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반도체·의약품 추가 관세 발표 경계감 커져
조기대선 국면에 재정확대 등 부양정책 기대감

한국 증시가 공매도 전면 재개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크게 출렁인 한 주였다. 지난주(3월 31일~4월 4일) 코스피 지수는 2557.98포인트(p)로 시작해 2465.42p로 3.62%, 코스닥 지수는 693.76p에서 687.39p로 0.92% 하락했다. 이 기간 외국인은 6조5000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한국 증시를 떠났다.

헌법재판소가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인용하며 정치적 불확실성은 어느 정도 해소됐다. 조기 대선 국면으로 전환된 만큼 당분간은 차기 대선 후보들의 정책 관련주가 등락을 반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전원일치 인용 의견으로 파면 결정을 내린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 게양돼 있던 '봉황기'(사진 왼쪽, 지난 3월 모습)가 내려가 있다. 봉황기는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상시 게양되는 국가수반의 상징으로, 1967년 1월 박정희 대통령 시절부터 사용됐다. /뉴스1

증권가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리스크 여파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달 5일(현지시각)부터 모든 국가에 10%의 보편관세가, 9일부터는 국가별 상호관세가 부과된다. 한국에는 25%의 상호관세율이 적용된다. 조만간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도 추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국내 증시는 지난해 말부터 트럼프 리스크를 선반영했고, 탄핵 정국 여파로 주가가 미리 빠졌던 만큼 급격한 추가 하락은 나타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가 부과된 점에 주목하며 베트남에 생산 거점을 둔 스마트폰 부품 기업 실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관련 종목으로는 삼성전기, LG이노텍, LG전자 등이 있다.

탄핵 정국이 마무리된 만큼 국내 증시는 단기적으로 반등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재정 확대, 금리 인하 등 증시 부양 정책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다. 양해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탄핵 결정이 끝난 후 증시는 단기 반등을 보여왔다”며 “이후 경로는 1분기 실적, 미국의 금리 인하 여부 등에 따라 확실한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주(4월 7~11일) 예상 코스피 밴드를 2360~2600p로 제시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오는 5월 말에서 6월 초 조기 대선이 예상되는데,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원화 강세 흐름이 나온다면 외국인 수급도 개선이 가능하다”며 “이때 코스피는 반등에 탄력을 받으며 상대적인 강세를 보일 수 있다”고 했다.

대신증권은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국가 전략 산업으로 추진 가능한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친환경에너지, 탄소중립 기술 종목에 대한 기대감이 커질 것으로 관측했다. 진보정당 중심으로는 신재생에너지와 미디어·엔터 등 문화콘텐츠 산업이, 보수정당으로는 원자력에너지, 우주산업, 금융업 등이 상대적으로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주식 시장이 급락한 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나스닥 종합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뉴스1

한국 시각으로 오는 10일과 11일 발표되는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생산자물가지수(PPI)와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 연설 등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직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진 않았지만, 기업들이 관세를 예상하고 선제적으로 가격을 올리거나, 일부 관세가 부과된 품목의 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이달 11일에는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연방은행 총재와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잇달아 연설한다. 굴스비 총재는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로 분류되는 인물로, 올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투표권을 갖고 있다. 무살렘 총재는 직전 연설에서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일시적으로 보면서도 간과해선 안 된다고 했다. 이번에 발표된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해 두 총재가 경계감을 내비치며 금리 인하 폭에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증권가에선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유통·편의점 등 내수주와 엔터 등 관세 회피주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로 인한 전반적인 수요 감소를 고려하면 내수주와 관세 회피주가 대안이고, 관세 발표 이후 국가별로 협상 절차에 진입하면 오히려 반도체·자동차 등 관세 피해주가 유리할 수 있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47 윤 '내란 혐의' 첫 공판‥이 시각 중앙지법 랭크뉴스 2025.04.14
43546 봄이야? 겨울이야?…무주 덕유산 12㎝ 눈 내려 랭크뉴스 2025.04.14
43545 진열된 빵에 혀를… 서울 유명 빵집 위생 논란 랭크뉴스 2025.04.14
43544 이광재, 경선 불출마‥"압도적 승리 위해 모든 것 바칠 것" 랭크뉴스 2025.04.14
43543 “승무원도 몰라”…도착지 모르는 ‘미스터리 항공권’ 완판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14
43542 [속보]이재명 "AI투자 100조 시대 열겠다"…AI단과대·병역특례 공약 랭크뉴스 2025.04.14
43541 이재명 48.8%…김문수 10.9%, 한덕수 8.6%, 한동훈 6.2%[리얼미터](종합) 랭크뉴스 2025.04.14
43540 "이게 차기 대통령 후보 최강 라인업"...최악 딥페이크 판친다 랭크뉴스 2025.04.14
43539 굿바이 이복현?…‘직’ 건다더니 광폭 행보 랭크뉴스 2025.04.14
43538 [Why] 美 관세 폭탄에도 “두렵지 않다”…시진핑이 ‘강경 리더십’ 굽히지 않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14
43537 [단독] "600만원이면 돌풍 후보로" 선거 여론조사 뒤 '검은 커넥션' 랭크뉴스 2025.04.14
43536 출마 안한 한덕수 8.6%…이재명 48.8% 독주 랭크뉴스 2025.04.14
43535 이제 맥주 양조사 아냐... 리튬사업한다며 코스닥 상장사 관리종목 만든 세력, 제주맥주 입성 랭크뉴스 2025.04.14
43534 [속보] 달러 약세 여파… 원·달러 환율, 21.9원 급락한 1428원 개장 랭크뉴스 2025.04.14
43533 이재명 48.8%·김문수 10.9%·한덕수 8.6%…韓등장에 요동 랭크뉴스 2025.04.14
43532 요즘 강남 부동산에선 집 말고 ‘이것’ 팝니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4.14
43531 이재명 54.2% 대 한덕수 27.6%…대선 가상 양자대결[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4.14
43530 尹 형사재판 D-day…혐의 인정할까 랭크뉴스 2025.04.14
43529 지귀연 재판부 윤석열 봐주기…이명박·박근혜도 섰던 법정 촬영 불허 랭크뉴스 2025.04.14
43528 자신감 붙은 美 마이크론, HBM 장비 대거 반입… “물량 경쟁 신호탄”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