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4일 선모(19)씨가 필사한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문 선고요지 중 일부(왼쪽)와 진종대(34)씨가 필사한 내용. 사진 독자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결정 이후 온라인에선 기념 챌린지와 자축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트)’이 확산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 헌재 결정문을 필사해 올리는가 하면,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선고 장면을 패러디하거나 ‘탄핵 기념’ 상품권을 공유하는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

대학생 선모(19)씨는 선고 당일 문 권한대행이 심판정에서 읽은 선고요지 중 일부를 필사했다. 마음에 드는 시·소설이 있을 때마다 꾸준히 필사했다는 그는 “이번 결정문 같은 명문은 놓칠 수 없었다”며 “한 글자 한 글자 옮겨 적을 때마다 쉬운 단어로 당연한 정의를 쓴 것 같다고 느꼈다. 114페이지 결정문 전문을 필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에 사는 직장인 진종대(34)씨도 선고요지를 필사해 지난 4일 오후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집회에 가지고 나갔다. 그는 “시민들의 저항으로 지켜낸 민주주의의 가치가 결정문에 잘 담겨 있었다고 본다”며 “선고요지를 따라 쓰며 12·3 비상계엄 때의 두려움이 끝났다는 안도감이 밀려왔다”고 했다.

인스타그램·X(옛 트위터) 등 SNS에 '탄핵 결정문 필사' 인증 게시글이 다수 올라왔다. 사진 SNS 캡처

X(옛 트위터)·인스타그램 등 SNS엔 탄핵 결정문을 필사한 사진이 해시태그와 함께 다수 올라왔다. 한 ‘다꾸(다이어리 꾸미기)’ 인플루언서가 올린 탄핵 결정문 필사 영상은 6일 기준 조회수가 1만7000회에 달했다.

온라인 중고서점 알라딘에선 전자책으로 배포된 ‘대통령 탄핵 결정문’이 단숨에 주간 베스트 셀러 1위에 올랐다. 예스24·교보문고 등 대형 서점에서도 오는 14일 출고 예정인 ‘대통령 윤석열 탄핵 사건 선고 결정문’이 실시간·온라인 베스트셀러 10위 안에 들기도 했다.

6일 온라인 중고서점 알라딘에서 전자책으로 배포된 '대통령 탄핵 결정문'이 주간 베스트셀러 1위에 올라있다. 사진 홈페이지 캡처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탄핵 선고요지 마지막 문장을 읽으며 카메라를 응시한 장면도 화제가 됐다. 선고 당일 국회 측과 윤 전 대통령 측을 번갈아 바라보며 22분가량 선고요지를 읽어내려가던 문 권한대행은 마지막 문장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를 말할 땐 정면을 봤다. 이를 두고 누리꾼들은 아이돌이 음악 방송에서 카메라와 눈을 맞추며 무대를 마무리하는 순간에 빗대 ‘엔딩 요정’이라는 별명을 붙이기도 했다.

지난 5일 스레드에 올라온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지브리 화풍' 이미지. 사진 스레드 캡처

SNS에서 탄핵 기념 이벤트도 계속되고 있다. 탄핵 관련 게시글을 RT(재개시) 한 사람 중 일부에게 커피·치킨 교환권 등 온라인 상품권을 나누는 식이다. 한 공방 운영자는 “탄핵 기념 RT하신 한 분께 반지를 보내드리겠다”며 “금값도 떨어지고 있어 행복하다”고 올렸다. 이 게시글은 지금까지 리트윗 1만7000회, 좋아요 수 4300개를 기록했다.

하재근 문화평론가는 “탄핵심판이라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과 관련해 20~30대를 중심으로 익숙한 방식을 활용해 의미를 되새기고 정치적 표현을 하는 것”이라며 “계엄 직후 응원봉·선결제 현상처럼 답답함을 유쾌하고 주체적인 방법으로 풀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80 관식의 헌신적 사랑, 현실에서 가능할까... 오히려 자녀에겐 독 랭크뉴스 2025.04.15
43979 “여직원들 끌어안고” 폭로에…고창군의원 “사과했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3978 "외투기업 알맹이 빼먹기에 당했다"···464일째 고공농성 중인 두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5
43977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3976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몰락한 내란 정권의 ‘알박기’ 금도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5 [100세 과학] “디지털 치매는 오해”…스마트폰이 인지기능 보호한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4 “7세 고시는 학대, 아이 뇌 망가트려”··· 소아정신과 교수의 단호한 조언 랭크뉴스 2025.04.15
43973 中·日 투매설에 폭락한 美 국채… 일생일대 투자 기회? 랭크뉴스 2025.04.15
43972 트럼프 또 후퇴…"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1 “장제원 공소권 없음과 수사 중지는 달라”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 김재련 변호사[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5
43970 美, 5개국과 무역 협상 우선추진…韓도 포함 랭크뉴스 2025.04.15
43969 우크라, 생포 중국인 기자회견…트럼프 “곧 좋은 제안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8 당신의 걸음걸이는 안녕하십니까… 느려졌다면 파킨슨 의심 랭크뉴스 2025.04.15
43967 자동차 부품도 유예 조치?‥"나는 유연한 사람" 랭크뉴스 2025.04.15
43966 [단독] 20년 믿고 맡긴 경리의 배신... "회삿돈 22억으로 명품 사고 호화 여행" 랭크뉴스 2025.04.15
43965 구글, '유튜브 뮤직' 뺀 새 요금제 韓에도 출시하나…공정위와 협의 중 랭크뉴스 2025.04.15
43964 오락가락 반도체 관세 '일단 유예'에 美 증시 상승 마감 [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5
43963 [단독]단순 예산 편성착오에…지자체 수십억 예산 날아갈판 랭크뉴스 2025.04.15
43962 "한국 가면 무조건 사야 돼"…일본인들 우르르 몰려와 사간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1 양당 경선 무용론에 '반명 빅텐트' 솔솔... 범보수 단일화냐, 제3지대 연대냐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