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욕타임스 “펭귄 밈 인기”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대한 풍자가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 확산되며 ‘밈(meme)’으로 자리잡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세계에 광범위한 관세를 부과하고 상대 국가들이 맞불 관세로 보복하면서, 세계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예상 못한 ‘상승세’도 있었다. 바로 ‘펭귄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문화를 말함)’ 열풍이다.

뉴욕타임스는 5일 “인터넷에서 펭귄 밈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펭귄만 살고 있는 남극 근처 무인도인 오스트레일리아령 허드섬과 맥도널드제도에도 10%의 관세를 부과한 것이 화제가 된 이후부터다. (▶관련 기사 보기 : 펭귄도 ‘깜짝’ 놀란 트럼프 관세…사람 없는 남극 섬에도 부과)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한 밈을 보면, 밴스와 트럼프가 펭귄 옆에 앉아 격렬한 토론을 벌이고 있는 듯한 사진 위에 “혹시 고맙다는 말을 안 했나?”라는 글귀를 써붙였다. 지난 2월 백악관 회의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부통령 제이디(J.D.) 밴스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충돌했던 장면을 풍자한 것이다. 당시 밴스 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의 군사 지원에 충분히 감사하지 않는다며 비난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장면을 풍자한 ‘펭귄 밈’.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 갈무리

“이런 모양의 차가 보이면, 알겠지?”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풍자하는 문화가 인터넷 ‘밈’이 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또 다른 밈에서는 펭귄이 갈매기들에게 테슬라 차량을 조준해 배설하는 법을 가르치는 모습이 담겼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부효율부를 이끌고 있는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를 겨냥한 것이다.

한편 사회관계망 서비스 엑스(X)에 올라온 “허드섬과 맥도널드제도에서 전례 없는 항의 시위 발생. 주민들이 관세에 반대해 봉기했다”는 제목의 글을 보면, 관련 사진엔 정작 수백마리의 펭귄이 모여 있어 웃음을 자아낸다.

실제로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사례 외에도 온라인 커뮤니티·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펭귄 밈’이 넘쳐나고 있다.

커뮤니티 ‘레딧’에 3일 올라온 트럼프의 무인도 관세 기사에는 이런 댓글들이 달렸다. “펭귄들이 고맙다는 말을 한번이라도 했나?” “아니, 하지만 턱시도는 입었잖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 회담 당시 정장을 입지 않은 것에 백악관이 불쾌감을 드러냈다는 보도가 있었다. 턱시도를 입은 듯한 펭귄의 모습을 빗댄 것이다.) “곧장 엘살바도르로 보냅시다!” (트럼프가 베네수엘라 국적 이민자들을 엘살바도르의 교도소로 추방한 사건을 비꼬았다) “저 펭귄들은 오랫동안 미국을 공격해 왔습니다. 그들은 북극곰에게 펜타닐을 밀수하고 있으며 미국의 보조금을 충분히 오랫동안 받고 있습니다.” “폭스(FOX. 미국의 보수 성향 뉴스 채널) 뉴스 알림 : 깨어 있는 펭귄들 폭로: 극지의 새들이 극좌 아젠다를 전파하다”

허드 섬 외에도, 또다른 오스트레일리아령 노퍽 섬은 겨우 인구 2188명이 사는 조그마한 섬이지만 무려 29%의 관세가 부과됐다. 영국의 가디언은 이런 무인도나 작은 섬들이 미국 관세 국가 목록에 기재된 데 대해 미국 정부가 잘못된 무역 데이터에 기반해 계산한 때문으로 보인다고 4일 보도했다. 가디언은 “회사 주소, 배송 출발지가 해당 지역이 아닌데도 노퍽 섬이나 허드 섬 등에서 온 것으로 잘못 표시된 화물이 여러 건 있었다”며 예를 들어 “출발지 혹은 목적지가 영국의 노퍽, 미국 버지니아주 노퍽, 혹은 미국 뉴햄프셔(NH)에 등록된 회사 주소인데 노퍽섬(NI)로 잘못 기재돼 혼란을 초래했을 수 있다”고 짚었다.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대한 풍자가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 확산되며 ‘밈(meme)’으로 자리잡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59 “재판을 언제까지 끕니까!” 법원에 분노한 해병대 전우회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8 “줄 선 나라 많아서 힘들어” 트럼프만 신났나…숨 막히는 관세 눈치 싸움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7 “3년 소설 같았다” 대표직 사퇴 이재명…10일 대선 출마선언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6 민주, ‘이완규 저지’ 총력···‘권한대행 재판관 지명 금지법’ 법사위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5 빅4·고려대 의대 학생대표 "투쟁 지속"…서울대는 수업 참여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4 이완규 “헌법재판관 돼 헌법 질서 구현에 일조하고 싶다” 랭크뉴스 2025.04.09
46153 ‘180cm 거대견’ 해피·조이, 윤 대통령 파면 이후 거취는?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9
46152 美 “우리가 갈취할 차례”… 상호관세 발효 랭크뉴스 2025.04.09
46151 ‘한덕수 지명’ 함상훈 판사, ‘요금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전력 랭크뉴스 2025.04.09
46150 치솟는 환율 “1500원도 가시권”…금융위기 뒤 16년 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4.09
46149 "밤에 밥 먹지 마세요"…야간 근무자도 낮에만 먹었더니 '이것' 확 낮아졌다 랭크뉴스 2025.04.09
46148 "손실 나도 원금 지급"…예금보다 수익률 높은 이 상품 나온다 랭크뉴스 2025.04.09
46147 美 국채 발작에 자금시장 대혼란…"환율 1500원도 각오해야" 랭크뉴스 2025.04.09
46146 헌법재판소 "'이완규·함상훈 지명' 헌법소원·효력정지 가처분 접수" 랭크뉴스 2025.04.09
46145 "진짜 눈물나고 속상해"…착불로 70만 원 내고 받은 구호품, 알고 보니 '쓰레기' 랭크뉴스 2025.04.09
46144 휴가 내고 대선 출마하는 오세훈 “시장직 유지가 시민에 대한 도리” 랭크뉴스 2025.04.09
46143 "구속해야" 언성 높인 민주…이완규는 몸 낮추며 "잘 할 수 있다" 랭크뉴스 2025.04.09
46142 ‘대통령 기록물’ 이관 시작…“내란 관련 문서 봉인돼선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4.09
46141 “아메리칸 엄친아”…가정폭력 자녀에서 우주선 타기까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9
46140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정당" 다른 1명 판결도 '논란'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