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명계 "권력분산 필수" 환영…'임기단축' 변수 등 맞물리면 진통 겪을 듯
우의장 "민주당 지도부와 논의"…이재명, 별도 언급 없어


우원식 국회의장, 개헌 관련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개헌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4.6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오규진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하자고 제안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가장 유력한 대선주자로 꼽히는 이 대표 주변에서 우 의장의 제안에 제동을 걸거나 비판하는 입장들이 공개적으로 표출되면서 향후 개헌논의도 진통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파면이 엊그제고 아직 관저 퇴거도 안 한 상태인데 국민이 공감할지 의문"이라며 "지금은 일단 탄핵 뒷수습과 내란 세력 발본색원, 민생·경제 회복이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도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당위성에는 공감하지만, 지금 개헌이 최우선 과제인가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다"며 "지금 국가적인 최우선 과제는 내란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 그 책임을 묻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정청래 의원은 "우 의장의 충심은 이해한다"면서도 "TPO(time·place·occasion, 시간·장소·상황)에 맞지 않는 국회의장 놀이를 중단하시고, 개헌 주장으로 국민의 분노를 사지 않기를 바란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5선 중진 이인영 의원은 "지금은 개헌 논의할 때가 아니다. 불가능하다. 대선을 앞두고 개헌 논의를 잘못하면 계엄과 탄핵으로 이어진 민의를 왜곡한다"며 "내각제나 이원정부제 개헌은 더더욱 아니다. 대선 이후 개헌 논의를 하자"고 말했다.

현재 민주당 지도부와 의원들에게는 개헌 논의에 반대한다며 우 의장을 비판하는 당원들의 메시지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형배 의원은 다수 당원에게 받은 항의성 문자메시지 사진을 공개하며 "개헌 반드시 해야 하지만 내란 잔불 처리가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은 환영 의사를 나타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우 의장의 개헌 추진 제안에 적극 동의하며 환영한다"며 "38년 만에 이뤄지는 개헌을 통해 새로운 7공화국을 국민과 함께 열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두관 전 의원은 "제6공화국 8명의 대통령 중에서 4명이 구속됐거나 파면됐다. 사람의 문제도 있겠지만 시스템의 문제도 생각해야 한다"며 "대통령 선거만 생각하는 것은 사회적 공공선을 외면하는 것과 같다"면서 개헌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회의장 직속 '국민 미래 개헌 자문위원회'(자문위) 위원인 무소속 김종민 의원은 "대권이 아닌 민권의 시대이고, 민권의 시대에서는 권력 분산, 권력 민주화가 필수"라며 "개헌특위는 30인 규모로 구성하되, (권력구조 개편 등) 1단계 개헌을 위해서는 정치협상회의를 가동하자"고 제안했다.

이런 가운데 당 안팎에서는 우 의장의 개헌 제안이 이 대표와 사전에 공감대를 이룬 상태에서 나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 의장은 "민주당뿐 아니라 여러 당 지도부와 다 얘기를 했다"고 밝혔다.

당장은 친명 진영에서 반대를 하더라도 결국 이 대표는 어느 정도 논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 우 의장의 판단으로 보인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 대표 역시 지난 대선에서 4년 중임제를 공약한 바 있다. 이번에도 대선 과정에서 개헌에 대한 입장을 밝힐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를 고려하면 국회 차원에서 논의가 진행되는 것이 이 대표로서는 부담을 더는 방향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논의가 차기 대통령의 임기 단축 문제로 번질 경우엔 각 진영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는 이에 대해 아직 별도의 언급을 하지는 않고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54 "살아있는 대형견 매달려 당황"…당진서 대낮에 난리난 사건 랭크뉴스 2025.04.06
44753 美전역서 수십만 ‘손 떼라’ 시위… “트럼프·머스크 반대” 랭크뉴스 2025.04.06
44752 "소맥 마시는데 만 원이 넘어"…사람들 '술' 안 마시자 결국 눈물 흘리며 '할인' 랭크뉴스 2025.04.06
44751 김문수·홍준표·김두관 첫 테이프…李도 이번주 대표 사퇴할 듯 랭크뉴스 2025.04.06
44750 내란의 비용‥청구서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5.04.06
44749 내란죄 사실관계 상당수 인정…남은 재판 영향은? 랭크뉴스 2025.04.06
44748 “다시 윤석열”-“결과 승복” 분열하는 극우…속내는 오직 ‘돈’ 랭크뉴스 2025.04.06
44747 美, ‘강제 노동’ 이유로 韓 최대 염전 소금 수입 금지 랭크뉴스 2025.04.06
44746 "어머 저게 뭐야?" 살아있는 대형견 차에 매달고 질주한 운전자 랭크뉴스 2025.04.06
44745 대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사고 7일 합동 감식 랭크뉴스 2025.04.06
44744 진공 풀린 헌재·한적한 관저‥드디어 되찾은 '일상' 랭크뉴스 2025.04.06
44743 화끈한 보복? 저자세 협상?...트럼프 관세폭탄에 각국 초비상 랭크뉴스 2025.04.06
44742 50대 부부, 시골서 1억 번다…귀촌생활 꽃 핀다는 '자격증' 랭크뉴스 2025.04.06
44741 산불 진화 헬기 또 추락‥70대 조종사 숨져 랭크뉴스 2025.04.06
44740 국민의힘, 우원식 개헌 제안에 “이재명 직접 답해야” 랭크뉴스 2025.04.06
44739 적신월사 구급차 습격해 15명 살해한 이스라엘, ‘물증’ 나오자 잘못 시인 랭크뉴스 2025.04.06
44738 파면된 윤석열 대신 "김상욱 정리해야"‥지도부는 재신임 랭크뉴스 2025.04.06
44737 '국민투표법 개정'부터 실현돼야...우원식 국회의장이 짚은 개헌 선결 과제는 랭크뉴스 2025.04.06
44736 ‘윤석열 파면’ 38일 걸린 헌재···결정문에 치열한 고민의 흔적 남겼다 랭크뉴스 2025.04.06
44735 임대료에 성난 스페인 시민들 “첫 집은 보조금을, 두 번째부터는 세금을” 랭크뉴스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