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욕타임스 “펭귄 밈 인기”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대한 풍자가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 확산되며 ‘밈(meme)’으로 자리잡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세계에 광범위한 관세를 부과하고 상대 국가들이 맞불 관세로 보복하면서, 세계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예상 못한 ‘상승세’도 있었다. 바로 ‘펭귄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문화를 말함)’ 열풍이다.

뉴욕타임스는 5일 “인터넷에서 펭귄 밈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펭귄만 살고 있는 남극 근처 무인도인 오스트레일리아령 허드섬과 맥도널드제도에도 10%의 관세를 부과한 것이 화제가 된 이후부터다. (▶관련 기사 보기 : 펭귄도 ‘깜짝’ 놀란 트럼프 관세…사람 없는 남극 섬에도 부과)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한 밈을 보면, 밴스와 트럼프가 펭귄 옆에 앉아 격렬한 토론을 벌이고 있는 듯한 사진 위에 “혹시 고맙다는 말을 안 했나?”라는 글귀를 써붙였다. 지난 2월 백악관 회의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부통령 제이디(J.D.) 밴스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충돌했던 장면을 풍자한 것이다. 당시 밴스 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의 군사 지원에 충분히 감사하지 않는다며 비난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장면을 풍자한 ‘펭귄 밈’.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 갈무리

“이런 모양의 차가 보이면, 알겠지?”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풍자하는 문화가 인터넷 ‘밈’이 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또 다른 밈에서는 펭귄이 갈매기들에게 테슬라 차량을 조준해 배설하는 법을 가르치는 모습이 담겼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부효율부를 이끌고 있는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를 겨냥한 것이다.

한편 사회관계망 서비스 엑스(X)에 올라온 “허드섬과 맥도널드제도에서 전례 없는 항의 시위 발생. 주민들이 관세에 반대해 봉기했다”는 제목의 글을 보면, 관련 사진엔 정작 수백마리의 펭귄이 모여 있어 웃음을 자아낸다.

실제로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사례 외에도 온라인 커뮤니티·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펭귄 밈’이 넘쳐나고 있다.

커뮤니티 ‘레딧’에 3일 올라온 트럼프의 무인도 관세 기사에는 이런 댓글들이 달렸다. “펭귄들이 고맙다는 말을 한번이라도 했나?” “아니, 하지만 턱시도는 입었잖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 회담 당시 정장을 입지 않은 것에 백악관이 불쾌감을 드러냈다는 보도가 있었다. 턱시도를 입은 듯한 펭귄의 모습을 빗댄 것이다.) “곧장 엘살바도르로 보냅시다!” (트럼프가 베네수엘라 국적 이민자들을 엘살바도르의 교도소로 추방한 사건을 비꼬았다) “저 펭귄들은 오랫동안 미국을 공격해 왔습니다. 그들은 북극곰에게 펜타닐을 밀수하고 있으며 미국의 보조금을 충분히 오랫동안 받고 있습니다.” “폭스(FOX. 미국의 보수 성향 뉴스 채널) 뉴스 알림 : 깨어 있는 펭귄들 폭로: 극지의 새들이 극좌 아젠다를 전파하다”

허드 섬 외에도, 또다른 오스트레일리아령 노퍽 섬은 겨우 인구 2188명이 사는 조그마한 섬이지만 무려 29%의 관세가 부과됐다. 영국의 가디언은 이런 무인도나 작은 섬들이 미국 관세 국가 목록에 기재된 데 대해 미국 정부가 잘못된 무역 데이터에 기반해 계산한 때문으로 보인다고 4일 보도했다. 가디언은 “회사 주소, 배송 출발지가 해당 지역이 아닌데도 노퍽 섬이나 허드 섬 등에서 온 것으로 잘못 표시된 화물이 여러 건 있었다”며 예를 들어 “출발지 혹은 목적지가 영국의 노퍽, 미국 버지니아주 노퍽, 혹은 미국 뉴햄프셔(NH)에 등록된 회사 주소인데 노퍽섬(NI)로 잘못 기재돼 혼란을 초래했을 수 있다”고 짚었다.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대한 풍자가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 확산되며 ‘밈(meme)’으로 자리잡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76 원가 낮추려 동남아 갔는데… 섬유·의류 업체들, 트럼프 ‘관세 폭탄’ 랭크뉴스 2025.04.07
45075 박관천 "김건희, 한남동 관저 빨리 나가길 원해... 수행팀 이탈 가속화" 랭크뉴스 2025.04.07
45074 '대선 도전' 홍준표 "우리 쪽으로 와야" 이준석 "무슨 염치로 단일화 언급하나" 랭크뉴스 2025.04.07
45073 [마켓뷰] 코스피 5.6% 폭락한 ‘검은 월요일’… 외국인 역대 최대 매도 랭크뉴스 2025.04.07
45072 [속보]미국발 관세 충격파에 코스피 5.57% 폭락···원·달러 환율은 33.7원 폭등 랭크뉴스 2025.04.07
45071 재혼 두달만에 사망한 자산가…56억 인출한 재혼녀 ‘무혐의’ 왜? 랭크뉴스 2025.04.07
45070 대한항공 조종사들, 비행 마치고 호주에서 주먹다짐‥"대체인력 투입" 랭크뉴스 2025.04.07
45069 [속보] 원·달러 환율 33.7원 급등… 코로나19 이후 최대 폭 랭크뉴스 2025.04.07
45068 [속보] 관세전쟁 여파… 원·달러 환율, 33.7원 오른 1467.8원 마감 랭크뉴스 2025.04.07
45067 이재명 '선거법 상고심' 소송서류 미수령…대법 특별송달 촉탁 랭크뉴스 2025.04.07
45066 [속보] 법원, 신동호 EBS 사장 임명 효력 집행정지 '인용'‥본안 소송 판결 전 취임 불가 랭크뉴스 2025.04.07
45065 中전역 "자율주행 끄시오"…샤오미 전기차, 여대생 3인 비극 랭크뉴스 2025.04.07
45064 증권가에서 나온 슬픈 전망… “아반떼 5000만원, 아이폰 500만원 시대 우려” 랭크뉴스 2025.04.07
45063 반얀트리 화재 “예방 조처 부실”…시공사 대표 등 6명 구속 랭크뉴스 2025.04.07
45062 공수처 차 위협, “공무 수행 안 알린 게 잘못”이라는 ‘서부지법 난동’ 변호인 랭크뉴스 2025.04.07
45061 무안서 산불…헬기 4대·장비 8대 투입해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4.07
45060 홍준표·이철우, 대권 도전 공식 선언 예고‥"온몸 바치겠다" 랭크뉴스 2025.04.07
45059 6·3 조기대선‥"윤석열 재출마·김건희 출마설도?" [맞수다] 랭크뉴스 2025.04.07
45058 ‘관세폭탄’에 기업 속 타들어가는데…한 대행-트럼프 통화는 언제쯤? 랭크뉴스 2025.04.07
45057 홍준표 “4년 중임제 개헌하자, 2030년 대통령부터”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