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경제-한국갤럽 긴급 여론조사] ■ 이재명, 양자대결서 압도
당내 선호도 47% 지지세 재확인
사법리스크 해소·尹파면 맞물려
홍준표, 14%P로 격차 가장 적어
10%대 부동층 표심 잡는게 관건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국회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 관련 입장 발표를 위해 회의실로 들어서고 있다. 성형주 기자

[서울경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가상 양자 대결 시 모두 과반 지지율을 얻으며 보수 진영 후보를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정권 교체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확산된 데다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2심 무죄 판결로 사법 리스크를 덜어낸 것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으로서는 10%대의 부동층을 모두 끌어와야 그나마 이 대표와 겨뤄볼 만할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경제신문이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한국갤럽에 의뢰해 이달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해 6일 발표한 결과 ‘두 후보가 출마한다면 누가 대통령이 되는 것이 더 좋은가’라는 질문에서 이 대표는 모든 보수 진영 후보를 상대로 50% 이상 지지율을 기록했다. 후보별로 보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양자 대결 시 이 대표는 53%, 김 장관은 35%의 지지율을 보였다.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가상 대결에선 이 대표와 오 시장이 각각 51%·37%를 얻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32%, 이 대표가 52%로 두 후보 지지율은 20%포인트 차이가 났다. 이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의 양자 대결에서는 이 대표가 52%, 홍 시장이 38%를 기록했다. 두 후보 격차는 14%포인트로 보수 진영 후보 중 가장 적었지만 홍 시장 역시 오차범위 밖으로 이 대표에게 밀렸다.

진보층은 물론이고 중도층에서도 이 대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 자신이 중도층이라고 밝힌 응답자 중 55% 이상이 이 대표에 대한 선호도를 보였다. 김 장관과의 대결에서 중도층 가운데 이 대표를 지지한 비율은 57%였고 김 장관은 26%에 그쳤다. 이 대표와 오 시장 대결에서는 각각 56%·29%를 기록했고 한 전 대표와도 각각 56%·27%인 것으로 집계됐다. 홍 시장과의 양자 대결 시에는 이 대표가 55%, 홍 시장이 31%를 기록했다.

이 대표의 독주 체제는 그동안 대선 가도에 발목을 잡았던 사법 리스크 해소가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앞서 그가 공직선거법 위반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으며 대선 출마 여부가 불확실하다는 전망이 있었지만 지난달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며 이 같은 우려를 덜어냈다는 것이다.

여기에 이달 4일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인해 정권 교체에 대한 요구가 더 확대된 것으로 해석된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선고 직전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선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에 대한 질문에 이 대표는 34%를 기록했다. 김 장관이 9%로 그 뒤를 이었다(1~3일 전국 만 18세 남녀 1001명 대상으로 조사,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하지만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치러진 이번 조사에서는 이 대표가 40%로 지지도가 급등했고 김 장관은 7%로 떨어졌다. 직전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 번호로 진행돼 유무선 임의전화걸기(RDD) 표본에서 무작위 추출한 이번 조사와 방식이 다르지만 2~3일 간격으로 치러진 조사인 점을 고려하면 대통령 파면이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진보 진영에서 이 대표의 독주 체제나 다름없었기 때문에 양자 대결에서도 이 대표가 큰 격차로 우세한 것은 놀라운 현상은 아니다”라면서도 “모든 보수 후보와의 대결에서 50% 이상의 지지율을 얻은 것은 눈여겨볼 만하고 윤 전 대통령 파면 영향도 고려해볼 요소”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민주당 대선 후보 선호도에서도 47%를 얻으며 압도적인 지지세를 재확인했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10%로 2위를 기록했고 김부겸 전 국무총리(9%), 김경수 전 경남지사(4%), 김두관 전 의원(3%)이 그 뒤를 이었다.

조기 대선까지 60일이 채 남지 않은 현재로서는 국민의힘은 부동층을 최대한 흡수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조사에서 ‘없다’ 또는 ‘모름 또는 응답 거절’로 답변을 유보한 부동층은 10%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대표와 홍 시장 대결에선 부동층이 11%였고 김 장관과 오 시장의 경우 각각 12%다. 한 전 대표와의 양자 대결에서는 부동층이 15%에 육박했다. 현재 이 대표의 지지도가 50% 초반이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부동층을 모두 끌어올 경우 경쟁력을 그나마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본지·한국갤럽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이번 조사는 탄핵 선고 이후 처음 무작위 추출된 유무선 전화번호를 활용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9.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46 수도권 1분기 분양 70%↓… 건설사 진퇴양난 랭크뉴스 2025.04.15
48545 "메시지 계엄"‥사과·반성 없는 82분의 '강변' 랭크뉴스 2025.04.15
48544 오락가락 트럼프 또 '관세 변덕'…"반도체 일부기업에 유연성"[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15
48543 K-스타트업에 쏠린 표심…대선판 흔드는 AI·반도체 공약 랭크뉴스 2025.04.15
48542 [속보] 美, 반도체·의약품 안보 영향 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15
48541 "AI 고급인재에 軍 면제"…韓 AI 특허, 中 8% 수준[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15
48540 한은 "정치 불확실성 여전히 계엄 전보다 월등히 높아" 랭크뉴스 2025.04.15
48539 “몇시간 사건이 내란? 법리에 안 맞아”… 尹, 기존입장 되풀이 랭크뉴스 2025.04.15
48538 트럼프, 차 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반도체 등 관세 부과 수순 랭크뉴스 2025.04.15
48537 자나깨나 입조심… ‘대선 3수’ 이재명, 본선까지 ‘안정 전략’ 랭크뉴스 2025.04.15
48536 탄핵됐어도 경호시설 예산 140억 집행될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5
48535 [속보]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8534 태양광 비리 쫓던 檢, '여론조사 조작' 꼬리를 찾았다...무더기로 발견된 휴대폰 랭크뉴스 2025.04.15
48533 [샷!] "임신·사고쳤다는 오해 받을까봐…" 랭크뉴스 2025.04.15
48532 "반대 없습니까" 불통의 K주총…젠슨황이 설명, 소통의 美주총 [K주총의 그늘] 랭크뉴스 2025.04.15
48531 3년 만에 가입자 2000만 돌파…신용점수도 '이만큼' 올렸다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5
48530 선고일 화환까지 26t 치워… “한겨울에 속옷 다 젖었어요” 랭크뉴스 2025.04.15
48529 '노아의 방주' 흔적 나올까…아라라트산 유적 발굴 추진 랭크뉴스 2025.04.15
48528 [이희옥 칼럼] 美, 중국의 수를 잘못 읽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8527 이재명 “조국혁신당은 동지…통 큰 단합으로 정권교체 이룰 것”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