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권주자들 분주한 움직임]
김문수 "이 나라 이대로는 안돼"
홍준표 "서울 상경한다" 출사표
한동훈·오세훈 등도 시기 저울질
李, 9일 최고위 전후로 물러날듯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두 달 남짓 앞으로 다가오면서 차기 대권을 노리는 잠룡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보수 진영에서는 홍준표 대구시장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필두로 대선 출마를 예고한 상태다. 진보 진영에서는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장 먼저 대권 도전을 선언할 계획인 가운데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이번 주 중 대표직을 내려놓고 출마 여부를 공식화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소위 ‘자숙의 기간’을 짧게 끝내고 단기 레이스인 조기 대선 채비를 서두를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대선 준비를 더 지체하면 이 대표를 추격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홍준표 시장은 6일 페이스북을 통해 “참 바쁜 한 주가 될 것 같다”며 사실상의 조기 대선 출마 로드맵을 공개했다. 홍 시장은 “화요일(8일)은 퇴임 인사를 다니고 목요일(10일)은 시의회에 퇴임 인사를 한 뒤 금요일(11일)은 대구시청 직원들에게 감사 인사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25번째 이사를 한다. 마지막 꿈을 향해 즐거운 마음으로 (서울로) 올라간다”고 덧붙였다. 이번 주까지는 시정을 지킨 뒤 11일쯤 시장직을 사퇴하고 대선 출마를 공식적으로 선언할 계획인 것으로 읽힌다.

보수 진영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김문수 장관은 전날 자신을 지지하는 시민단체들의 대선 출마 선언 촉구에 “아무런 욕심이 없다”면서도 “다만 이 나라가 이렇게 가서는 안 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국민 모두가 함께 힘을 합쳐서 조금 차이가 있더라도 반드시 이 나라 민주주의를 이룩하는 좋은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김 장관도 조만간 사퇴한 뒤 대선 채비에 들어갈 것으로 정치권은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현직 국무위원인 만큼 최소한 8일 국무회의까지는 자리를 지킬 것으로 점쳐진다.

헌재의 탄핵 심판이 길어지면서 공개 행보를 최소화했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끝이 아니다. 함께 고통을 나누고 극복하자”며 재개 의지를 드러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출마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고, 유승민 전 의원은 ‘합리적 보수’를 앞세워 틈새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번 주 중 광화문에서 출마 선언을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차기 주자 중 가장 먼저 ‘대선 후보’ 직책을 단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이날 대구·경북(TK)을 찾아 조부모 묘소를 참배하고 영덕 지역 산불 현장 지원에 나섰다.

민주당에서는 김두관 전 의원이 7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 당원존에서 공식 출마 기자회견을 갖는다. 진보 진영에서 조기 대선 출마를 공식화하는 것은 김 전 의원이 처음이다. 재선 의원 출신인 김 전 의원은 고향인 경남 남해에서 이장과 군수를 지낸 뒤 경남도지사와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지냈다. 김 전 의원은 기자회견에 앞서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내외 묘소를 참배하며 정통성 이미지 구축에 나선다.

다만 대중의 관심은 이재명 대표로 쏠린다. 차기 대선에서 대세론을 형성하면서 당내 경쟁자가 전무한 탓이다. 사실상 대표직 사퇴 시점이 곧 대선 출마 공식화 선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내에서는 이 대표가 이르면 9일 최고위원회의를 전후로 대표직에서 물러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당대표 사퇴 여부는 최고위 결정 사안이기 때문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8일 국무회의에서 조기 대선 날짜를 지정할 가능성이 큰 만큼 그 이후를 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선 날짜도 정해지지 않았는데 너무 일찍 대표직에서 내려놓을 경우 조기 대선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으로 보일 수 있어서 모양새가 좋지 않다”며 신중론에 무게를 실었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의 빈틈을 노리는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도 속속 출사표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세계 각국 정상급 인사 100여 명에게 서한을 보내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미뤄온 경선 방식 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면서 ‘완전국민경선’을 대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출마 방식 검토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박용진 민주당 전 의원은 대선 불출마 뜻을 밝혔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85 "트럼프, 손 떼!" 폭발‥미 전역 수십만 시위 랭크뉴스 2025.04.07
44884 美재무 “관세 때문에 경기침체? 그럴 이유 없어… 불안정 견딜 것” 랭크뉴스 2025.04.07
44883 전현희 "尹, 남의 집에서 뭐 하냐… 대통령 놀이 그만" 랭크뉴스 2025.04.07
44882 국힘 김재섭, 당내 친윤 중진에 “징계 대상이자 제거해야 할 고름” 랭크뉴스 2025.04.07
44881 美증시 선물 또 5% 폭락…트럼프 참모들, 관세 강행 시사 [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7
44880 美시민권 받고 국적회복 신청…法 “병역기피 의도 아냐” 랭크뉴스 2025.04.07
44879 트럼프 "3선하는 방법 있다" 주장에…美법무장관 "그건 힘든 일" 랭크뉴스 2025.04.07
44878 [최훈 칼럼] 제왕적 대통령제 38년도 파면이다 랭크뉴스 2025.04.07
44877 "이러다 선거 완패할 수도"… 트럼프 관세 정책에 공화당 내 우려 확산 랭크뉴스 2025.04.07
44876 헌재가 인정한 ‘국회 군 투입’·‘체포조 운영’, 법원 판단 달라질까? 랭크뉴스 2025.04.07
44875 트럼프 참모, 일제히 관세 강행 시사…美증시 선물 급락[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7
44874 국민의힘 ‘빅4 각축’ 전망…‘윤심’ 영향력 최대 변수로[다시, 민주주의로] 랭크뉴스 2025.04.07
44873 봉인 풀린 ‘피의자 윤석열’, 동시다발 소환·구속도 불가피 랭크뉴스 2025.04.07
44872 중부고속도로서 고장차량에 깔린 40대 견인기사 숨져 랭크뉴스 2025.04.07
44871 전현희 "尹 남의 집에서 뭐 하냐, 대통령놀이 그만" 랭크뉴스 2025.04.07
44870 "국수에 파김치"‥'파면 정식' 인증 쇄도 랭크뉴스 2025.04.07
44869 尹 파면되자마자 李 지지율 6%P ‘쑥’…중도층도 ‘어대명’[尹 파면 후 첫 설문] 랭크뉴스 2025.04.07
44868 44년 된 산불 헬기 또 추락‥70대 조종사 사망 랭크뉴스 2025.04.07
44867 윤석열 정부서 고통받은 이들의 외침 “더는 국민이 희생되지 않는 국가” 랭크뉴스 2025.04.07
44866 "일본 가지말까"…안 그래도 비싸진 '온천', 이젠 당일치기로 못 간다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