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의성서 추락한 헬기는 기령 30년
지난달 30일 경남 산천군 시천면 인근 덕천강에서 산림청 헬기가 급수를 마친 뒤 진화작업에 투입되고 있다. 신소영 기자 [email protected] (사진은 기사와 상관 없음)

대구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하다 추락한 헬기는 44년 된 기종인 것으로 파악됐다.

6일 대구소방안전본부 말을 들어보면, 이날 오후 3시41분께 헬기(BELL 206L) 1대가 산불 진화작업 현장에서 100여m 떨어진 곳에 갑자기 추락했다. 이 사고로 70대 조종사가 사망했다.

추락 헬기는 미국 항공기 제작사인 ‘벨’에서 만든 헬기로, 기령(기체 나이) 44년 된 기종이다. 대구 동구청이 산불 진화용으로 임차해 활용하고 있었다.

이날 사고는 경북 의성에서 일어난 헬기 추락사고 10여일 만에 다시 일어났다. 지난달 26일 낮 의성에서 산불 진화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숨졌다. 이 헬기는 기령이 30년 된 기종이다. 강원도가 산불 진화를 위해 임차했다.

산불 진화용 헬기는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운용하고 있다. 산림청은 자체 보유 헬기를, 지자체는 민간에서 임차한 헬기를 쓴다.

두 추락 사건 원인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산불 진화용 헬기의 노후화·정비 문제는 국회 국정감사 등에서 수년째 지적됐다.

2023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산림 항공기 안전 확보를 위한 산림보호법 개정안 검토보고서를 보면, 2013∼2023년 산불 진화 중 헬기가 추락한 사례는 10건이다. 모두 16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이 기간 지자체가 임차한 헬기 추락 사고는 7건(산불 진화 4건, 일반 화재·산불 계도·자재 운반 각 1건)이 있었다. 2022년 11월 강원도 양양에서 기령 47년짜리 헬기가 산불 계도 비행 중 추락해 5명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또 △2022년 5월 경남 거제 추락(기령 52년, 자재 운반 중, 사망 2명·부상 1명) △2021년 충북 청주 추락(기령 16년, 담수 작업 중, 사망 1명·부상 1명) △2020년 3월 울산 울주 추락(기령 41년, 담수 뒤 이륙 중, 사망 1명) △2017년 11월 전남 보성 추락(기령 24년, 물주머니와 꼬리날개 충돌, 사망 1명) △2016년 3월 경기 화성 추락(기령 44년, 연료펌프 미작동, 사망 1명) △2016년 1월 전북 김제 추락(기령 23년, 꼬리회전날개 볼트 이탈, 사망 1명) 사고가 있었다.

국회 검토보고서는 “산림청 보유 헬기 사고의 경우 노후화에 따른 기체 결함이 직접적 사고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파악되는 반면, 지자체 임차 헬기의 경우 기령 20년이 넘은 헬기(경년기) 추락 사고가 6건에 달해 산림청과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자체 임차 헬기에서 추락 사고가 자주 발생한 이유는 경년기가 많고, 안전 관리 및 부품 교체·정비 등이 미흡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59 트럼프 “반도체 새 관세 다음주 발표, 머지않은 미래 시행” 랭크뉴스 2025.04.14
43658 [속보] 우원식 “한덕수, 대정부질문 불출석 ‘무책임’” 랭크뉴스 2025.04.14
43657 [단독]가세연의 ‘쯔양 협박’에 ‘불송치’ 결정한 경찰···검찰은 보완수사 요구 랭크뉴스 2025.04.14
43656 김문수 캠프에 소설가 이문열·고대영 전 KBS 사장 합류 랭크뉴스 2025.04.14
43655 한덕수 불출마?…“대미 관세협상이 제 마지막 소명” 랭크뉴스 2025.04.14
43654 이맘때부터 381명 목숨 앗았다…또다시 돌아온 '공포의 살인마' 랭크뉴스 2025.04.14
43653 [속보] 홍준표 대선 출마 공식 선언… “이재명이냐 홍준표냐 양자택일 선거” 랭크뉴스 2025.04.14
43652 첫재판 尹-검찰 '내란' 공방…"국헌문란 폭동" vs "몇시간 사건"(종합) 랭크뉴스 2025.04.14
43651 "저 살 수 있는 거죠?" 지하 30m 추락한 굴착기 기사 첫마디 랭크뉴스 2025.04.14
43650 윤 전 대통령 직접 발언 "메시지 계엄"‥검찰 "국헌문란 폭동" 랭크뉴스 2025.04.14
43649 윤 전 대통령 첫 형사재판 열려…이 시각 서울중앙지법 랭크뉴스 2025.04.14
43648 트럼프 "반도체 새 관세 다음주 발표, 머지않은 미래 시행"(종합) 랭크뉴스 2025.04.14
43647 홍준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 사법심판대 세워야” 랭크뉴스 2025.04.14
43646 윤석열 “평화적인 대국민 메시지 계엄”... PPT 띄워 혐의 조목조목 반박 랭크뉴스 2025.04.14
43645 경찰, '대마 양성반응' 국민의힘 이철규 아들 투약 혐의도 수사 랭크뉴스 2025.04.14
43644 “독재자 몰아내자” 83세 샌더스 ‘반트럼프 투어’ 3만 명 집결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4
43643 윤석열 “계엄은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모든 혐의 부인하며 궤변 랭크뉴스 2025.04.14
43642 尹 “6시간 만에 해제한 비폭력 사건... 내란 아냐” 랭크뉴스 2025.04.14
43641 [속보]윤석열 “몇 시간 사건이 내란? 법리에 안 맞아”···논리 되풀이 랭크뉴스 2025.04.14
43640 [속보]윤석열 “계엄과 쿠데타는 달라…감사원장 탄핵 그냥 넘어갈 수 없었다” 주장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