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1기서 면제 전례 있는 애플…현실화시 삼성 스마트폰 큰 타격
관세폭탄 실현시 삼성 브라질·한국 등 공장 대미 수출기지 활용할 듯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미국 트럼프 정부가 발표한 전례 없는 상호관세 부과에 애플과 삼성전자를 양대 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제조업계도 직격탄을 맞으면서 대처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6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생산업계는 트럼프의 상호관세 '폭탄'이 현실화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도 미국 정부가 막대한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지렛대로 삼은 뒤 '엄포'에 그칠 가능성에도 무게를 싣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특히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중국·동남아 지역에서 생산하는 생필품의 가격이 급상승했을 때 미국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그럼에도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국내 정보통신업계에서 대두되는 시나리오는 자국 보호주의를 빌미로 트럼프 정부가 애플에만 관세 면제 혜택을 줄 가능성이다.

로이터통신은 분석가들을 인용해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현실화했을 때 최악의 경우 아이폰 가격이 현재보다 30∼40%까지 오르며 아이폰 최상위 모델 가격이 333만원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고가품이지만 없으면 생활이 어려운 필수품이 돼버린 스마트폰 가격이 급등하면 미국 소비자 불만이 폭등할 수 있는 데다 애플이 거액의 투자를 약속하며 트럼프 정부에 구애해온 만큼 관세 예외 품목에 포함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폭넓은 관세를 부과하면서 애플의 일부 제품에 대해 면제나 유예 조치한 전례도 있다.

삼성전자는 최대 경쟁사인 애플이 상호관세 수렁에서 벗어나게 되면 스마트폰 판매 부진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 정부 아래서는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우려했다.

삼성전자가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은 그간 기반을 마련해온 생산기지 다변화 정책을 십분 활용하는 것이라는 게 전문가와 업계 진단이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은 베트남에서 절반가량이 생산되고 인도 30%가량, 브라질, 한국 구미 공장, 인도네시아 등에서 나머지 물량을 소화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베트남 상호관세율이 46%로 낮지 않은 상황에서 관세가 각각 26%, 10%, 25%로 상대적으로 낮은 인도, 브라질, 한국 등을 대미 생산기지로 대체 활용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특히 관세가 가장 낮은 편이고 미국과 지리적으로도 멀지 않은 브라질 공장을 활용하는 방식이 꼽힌다.

인도 공장은 중국에 이어 세계 스마트폰 거대 시장으로 떠오른 내수용 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만큼 인도가 삼성전자 모바일경험 사업부의 미국 수출용 생산기지로 대체될 확률은 낮다는 관측이다.

오히려 베트남 생산 물량을 한국 소비용으로 활용하고 한국 제조 물량을 미국 수출용으로 돌리는 방안이 현실적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미국의 상호관세를 20%포인트 낮출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르면 7월 말 공개되는 새 폴더블 스마트폰에 적용될 관세 대응책에 대해 "아직은 구체적으로 정해진 사안이 없다"고 밝혔다.

MWC25 전시관 인근에 설치된 삼성전자 외부광고
(서울=연합뉴스) 삼성전자가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하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obile World Congress 2025, MWC25)'에서 '갤럭시 AI' 생태계를 통한 새로운 모바일 경험과 AI 기반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MWC25 전시관 인근에 설치된 삼성전자 외부광고. 2025.3.2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22 상호관세에 금융시장 요동… 최상목 "당분간 변동성 지속, 모니터링 강화" 랭크뉴스 2025.04.08
45421 [속보] 김문수, 오늘 고용부 장관직 사퇴…대선 출마키로 랭크뉴스 2025.04.08
45420 2월 경상수지 71.8억달러 흑자…22개월 연속 흑자 랭크뉴스 2025.04.08
45419 헌재, 18일 문형배·이미선 퇴임…6인 체제 ‘기능 마비’ 우려 랭크뉴스 2025.04.08
45418 '보수잠룡 선두' 김문수 대선 출마 위해 오늘 장관직 사퇴 랭크뉴스 2025.04.08
45417 [속보] 최상목 “10조 추경 다음주 발표”…통상위기에 3조~4조원 랭크뉴스 2025.04.08
45416 경기장 지붕에 걸린 공수부대원…만원 관중 앞 구조 작업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08
45415 김문수, 오늘 장관 사퇴 후 대선 출마···측근 “그럴 가능성 높다” 랭크뉴스 2025.04.08
45414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시장 전망치 상회...6조6000억원 랭크뉴스 2025.04.08
45413 이정현 "국민 직접 개헌안 발의해 7공화국 출범" 대권 도전 랭크뉴스 2025.04.08
45412 김문수도 6월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랭크뉴스 2025.04.08
45411 희망이라더니, 이젠 매국노?…보수 재판관도 파묘하는 '극우' 랭크뉴스 2025.04.08
45410 [속보] 최상목 "다음주 10조 '필수 추경' 편성 세부안 발표" 랭크뉴스 2025.04.08
45409 부동산·가업승계 넘어 스타트업·코인 투자까지 컨설팅[한국 PB 30년] 랭크뉴스 2025.04.08
45408 美 관세 그대로지만, 코스피·코스닥지수 하루 만에 반등 성공 랭크뉴스 2025.04.08
45407 [속보] 권성동 “10조원 규모 추경 계획 재검토해야… 민주당 협조하라” 랭크뉴스 2025.04.08
45406 "개헌으로 헌재 가루가 될 것"... 전한길, 또 헌재 비난 랭크뉴스 2025.04.08
45405 머스크 동생 "트럼프 관세는 영구적 세금" 비판… 형 의중 반영? 랭크뉴스 2025.04.08
45404 삼성전자, 예상보다 선방한 1분기…2분기엔 트럼프발 관세가 ‘찬물’ 랭크뉴스 2025.04.08
45403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6조6천억원…“갤럭시 효과”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