도 총손익 규모는 전년(1조 137억 원) 대비 4246억 원 급감했다.

지난해 시장점유율은 대형사(삼성·현대·KB·DB)가 85.3%를 차지하며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중소형사(메리츠·한화·롯데·MG·흥국) 점유율(8.3%)은 0.1%포인트 하락한 반면 비대면 전문사(악사·하나·캐롯)의 점유율(6.4%)은 0.1%포인트 상승했다.

문제는 올해 자동차보험 실적이 더 나빠질 것이라는 점이다. 수년째 자동차보험료 인하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올해 정비공임까지 인상되면서 자동차보험의 손해율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보험료 평균 인하율은 2022년 1.2%, 2023년 1.9%, 2024년 2.5%, 올해도 0.8%를 기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보험료 인하 효과가 누적되고 있으며 올해 정비공임도 2.7% 인상돼 손해율이 악화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며 “올 2월 발표한 자동차보험 부정수급 개선 대책이 안착되도록 약관 개정 등 후속 조치를 신속히 추진하고 부당한 보험금 누수를 방지해 손해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02 애플, 지난달 인도서 2조8천억원어치 아이폰 공수…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4.16
49001 "전주에서도 배민 B마트를"… 퀵커머스 시장 불붙는다 랭크뉴스 2025.04.16
49000 "돈 주고 후보 선출 떠넘긴 꼴" "사실상 주사위 던지기"...불만 쌓이는 여론조사 경선 랭크뉴스 2025.04.16
48999 젠슨황, 두 달만에 무릎 꿇렸다…“치매도 고친다” 양자컴 진격 랭크뉴스 2025.04.16
48998 "99%가 불임" 미친 봄 날씨가 부른 검은 배꽃, 또 악몽 덮친다 랭크뉴스 2025.04.16
48997 금감원 “PF 부실 털어라”…저축銀에 6월말 데드라인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6
48996 尹 탄핵에 쪼개진 국민의힘 '묻지마 빅텐트'... 무책임한 러브콜 랭크뉴스 2025.04.16
48995 친노·친문 적자 김경수의 ‘착한 2등’ 전략…차기 노린 빌드업? 랭크뉴스 2025.04.16
48994 대구의 고민 "누굴 뽑아야 되능교? 그 총리 출마헙니꺼" [보수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6
48993 김문수, 오세훈과 회동…한동훈 대구행, 홍준표 경제정책 발표 랭크뉴스 2025.04.16
48992 문재인은 뚫었다… 이재명 지지율 정말 30%대 '박스권'에 갇혔나 랭크뉴스 2025.04.16
48991 민주 경선 주자, 경선룰 확정 후 첫 모임…세월호 추모식도 공동 참석 랭크뉴스 2025.04.16
48990 박보검 ‘한복웨이브’ 사업 한류 문화예술인 선정 랭크뉴스 2025.04.16
48989 부모·아내·자녀 살해한 비정한 50대 가장 랭크뉴스 2025.04.16
48988 [단독] 여론조사 공천 OECD 중 한국이 유일한데…'어디 맡기고' '어떻게 조사하고' 죄다 깜깜이 랭크뉴스 2025.04.16
48987 “답답하다”며 비상문 연 승객… 재발 방지 대책 없나 랭크뉴스 2025.04.16
48986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11명 후보 등록… 韓대행 미등록 랭크뉴스 2025.04.16
48985 남편 택시 이어 아내 택시 탄 수상한 승객…부부의 직감, 보이스피싱범 잡았다 랭크뉴스 2025.04.16
48984 미리 알았나?…親트럼프 美의원, '관세 유예' 발표 前 주식 매수 랭크뉴스 2025.04.16
48983 반탄 청년들 ‘윤 어게인’에 전문가들 “법적으로 불가능”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