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흉부외과 같은 심혈관질환 전문의의 고령화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수도권과 격차도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에 근무하는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명 중 1명꼴로 60세 이상이었으나, 강원도 내 도시에서는 전원이 60세 이상이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지역보건의료진단 기초연구: 의료자원의 격차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17개 시도 행정구역을 도시·도농복합·농촌 등 시도별 유형에 따라 33개 지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연구팀은 서울을 '서울 도시' 1개 지역, 부산을 '부산 도시'·'부산 농촌'으로 2개, 강원도를 '강원 도시'·'강원 도농'·'강원 농촌' 등 3개로 나누는 식으로 지역을 분류했습니다. 이후 지역별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수와 60세 이상 비중을 파악했습니다.

그 결과 심혈관질환 전문의의 60세 이상 비중은 전국에서 19.1%, 서울에서 16.9%였으나 강원 도시는 100%였습니다. 강원도 내 도시로 분류되는 동해시·태백시·속초시에 있는 심혈관질환 전문의 모두가 60세 이상이라는 의미입니다.

경북 농촌의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0세 이상 비중이 57.2%로 강원 도시 다음이었습니다.

전국 수준보다 60세 이상 비중이 큰 지역은 33개 중 13개로 집계됐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심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국 3.9명이었고, 서울·전남 도시가 각각 6.1명으로 많은 편이었습니다. 반면 경남 농촌이 0.4명, 강원 도시가 0.5명 순으로 낮았습니다.

지역 33곳 중 19곳은 전국 수준보다 적었고, 대구 농촌은 심혈관질환 전문의가 아예 없었습니다.

신경과나 신경외과 등 뇌혈관질환 전문의 상황도 비슷했습니다.

뇌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은 전국 14.8%, 서울 14.1%였지만 강원 도시에서는 64.2%에 달했습니다. 인천 농촌도 60.0% 수준으로 높았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뇌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국 9.4명이었습니다.

대구 도시 14.7명, 전남 도시 13.5명, 서울 12.8명 순으로 많았고 경북 농촌이 0.8명, 강원 농촌이 2.5명 순으로 낮았습니다.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은 강원 도시가 82.1%로 최대였고, 세종 도시가 9.2%로 최소였습니다. 전국 평균은 17.0%, 서울은 15.5%입니다.

인구 10만 명당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남 도시가 19.6명으로 최대였고, 경북 농촌이 2.2명으로 최소입니다. 전국 평균은 13.3명, 서울은 16.95명이었습니다.

연구진은 "도시와 비도시권 지역 유형 간 전문의 수와 연령에서 격차가 두드러졌다"며 "도시보다 농촌 지역일수록 기준 인구당 전문의 수는 부족하고, 60세 이상 고령 전문의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2023년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므로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인한 상황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연구진은 "2024년 기점으로 의료 인력 대란 등 의료시장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며 "전공의 이탈 등으로 가용 시설이 있음에도 인력 부족으로 환자에게 적정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다음부터는 최근 쟁점과 관련한 지표를 반영해 전국 또는 지역별 상황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83 "내가 다 알려줬잖아"…'관세 전쟁' 폭락장 속 '나홀로' 18억 번 투자의 귀재 랭크뉴스 2025.04.09
45782 “무서운 암, 이렇게 살아야 삽니다” 美서 나온 생존 비결 랭크뉴스 2025.04.09
45781 韓대행, 美상호관세에 "맞대응 않고 협상할 것"…CNN 인터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9
45780 한덕수-트럼프 28분 첫 통화…관세·방위비 '원스톱 협상' 예고 랭크뉴스 2025.04.09
45779 미국 증시는 역대 최대 등락…10분간 3500조 출렁 랭크뉴스 2025.04.09
45778 6·3 대선일 확정‥인수위 없이 다음날 곧바로 취임 랭크뉴스 2025.04.09
45777 한덕수-트럼프 첫 통화…“조선·LNG·무역균형 협력 논의” 랭크뉴스 2025.04.09
45776 '6·3 대선' 확정에 잠룡들 잇따른 출사표…56일간 레이스 개막 랭크뉴스 2025.04.09
45775 ‘괴물 산불’ 국립공원에도 최악 상흔… 공단 헬기는 고작 1대 뿐 랭크뉴스 2025.04.09
45774 누구와 붙어도 이기는 李, 무당층 표심은 밀린다 랭크뉴스 2025.04.09
45773 너도 가담했지?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09
45772 쿠팡은 로켓 성장하는데… 마트 “의무휴업 족쇄 더 죄나” 한숨 랭크뉴스 2025.04.09
45771 한덕수, CNN 인터뷰서 "美관세에 반발하는 선택 안해" 랭크뉴스 2025.04.09
45770 ‘한덕수 대선 차출’ 명분 쌓기?...‘월권’ 배경 놓고 추측 난무 랭크뉴스 2025.04.09
45769 중국 “끝까지 가보자”…트럼프에 맞설 ‘반격 카드’ 준비하나 랭크뉴스 2025.04.09
45768 김문수 “윤과 소통 없었다” 장관직 사퇴…9일 공식 출마 선언 랭크뉴스 2025.04.09
45767 한덕수, 미국 관세 부과에 “맞서지 않고 협상할 것” 랭크뉴스 2025.04.09
45766 [관가뒷담] 반덤핑 관세 부과액 ‘집계 불가’라던 무역 당국… “해보니까 되네요” 랭크뉴스 2025.04.09
45765 백악관 “트럼프, 무역 협상서 韓日 같은 동맹 우선하라고 지시” 랭크뉴스 2025.04.09
45764 트럼프 “韓 군사보호 대가 논의”…'원스톱' 패키지딜 제안(종합)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