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주의적 국정 운영에 반대하는 시위가 5일(현지시간) 미국 곳곳에서 벌어졌다. 연방 공무원 대량 해고, 보건 예산 삭감, 관세로 인한 물가상승 우려 등 '트럼프표 정책'에 대한 불만이 분출된 모습이다.

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에 대한 항의 시위가 열렸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날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민권 단체, 노동조합, 참전용사 단체 등 150곳의 단체가 50개 주 전체에서 1400건의 집회를 열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정확한 인원은 파악하기 어렵지만, 60만명 이상이 참가 신청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번 전국 시위의 타이틀은 국정에서 '손을 떼라'는 의미인 '핸즈오프'(Hands Off)였다. NYT는 "시위자들은 국립공원 예산과 재향군인을 위한 의료 지원 삭감에 반대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면서 "이들은 관세와 파시즘, 정부 효율부(DOGE)에 반대하며 행진했다"고 전했다.

5일 미국 워싱턴 DC 내셔널 몰에서 열린 트럼프 반대 시위. EPA=연합뉴스

워싱턴 DC의 상징물로 백악관에서 1.6km 떨어진 워싱턴기념탑 주변에는 트럼프와 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반대 구호가 울려 퍼졌다. 다만 자택이 있는 플로리다주(州)에서 골프를 치며 주말을 보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근처에 모인 시위대의 소리를 직접 들을 수 없었다. 백악관 측도 NYT의 논평 요청에 즉시 응답하지 않았다.

시위는 평화적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북소리에 맞춰 "트럼프와 머스크를 막아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시위대 손팻말에는 "왕은 없다", "좌파, 우파가 아니라 옳고 그름의 문제다" 등의 문구가 적혀 있었다. WP에 따르면 제이미 라스킨(메릴랜드·민주) 의원은 이날 "도덕적인 사람은 아무것도 가치 있게 여기지 않는 경제 붕괴 독재자를 원치 않을 것"이라고 외쳤다.

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트럼프 반대 시위. EPA=연합뉴스

지역별로 불만을 품은 분야는 제각각이었다고 NYT가 전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있는 조지아주(州) 애틀랜타에서는 공중보건 자금 지원을 중단한 것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아이다호주 케첨에서는 산림청 예산 삭감에 불만이 높았다. 인구 3555명인 케첨에서 500명 이상이 모인 시위에 참석한 피오나 스마이스(56)는 "예산 삭감 탓에 산불을 막을 수 있는 건 이제 스모키 베어(미 산림청이 1944년 산불 예방 홍보 대사로 내건 곰 캐릭터)뿐이다"면서 우려를 표했다.

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LA에서 한 시위자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에 대한 항의 시위에 참가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날 런던·파리·베를린 등 유럽 주요 도시에서도 트럼프 반대 시위가 열렸다. 가디언에 따르면 5일 런던의 트래펄가 광장에는 시민 수백명이 모여 '트럼프를 내쳐라' 등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시위했다. 파리 레퓌블리크 광장에서도 트럼프의 관세 부과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5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의 콜로라도 캐피탈에서 "우리의 민주주의에서 손떼라"는 내용이 적힌 종이를 든 시위자. AFP=연합뉴스



"관세 정책 반대 54%"

특히 이번 시위가 촉발된 배경에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유발한 경제적 대혼란이 있었다고 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지난달 27일부터 6일간 미국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4%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반대했다. 지난 1월 관세정책을 지지한다는 응답(48%)이 반대(46%)보다 많았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응답자의 75%는 관세 탓에 물가가 올라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트럼프의 경제 정책 전반에 대해서도 부정(52%)적인 시각이 긍정(44%)적인 시각을 압도했다. 지난해 대선 직전인 10월에는 트럼프 경제정책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40%로 찬성한다는 응답(50%)보다 적었지만 역전된 것이다. 응답자의 54%는 정부 예산이 줄어 각종 정부 서비스가 사라지는 것이 걱정이라고 답했다.

5일 미국 뉴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 전국적으로 조직된 시위에 참가한 인파. 로이터=연합뉴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41 [속보] 비명 잠룡 김부겸 "민주당 경선 불참"…사실상 대선 불출마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40 이완규 재판관 후보자는 국힘 소속? 나무위키가 촉발한 당적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9 [속보] "이제 미국이 갈취할 때다"...트럼프 상호관세 결국 발효됐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8 우원식 “개헌 논의 미루자…한덕수가 정국 혼란 야기”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7 '폭력 남친 불질러 살해' 40대 정당방위 호소…왜 고의 인정됐나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6 김부겸, 민주당 대선 경선 불참…"정권교체 위해 전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5 상장으로 드러난 민낯, 더본코리아 [안재광의 대기만성's]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4 '청와대 습격' 北 무장공비 출신 김신조 목사 83세로 별세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3 [속보] 창원지방법원, 명태균·김영선 보석 허가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2 [속보]코스피 2300선 붕괴···1년5개월만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1 맥아더 동상, 박정희 생가, 인천공항···출마선언 장소의 정치학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30 "尹, 김건희에 사랑 이상의 감정…절대 못 내칠 것" 尹 1호 대변인의 말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29 미 상호관세 발효…우선 협상대상 한국에 “원스톱 쇼핑” , 관세·방위비 패키지 압박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28 [속보] 美상호관세 발효 쇼크…코스피 장중 2300선도 깨졌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27 감사원 "尹 한남동 관저 이전, 재감사서 문제점 포착"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26 권성동의 ‘적’은 권성동…8년 전엔 “대행, 대통령 몫 임명 불가”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25 [속보] 김부겸 "대선 경선 불참…정권교체·국민통합 함께하겠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24 수험생·학부모 절반 이상 “의대 모집 정원 축소 반대”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23 선관위원장 "엄정하게 대선 관리…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022 "3개월 만에 재산 5000억 늘어" 방시혁, 43개 기업 중 '1위' [이런국장 저런주식] new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