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통령 임기 5→3년 단축 개헌안에
반대 50% vs 찬성 39%, 11%p차
지지 정당 및 정치 성향별로 엇갈려
민주 지지층 반대 68%, 찬성 24%
국힘 지지층 반대 31%, 찬성 58%
정권 교체 기대감 높은 진 지지층
임기 단축 개헌 필요성 느끼지 못해
여권 지지층에선 '이재명 정부' 대비
서울경제신문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한국갤럽에 의뢰해 이달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0%가 임기 단축 개헌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해 5월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 뒤 퇴장하는 윤 전 대통령. 연합뉴스

[서울경제]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해 2028년에 대선과 총선을 동시에 치르는 개헌안을 두고 국민 10명 중 5명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은 39%였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58%가 임기 단축 개헌에 찬성하는 것으로 확인돼 지지 정당과 정치 성향에 따라 찬반이 엇갈렸다.

서울경제신문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한국갤럽에 의뢰해 이달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0%가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찬성은 39%로 반대와의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11%포인트였다. 모름·무응답은 11%였다.

지지 정당별로 찬반 비율이 대조됐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자는 각각 68%와 64%가 개헌에 반대했다. 찬성은 각각 24%와 31%에 그쳤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의 경우 58%가 임기 단축에 찬성했다. 반대는 31%였다. 개혁신당 지지자 역시 65%가 찬성한 반면 반대는 31%였다. 무당층에서도 찬성(45%)이 반대(38%)보다 높았다.

보수 정당을 지지하거나 지지하는 정당이 없으면 차기 대통령의 임기 단축에 찬성하고 진보 정당을 지지하면 반대한 것이다.

정치 성향별 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보수 성향 응답자는 개헌 찬성이 51%로 반대(40%)보다 11%포인트 높았다. 하지만 진보 성향 응답자는 개헌 반대가 67%에 달해 찬성(26%)의 2배 이상이었다. 자신을 중도 성향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반대 51%, 찬성 39%였다.

이 같은 찬반 구도는 각 당 핵심 지지층의 연령과 지역별 조사에서도 비슷하게 드러났다. 국민의힘 핵심 지지층인 70세 이상과 60대에서 개헌 찬성이 각각 51%와 47%로 조사돼 전 연령 중 유이하게 찬성 비율이 더 높았다. 반대로 민주당 핵심 지지층인 40대와 50대에서는 개헌 반대가 각각 66%와 61%였다.

지역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세가 견고한 강원(58%)과 부산·울산·경남(46%)에서 개헌 찬성이 더 많았다. 하지만 민주당 지지세가 높은 제주(71%)와 대전·세종·충청(54%), 광주·전라(53%)에서는 개헌 반대 비율이 더 높았다.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조기 대선 실시가 확정된 가운데 정권 교체 기대감이 높은 진보 지지층을 중심으로 차기 대통령 임기 단축에 대한 거부감이 확인됐다는 분석이다. 진보 진영 유력 주자인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당선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굳이 현행 5년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보수 지지층은 지금까지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이 개헌에 적극적이었던 영향을 받은 데다 만약 이 대표가 당선되더라도 ‘이재명 정부’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개헌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대선 기대별 조사에서 ‘정권 교체’를 희망하는 응답자의 65%가 개헌에 반대했고 찬성은 27%에 불과했다. ‘정권 유지’를 희망하는 응답자의 경우 59%가 개헌에 찬성했고 반대는 32%였다.

서울경제·한국갤럽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이번 조사는 탄핵 선고 이후 첫 무작위 추출된 유무선 전화번호를 활용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9.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4일 국회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715 [르포] 자식 잃은 부모 고통 헤아릴 수 있을까…11년 아픔 팽목항 랭크뉴스 2025.04.14
43714 [단독] 강동구 사망사고 인근 또 싱크홀…“원인 조사중” 랭크뉴스 2025.04.14
43713 ‘약자 곁 71년’ 두봉 주교님이 한국과 결혼한 사연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4
43712 검찰, ‘선거법 위반’ 김혜경씨 항소심서 벌금 300만원 구형 랭크뉴스 2025.04.14
43711 이재명 “김경수 복당은 민주 강화 콘크리트…일부 언론이 갈라치기” 랭크뉴스 2025.04.14
43710 김동연, 민주 경선 참여… “원칙 무너졌지만 정책으로 경쟁” 랭크뉴스 2025.04.14
43709 구속 취소, 촬영 불허, 직업 대독...지귀연 판사, 윤석열 봐주기 구설 랭크뉴스 2025.04.14
43708 [단독] “대형 싱크홀 찾기 어려워”…땅 속 최대 20m 탐지하는 장심도 장비 도입 무산 랭크뉴스 2025.04.14
43707 트럼프 “대선 출마?” 한덕수와 통화 유출…“기밀누설 조사해야” 랭크뉴스 2025.04.14
43706 “상가에 경호동 6개월 임차계약”…이후 단독주택 이사?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4
43705 尹, 검찰에 날 세워 "모자이크 공소장"... 법원엔 "중구난방" 비판 랭크뉴스 2025.04.14
43704 만취에 과속…횡단보도 건너던 20대 숨지게 한 운전자 징역 8년 랭크뉴스 2025.04.14
43703 [속보]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지역 ‘땅꺼짐’ 신고…통제 중 랭크뉴스 2025.04.14
43702 1000원짜리 얼마나 팔았길래…다이소 매출 입이 '떡' 벌어지네 랭크뉴스 2025.04.14
43701 [속보] 법원, 티몬 인수 예정자로 ‘오아시스’ 선정 랭크뉴스 2025.04.14
43700 [속보]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구역서 지반침하…통제 중 랭크뉴스 2025.04.14
43699 '스마트폰 관세 예외' 하루 만에 없던 일로... "정책 혼란에 현기증" 랭크뉴스 2025.04.14
43698 박성재 "韓대행, 행정부 몫 헌법재판관 임명 가능…지명 존중" 랭크뉴스 2025.04.14
43697 윤석열, 검찰 향해 “무논리 모자이크 공소장”…법원에도 “중구난방” 랭크뉴스 2025.04.14
43696 오늘부터 배민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 6.8% 부과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