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생산량 80% 수출… 관세로 경쟁력 ↓
직원들과 협력사까지 작년 말부터 불안감


“군산공장 폐쇄 때 이쪽으로 발령 온 분들도 많았습니다. (부평에서도 철수하면) 부동산 매물이 나올 텐데, 식당들 타격이 훨씬 클 겁니다.”

“이 골목이 다 한국GM 협력업체이고, 저 큰 차량은 다 GM공장 들어가는 차들이에요. 부평의 절반이 한국GM이라고 봐야 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에 수십%의 관세를 부과한 지난 3일 인천 청천동에 있는 한국GM(제너럴모터스) 부평 공장. 축구장 136개 면적을 합한 것과 비슷한 약 100만㎡(30만평) 크기의 공장 주변에는 많은 직원과 차량이 오갔다. 이곳에서 만난 한국GM 직원들은 미국의 관세 부과 소식에 불안감을 내비쳤다. 인근 지역 주민들도 한국GM이 관세를 못 버티고 공장 문을 닫을까 걱정하는 모습이었다.

미국이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로 부과한 관세는 3일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됐다. 한국GM은 국내 생산량의 80% 이상을 미국으로 수출하는데, 관세가 붙으면 미국 내에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 GM 입장에서는 굳이 한국에서 차를 만들 이유가 약해지는 것이다.

한국GM 부평공장에서 새로 조립된 차량이 트럭에 실려 공장을 빠져나오고 있다. /서일원 기자

공장은 관세 소식과 무관하게 돌아가는 듯 보였다. 정문 안쪽 두 개의 대형 굴뚝과 공장에서는 흰 연기와 수증기가 계속 뿜어져 나왔고, 막 조립된 것으로 보이는 차들은 대형 트럭에 실려 공장 밖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공장 입구에서 경비 업무를 수행하는 최(55)모씨는 “오늘 하루에만 870대의 차량이 공장 밖으로 나갔다. 대부분 수출용이라 여기서 바로 인천항으로 간다”고 말했다. 공장에 들어가던 또 다른 직원은 “올해부터 빨간날(휴일)에는 생산을 멈췄다. 작년에 관세 얘기 나오기 전까지는 365일 돌아가던 곳인데, (관세 얘기가 나오면서) 생산량을 줄인 것이다. 아무래도 불안하다”고 했다.

3일 찾은 인천 청천동의 한국GM 부평공장 전경. /서일원 기자

공장 서문을 나서던 한 직원은 “내부는 생산과 개발 2개로 공장이 나뉘어 있다. 아무래도 생산 쪽이 작년 말부터 예민해지고 있고, 개발 쪽 분위기는 아직은 괜찮아 보인다”고 말했다.

근무복 차림에 안전모자를 쓰고 공장을 나서던 한 협력업체 직원은 한국GM이 철수하면 다른 일자리를 알아봐야 한다고 했다. 그는 “다른 곳으로도 근무를 나가지만 한국GM이 메인이라 (철수하면) 일자리가 사라지는 거다. 우리와 비슷한 전기 공사업체는 5~6곳이지만 다른 건축·설비 업체가 정말 많아 타격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3일 한국GM 부평공장 직원들이 점심 식사를 마치고 회사로 복귀하고 있다./서일원 기자

점심시간이 되자 공장 서문 인근의 식당가로 사람들이 몰렸다. 인근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김(36)모씨는 “점심뿐만 아니라 한 번에 몇십만원씩 매출이 나오는 저녁 회식도 도움이 많이 된다”면서 “만약 (한국GM이) 빠진다면 피해가 아주 크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GM이 나가면 다른 기업이 들어올 것이란 말도 있는데, 군산처럼 될 수도 있고 쇼핑몰이 들어와도 우린 타격”이라고 말했다.

GM은 2002년 대우자동차를 인수하고 2011년 한국GM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후 2018년 군산 공장을 폐쇄하고 한국 정부로부터 8100억원의 지원을 받는 대신 2027년까지 한국GM을 유지하기로 약속했다. 당시 군산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군산 시민의 약 25%가 타격을 받았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GM 부평공장 주변에서 한식집을 운영하는 김(55)모씨는 “점심 손님 대부분이 공장 직원”이라면서 “(한국GM 철수설은) 좋은 일이 아니라 다 말을 아끼고 쉬쉬한다”고 했다. 또 다른 한식집에서 아르바이트하는 김(35)모씨는 “방금까지도 손님 대부분은 GM 분들이었다”고 했다.

