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흉부외과 같은 심혈관질환 전문의의 고령화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수도권과 격차도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에 근무하는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명 중 1명꼴로 60세 이상이었으나, 강원도 내 도시에서는 전원이 60세 이상이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지역보건의료진단 기초연구: 의료자원의 격차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17개 시도 행정구역을 도시·도농복합·농촌 등 시도별 유형에 따라 33개 지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연구팀은 서울을 '서울 도시' 1개 지역, 부산을 '부산 도시'·'부산 농촌'으로 2개, 강원도를 '강원 도시'·'강원 도농'·'강원 농촌' 등 3개로 나누는 식으로 지역을 분류했습니다. 이후 지역별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수와 60세 이상 비중을 파악했습니다.

그 결과 심혈관질환 전문의의 60세 이상 비중은 전국에서 19.1%, 서울에서 16.9%였으나 강원 도시는 100%였습니다. 강원도 내 도시로 분류되는 동해시·태백시·속초시에 있는 심혈관질환 전문의 모두가 60세 이상이라는 의미입니다.

경북 농촌의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0세 이상 비중이 57.2%로 강원 도시 다음이었습니다.

전국 수준보다 60세 이상 비중이 큰 지역은 33개 중 13개로 집계됐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심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국 3.9명이었고, 서울·전남 도시가 각각 6.1명으로 많은 편이었습니다. 반면 경남 농촌이 0.4명, 강원 도시가 0.5명 순으로 낮았습니다.

지역 33곳 중 19곳은 전국 수준보다 적었고, 대구 농촌은 심혈관질환 전문의가 아예 없었습니다.

신경과나 신경외과 등 뇌혈관질환 전문의 상황도 비슷했습니다.

뇌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은 전국 14.8%, 서울 14.1%였지만 강원 도시에서는 64.2%에 달했습니다. 인천 농촌도 60.0% 수준으로 높았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뇌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국 9.4명이었습니다.

대구 도시 14.7명, 전남 도시 13.5명, 서울 12.8명 순으로 많았고 경북 농촌이 0.8명, 강원 농촌이 2.5명 순으로 낮았습니다.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은 강원 도시가 82.1%로 최대였고, 세종 도시가 9.2%로 최소였습니다. 전국 평균은 17.0%, 서울은 15.5%입니다.

인구 10만 명당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남 도시가 19.6명으로 최대였고, 경북 농촌이 2.2명으로 최소입니다. 전국 평균은 13.3명, 서울은 16.95명이었습니다.

연구진은 "도시와 비도시권 지역 유형 간 전문의 수와 연령에서 격차가 두드러졌다"며 "도시보다 농촌 지역일수록 기준 인구당 전문의 수는 부족하고, 60세 이상 고령 전문의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2023년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므로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인한 상황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연구진은 "2024년 기점으로 의료 인력 대란 등 의료시장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며 "전공의 이탈 등으로 가용 시설이 있음에도 인력 부족으로 환자에게 적정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다음부터는 최근 쟁점과 관련한 지표를 반영해 전국 또는 지역별 상황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44 [단독] 서울 '땅 꺼짐' 고위험지역 50곳 더 있다‥우리 동네는 어디? 랭크뉴스 2025.04.08
45743 [속보] 백악관 “트럼프, 한·일 같은 동맹 우선하라고 지시” 랭크뉴스 2025.04.08
45742 [속보]트럼프 “한덕수와 훌륭한 통화···관세·방위비 분담금 얘기 나눠” 랭크뉴스 2025.04.08
45741 [속보] 트럼프 "韓대행과 좋은 통화…관세∙조선∙방위비 논의" 랭크뉴스 2025.04.08
45740 한덕수, 트럼프와 첫 통화… 28분간 관세·방위비 등 압박 랭크뉴스 2025.04.08
45739 한덕수-트럼프 28분간 첫 통화… 트럼프 "훌륭한 통화" 랭크뉴스 2025.04.08
45738 "나 감옥 가면 어떻게 돼?"…'초등생 살해' 명재완, 살인 예고했다 랭크뉴스 2025.04.08
45737 한덕수, 트럼프와 28분간 첫 통화…상호관세 해법 오갔나 랭크뉴스 2025.04.08
45736 [속보] 트럼프 “韓 대통령 대행과 관세·조선·방위비 관련 대화” 랭크뉴스 2025.04.08
45735 조갑제 “국민의힘, 이번 대선서 후보 낼 자격 없어... 이미 ‘구멍 난 배’” [이슈전파사] 랭크뉴스 2025.04.08
45734 한덕수 전례 없는 재판관 지명... "명백한 월권, 헌재 신뢰 떨어뜨려" 랭크뉴스 2025.04.08
45733 [속보] 트럼프 "한국 권한대행과 통화... 조선·LNG·방위비 관련 대화" 랭크뉴스 2025.04.08
45732 이재명 내일 사퇴, 본격 대선모드‥후보들 잇따라 출사표 랭크뉴스 2025.04.08
45731 [속보] 트럼프 "한미, 훌륭한 딜 가능"…방위비 재협상 주목 랭크뉴스 2025.04.08
45730 [속보] 트럼프 "한덕수 대행과 관세·조선·방위비 등 논의" 랭크뉴스 2025.04.08
45729 노무현 향해 “검찰 인사권 넘겨라”…‘검사스럽다’의 원조 이완규 랭크뉴스 2025.04.08
45728 한덕수, 트럼프와 28분 통화… 관세·방위비 등 논의 랭크뉴스 2025.04.08
45727 '여야 합의' 이태원참사특조위도 제자리걸음‥사무처장 임명 계속 미뤄 랭크뉴스 2025.04.08
45726 북한군 10여 명 군사분계선 침범했다 경고 사격에 북상 랭크뉴스 2025.04.08
45725 [속보]트럼프 "韓총리와 통화에서 관세, 조선, 방위비 등 논의"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