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4일 선모(19)씨가 필사한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문 선고요지 중 일부(왼쪽)와 진종대(34)씨가 필사한 내용. 사진 독자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결정 이후 온라인에선 기념 챌린지와 자축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트)’이 확산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 헌재 결정문을 필사해 올리는가 하면,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선고 장면을 패러디하거나 ‘탄핵 기념’ 상품권을 공유하는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

대학생 선모(19)씨는 선고 당일 문 권한대행이 심판정에서 읽은 선고요지 중 일부를 필사했다. 마음에 드는 시·소설이 있을 때마다 꾸준히 필사했다는 그는 “이번 결정문 같은 명문은 놓칠 수 없었다”며 “한 글자 한 글자 옮겨 적을 때마다 쉬운 단어로 당연한 정의를 쓴 것 같다고 느꼈다. 114페이지 결정문 전문을 필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에 사는 직장인 진종대(34)씨도 선고요지를 필사해 지난 4일 오후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집회에 가지고 나갔다. 그는 “시민들의 저항으로 지켜낸 민주주의의 가치가 결정문에 잘 담겨 있었다고 본다”며 “선고요지를 따라 쓰며 12·3 비상계엄 때의 두려움이 끝났다는 안도감이 밀려왔다”고 했다.

인스타그램·X(옛 트위터) 등 SNS에 '탄핵 결정문 필사' 인증 게시글이 다수 올라왔다. 사진 SNS 캡처

X(옛 트위터)·인스타그램 등 SNS엔 탄핵 결정문을 필사한 사진이 해시태그와 함께 다수 올라왔다. 한 ‘다꾸(다이어리 꾸미기)’ 인플루언서가 올린 탄핵 결정문 필사 영상은 6일 기준 조회수가 1만7000회에 달했다.

온라인 중고서점 알라딘에선 전자책으로 배포된 ‘대통령 탄핵 결정문’이 단숨에 주간 베스트 셀러 1위에 올랐다. 예스24·교보문고 등 대형 서점에서도 오는 14일 출고 예정인 ‘대통령 윤석열 탄핵 사건 선고 결정문’이 실시간·온라인 베스트셀러 10위 안에 들기도 했다.

6일 온라인 중고서점 알라딘에서 전자책으로 배포된 '대통령 탄핵 결정문'이 주간 베스트셀러 1위에 올라있다. 사진 홈페이지 캡처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탄핵 선고요지 마지막 문장을 읽으며 카메라를 응시한 장면도 화제가 됐다. 선고 당일 국회 측과 윤 전 대통령 측을 번갈아 바라보며 22분가량 선고요지를 읽어내려가던 문 권한대행은 마지막 문장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를 말할 땐 정면을 봤다. 이를 두고 누리꾼들은 아이돌이 음악 방송에서 카메라와 눈을 맞추며 무대를 마무리하는 순간에 빗대 ‘엔딩 요정’이라는 별명을 붙이기도 했다.

지난 5일 스레드에 올라온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지브리 화풍' 이미지. 사진 스레드 캡처

SNS에서 탄핵 기념 이벤트도 계속되고 있다. 탄핵 관련 게시글을 RT(재개시) 한 사람 중 일부에게 커피·치킨 교환권 등 온라인 상품권을 나누는 식이다. 한 공방 운영자는 “탄핵 기념 RT하신 한 분께 반지를 보내드리겠다”며 “금값도 떨어지고 있어 행복하다”고 올렸다. 이 게시글은 지금까지 리트윗 1만7000회, 좋아요 수 4300개를 기록했다.

하재근 문화평론가는 “탄핵심판이라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과 관련해 20~30대를 중심으로 익숙한 방식을 활용해 의미를 되새기고 정치적 표현을 하는 것”이라며 “계엄 직후 응원봉·선결제 현상처럼 답답함을 유쾌하고 주체적인 방법으로 풀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78 한동훈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 만들 것… AI 200조 투자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8677 "공보의 대신 군대 간 의대생 1천900명…의정갈등 중 입대 10배" 랭크뉴스 2025.04.15
48676 박지원 "김두관 경선 불참, 김경수 때문… 한덕수 땜빵론은 '윤건희' 작품" 랭크뉴스 2025.04.15
48675 이륙 준비 중 승객이 갑자기 비상문을…제주공항서 항공기 결항, 100여명 불편 랭크뉴스 2025.04.15
48674 한동훈 “3·4·7로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 열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8673 박보검, 세계에 한복 알린다 랭크뉴스 2025.04.15
48672 [속보] 항공기 비상구 강제개방 승객 “폐소공포증”…현행범 체포 랭크뉴스 2025.04.15
48671 의대생 2074명 올 1학기 ‘군 휴학’…군의관·공보의 수급 ‘빨간불’ 랭크뉴스 2025.04.15
48670 “여보, 5분 전 내려준 사람 같은데?” 부부 택시기사, 보이스피싱 수거책 잡았다 랭크뉴스 2025.04.15
48669 “‘신안산선 붕괴 사고’ 보강 공사 위해 H빔 내리던 중 발생”…현장 노동자 진술 랭크뉴스 2025.04.15
48668 우크라 포로된 中 2명 “러시아 거짓말에 완전히 속아” 랭크뉴스 2025.04.15
48667 터질 게 터졌다…‘관세폭탄’ 현실화에 워싱턴 라인 재정비 랭크뉴스 2025.04.15
48666 미국 ‘민감국가’ 지정 발효…정부 “해제 위해선 시간 더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8665 엔비디아, 美서 700조원 투자해 AI 인프라 구축 계획 랭크뉴스 2025.04.15
48664 5년치 일감 쌓은 K방산…상위 투자자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4.15
48663 이재명, 후원금 모집 시작 "국민 덕분에 검은돈 유혹 없이 정치" 랭크뉴스 2025.04.15
48662 현 고1부터 ‘9모’ 아닌 ‘8모’… 수시원서 9월 중순으로 랭크뉴스 2025.04.15
48661 민주, 한덕수 출마론에 "자신 있으면 나오라…양파 벗기듯 검증" 랭크뉴스 2025.04.15
48660 생후 5개월 아기 뇌출혈에 몸 곳곳 멍자국… '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8659 국회 운영위, 이완규·함상훈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가결…국민의힘 불참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