청천동에서 공인중개사사무소를 운영하는 엄경선(52)씨는 “군산공장이 폐쇄됐을 때 이곳으로 발령 난 분들이 많아 거래가 늘었었다”며 “오는 고객의 20% 정도밖에 되진 않지만 (한국GM이 떠나면) 이 지역 상권에 타격은 확실히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 청천동의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지도를 통해 본 한국GM 부평공장 부지. 축구장 136개와 맞먹는 크기다./서일원 기자

지방자치단체와 한국GM과 거래하는 기업은 만약에 대비해 현황 파악에 들어갔다. 인천시는 “인천 내 한국GM 1차 벤더사만 47곳에 달한다. 아직 확정된 건 없지만 (이들을) 지원해야 할 수도 있어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 다른 지역에 있는 2, 3차 협력사까지 포함하면 한국GM 협력사는 약 3000곳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GM과 거래하는 인근의 한 금융기관은 “한국GM이 (우리 쪽에) 예치한 자금만 5000억원이 넘는데 다른 곳까지 하면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들은 철수가 현실화되지 않기를 바라는 모습이다. 인근 공기업에서 근무하는 정현일(37)씨는 “한국GM은 부지도 크고 협력업체도 많다. 부평의 50%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 떠나지 않고 잘 돼야 한다”고 말했다. 택시 기사 이(70)모씨는 “직원, 협력사에 가족까지 합치면 딸린 식구들이 수만 명”이라며 “한국GM이 철수하면 부평과 인천뿐 아니라 국가 경제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했다.

3일 찾은 인천 청천동의 한국GM 부평공장 담벼락에 그려진 자동차 그림들. /서일원 기자

유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GM은 8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철수를 거론하면서 정부 지원을 유도했다. 이번에도 관세를 명분으로 철수할 가능성이 꽤 높은 편”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자동차는 전후방 연계가 큰 산업이고 GM의 수출량이 35만대 정도다. (직원들 입장에서는) 일자리를 잃는 것보다 관세와 상계시킬 수 있을 정도의 임금 삭감을 받아들이는 게 합리적이고 유일한 선택지”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55 우의장 "개헌·조기대선 동시투표 제안…권력구조 개편해야" 랭크뉴스 2025.04.06
44554 尹, 지지층에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기록될 것" 랭크뉴스 2025.04.06
44553 尹, 지지층에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기록될 것" 랭크뉴스 2025.04.06
44552 삼성, 산불 피해 추가 지원...10억원 규모 가전제품 기부 랭크뉴스 2025.04.06
44551 극우선동가가 美비선실세? 4성 장군 경질한 트럼프‥"권유 받아"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06
44550 [속보] 우원식 개헌 승부수 던졌다 “대선과 동시에 개헌 국민투표 추진하자" 랭크뉴스 2025.04.06
44549 尹, 지지자들에 "현실 힘들어도 좌절말라…여러분 곁 지키겠다" 랭크뉴스 2025.04.06
44548 [속보] 우원식 "대통령 선거와 개헌 국민투표 동시에 시행하자" 랭크뉴스 2025.04.06
44547 尹, 사흘째 퇴거 안 해‥'관저 정치'하며 침묵 랭크뉴스 2025.04.06
44546 [속보] 우의장 "국회 개헌특위 구성 제안…국민투표법도 개정해야" 랭크뉴스 2025.04.06
44545 [속보] 尹 “대통령직 내려왔지만 늘 여러분 곁 지킬 것” 랭크뉴스 2025.04.06
44544 우원식 “차기 대선일에 ‘개헌 국민 투표’ 동시에 시행하자” 랭크뉴스 2025.04.06
44543 머스크, 트럼프와 조기 결별?… "유럽과 자유무역" 노골적 反관세 랭크뉴스 2025.04.06
44542 [속보] 우원식 “대선일에 개헌 국민 투표 동시에 시행하자” 랭크뉴스 2025.04.06
44541 [크랩] 용산 vs 청와대 vs 세종…다음 대통령실은 어디로 가야할까? 랭크뉴스 2025.04.06
44540 감독으로 돌아온 하정우, '개저씨'로 만든 블랙코미디, 뒷맛은 '씁쓸' 랭크뉴스 2025.04.06
44539 윤석열 파면, 일본에도 영향…‘긴급사태’ 개헌안 비판 거세져 랭크뉴스 2025.04.06
44538 산불 때 할머니 업고 뛴 인니 선원에 특별기여자 체류 자격 부여 랭크뉴스 2025.04.06
44537 [속보] 尹, 지지층에 "자유·주권 위해 싸운 여정…늘 여러분 곁 지킬것" 랭크뉴스 2025.04.06
44536 공매도 재개로 외국인 돌아올 줄 알았는데… 결과는 5.8조 순매도 랭크뉴스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