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통령 임기 5→3년 단축 개헌안에
반대 50% vs 찬성 39%, 11%p차
지지 정당 및 정치 성향별로 엇갈려
민주 지지층 반대 68%, 찬성 24%
국힘 지지층 반대 31%, 찬성 58%
정권 교체 기대감 높은 진 지지층
임기 단축 개헌 필요성 느끼지 못해
여권 지지층에선 '이재명 정부' 대비
서울경제신문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한국갤럽에 의뢰해 이달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0%가 임기 단축 개헌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해 5월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 뒤 퇴장하는 윤 전 대통령. 연합뉴스

[서울경제]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해 2028년에 대선과 총선을 동시에 치르는 개헌안을 두고 국민 10명 중 5명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은 39%였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58%가 임기 단축 개헌에 찬성하는 것으로 확인돼 지지 정당과 정치 성향에 따라 찬반이 엇갈렸다.

서울경제신문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한국갤럽에 의뢰해 이달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0%가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찬성은 39%로 반대와의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11%포인트였다. 모름·무응답은 11%였다.

지지 정당별로 찬반 비율이 대조됐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자는 각각 68%와 64%가 개헌에 반대했다. 찬성은 각각 24%와 31%에 그쳤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의 경우 58%가 임기 단축에 찬성했다. 반대는 31%였다. 개혁신당 지지자 역시 65%가 찬성한 반면 반대는 31%였다. 무당층에서도 찬성(45%)이 반대(38%)보다 높았다.

보수 정당을 지지하거나 지지하는 정당이 없으면 차기 대통령의 임기 단축에 찬성하고 진보 정당을 지지하면 반대한 것이다.

정치 성향별 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보수 성향 응답자는 개헌 찬성이 51%로 반대(40%)보다 11%포인트 높았다. 하지만 진보 성향 응답자는 개헌 반대가 67%에 달해 찬성(26%)의 2배 이상이었다. 자신을 중도 성향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반대 51%, 찬성 39%였다.

이 같은 찬반 구도는 각 당 핵심 지지층의 연령과 지역별 조사에서도 비슷하게 드러났다. 국민의힘 핵심 지지층인 70세 이상과 60대에서 개헌 찬성이 각각 51%와 47%로 조사돼 전 연령 중 유이하게 찬성 비율이 더 높았다. 반대로 민주당 핵심 지지층인 40대와 50대에서는 개헌 반대가 각각 66%와 61%였다.

지역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세가 견고한 강원(58%)과 부산·울산·경남(46%)에서 개헌 찬성이 더 많았다. 하지만 민주당 지지세가 높은 제주(71%)와 대전·세종·충청(54%), 광주·전라(53%)에서는 개헌 반대 비율이 더 높았다.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조기 대선 실시가 확정된 가운데 정권 교체 기대감이 높은 진보 지지층을 중심으로 차기 대통령 임기 단축에 대한 거부감이 확인됐다는 분석이다. 진보 진영 유력 주자인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당선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굳이 현행 5년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보수 지지층은 지금까지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이 개헌에 적극적이었던 영향을 받은 데다 만약 이 대표가 당선되더라도 ‘이재명 정부’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개헌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대선 기대별 조사에서 ‘정권 교체’를 희망하는 응답자의 65%가 개헌에 반대했고 찬성은 27%에 불과했다. ‘정권 유지’를 희망하는 응답자의 경우 59%가 개헌에 찬성했고 반대는 32%였다.

서울경제·한국갤럽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이번 조사는 탄핵 선고 이후 첫 무작위 추출된 유무선 전화번호를 활용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9.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4일 국회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94 박성재 법무장관 복귀‥헌재 "계엄 가담 증거 찾을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4.10
46693 우크라에 붙잡힌 중국인 포로 "508만원 내고 러군 입대" 왜 랭크뉴스 2025.04.10
46692 국힘, 경선 흥행 성공이 살 길…1차선 민심 100%로 4명 뽑는다 랭크뉴스 2025.04.10
46691 "김성훈에게 미래 맡길 수 없다"‥경호처 내부 '연판장'까지 랭크뉴스 2025.04.10
46690 예상 못한 ‘국채 투매’에 놀란 트럼프, 한발 물러섰다 랭크뉴스 2025.04.10
46689 "종말이 온다" 퇴근후 총연습하며 극한상황 대비하는 미국인들 랭크뉴스 2025.04.10
46688 '어대명' 그늘? 민주당 경선 룰 '초고속'... 김두관 측 "일방통행" 반발도 랭크뉴스 2025.04.10
46687 고3이 수업중 휴대폰게임 지적에 교사 폭행…분리조치·조사돌입(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0
46686 선관위 찾아가며 "적진에 침투"‥김민전이 데려간 부정선거론자들 랭크뉴스 2025.04.10
46685 "한덕수 출마 연판장" 거세진 대망론‥"내란대행 용기 없을 것" 랭크뉴스 2025.04.10
46684 출마 김문수 “친북·반미 세력에 맞서야”...선대본부장엔 김재원 랭크뉴스 2025.04.10
46683 만취 승객만 태운 택시기사…'가짜 토' 뿌리고 1.5억 뜯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682 [단독] "尹 지하로 가게 해달라"‥법원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10
46681 전한길 불러 '파이팅'‥'윤심' 정치 노골화 랭크뉴스 2025.04.10
46680 올해 칸영화제 초청작에 韓영화 ‘0′…12년만의 굴욕 랭크뉴스 2025.04.10
46679 “판사가 개소리 징징” ‘서부지법 난동’ 변호인들, 유튜브서 ‘막말’ 랭크뉴스 2025.04.10
46678 125% 대 84% 관세전쟁···중국 “할리우드 영화 수입 줄인다” 랭크뉴스 2025.04.10
46677 법제처도 입법조사처도 "한덕수 기습 지명은 위헌" 랭크뉴스 2025.04.10
46676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만 명 넘었다…10·20대 ‘딥페이크’ 급증 랭크뉴스 2025.04.10
46675 만취 승객들에 가짜토사물 뿌리고 1억5천만원 뜯은 택시기사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