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롯데자이언츠, 지난해 관중 38% 증가... 매출 30%↑·영업익 21배↑
SSG랜더스, 관중 7% 증가... 매출 4%↑·영업익 55%↓

‘유통 맞수’인 롯데와 신세계 야구단이 지난해 엇갈린 경영 성적표를 받았다. 경기 순위는 신세계가 앞섰지만, 실적 개선세는 롯데가 두드러졌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롯데자이언츠는 지난해 매출이 722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억6000만원에서 118억원으로 뛰었다. 1975년 창단한 롯데자이언츠는 롯데지주가 지분 98%를, 롯데알미늄이 2%를 갖고 있다. 지난해 순위는 7위다.

그래픽=정서희

SSG랜더스를 운영하는 신세계 야구단의 지난해 매출은 610억원으로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5% 줄어든 20억원을 기록했다. SSG랜더스는 지분 100%를 이마트가 갖고 있다. 2021년 1월 SK텔레콤이 보유 중이던 SK와이번스의 지분 100%를 이마트가 1353억원에 인수하면서 간판이 바뀌었다. 지난해 순위는 6위다.

두 구단의 실적을 가른 건 관중 수 증가에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에 따르면 지난해 프로야구 10개 구단 관중은 약 1089만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하며 사상 첫 1000만명을 돌파했다. 같은 기간 롯데자이언츠 관중 수는 약 123만명으로 38% 늘었고, SSG랜더스 관중 수는 약 114만명으로 7% 증가했다.

관중 수 증가에 비례해 실적도 뛰었다. 롯데자이언츠는 지난해 입장 매출이 32%, 광고 매출이 20%, 상품 매출이 80% 늘었다. 선수단 운영비는 예년과 큰 차이가 없었기에 이는 고스란히 이익으로 전환됐다. 롯데자이언츠 관계자는 “관중수가 늘면서 입장, 상품, 식음료(F&B) 매장 매출이 모두 증가해 전체 매출을 견인했다”라고 말했다.

반면, 2023년 이미 100만 관중을 동원한 SSG랜더스의 관중 수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미미했고, 매출도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3월 23일 서울 송파구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20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롯데 자이언츠와 LG 트윈스의 경기. 이날 입장권 2만3천750장은 전날 개막전에 이어 두 경기 연속 매진됐다. /뉴스1

흔히 프로야구단은 ‘돈 안 되는 사업’으로 치부된다. 구단별로 연간 600억~800억원대 매출을 거두지만, 대부분이 모기업의 지원금으로 운영되고 적자를 보는 경우도 허다하다. 지난해 기아타이거즈, KT위즈, 한화이글스 등이 적자를 냈다.

그러나 프로야구가 흥행하면서 모기업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다. 롯데자이언츠는 지난해 롯데지주(43억원), 롯데칠성음료(32억원), 롯데쇼핑(32억원) 등 계열사로부터 약 291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전체 매출의 40% 수준이다. 롯데자이언츠의 계열사 매출 비중은 2021년 58%에서 2022년 53%, 2023년 46%로 줄어드는 추세다.

SSG랜더스가 지난해 신세계 계열사로부터 벌어들인 매출은 216억원으로 전체의 35%를 차지했다. 2021년 이후 계열사 매출 비중이 42%였던 걸 고려하면 역시 계열사 의존도가 축소됐다.

업계에선 야구 인기가 커지면서 모기업 의존도가 줄었다는 분석과 함께, 유통 계열사의 매출 부진으로 인해 기여도가 낮아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SSG랜더스의 경우 지난해 계열사에서 발생한 매출액이 전년(261억원)보다 30억원가량 줄었다.

신세계그룹은 매년 프로야구 개막 시즌인 4월 '랜더스 데이'라는 명칭으로 상반기 최대 규모 할인행사를 펼친다.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스타필드 등 전 유통 계열사가 참여한다. 사진은 '2023 랜드스 데이' 기간 이마트 전경. /신세계그룹 제공

한 야구단 관계자는 “프로야구단 대부분이 모기업의 지원금 수익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이익이 개선됐다고 해도 계열사 지원금을 빼면 적자”라고 했다. 이어 “점진적으로 의존도를 낮추고 있기는 하지만, 신규 투자 등이 계속 진행되고 있어 완전히 자생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구조”라고 덧붙였다.

SSG랜더스의 외부감사를 맡은 삼일회계법인은 지난해까지 2년 연속 계속기업 관련 불확실성을 지적했다. 삼일회계법인은 작년 SSG랜더스 감사보고서에서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151억원 초과해 계속기업으로서 그 존속 능력에 의문을 제기한다”라고 기술했다. 재무 상황이 불안정한 건 이곳만이 아니다. 기아타이거즈, 삼성라이온즈, 한화이글스는 자본 총계가 마이너스(-)인 완전 자본 잠식 상태다.

그럼에도 기업들은 향후 관련 투자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야구단만 보면 실적이 미미하지만,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흥행이 이어지는 만큼 그룹의 사업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거란 판단에서다. 롯데그룹은 2344억원을 투입해 부산 사직 구장을 재건축해 2029년 재개장할 예정이다. 신세계 그룹은 약 2조원을 들여 인천 청라에 돔구장과 쇼핑몰, 숙박시설 등을 결합한 스타필드 청라를 2027년 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55 [2보] '성남도개공 조례 청탁 혐의' 김만배 1심 실형→2심 무죄 랭크뉴스 2025.04.08
45554 ‘강남 학원가 마약 음료’ 사건 주범, 23년형 확정 랭크뉴스 2025.04.08
45553 “더 독해진 미중 무역전쟁”...시진핑, 트럼프에 대반격 예고 랭크뉴스 2025.04.08
45552 이재명, 한덕수에 “자기가 대통령 된 걸로 착각” 랭크뉴스 2025.04.08
45551 “베트남에 46%? 빌어먹을 계산법”…美 억만장자들, 트럼프 관세 정책 맹비난 랭크뉴스 2025.04.08
45550 ‘한국 1위’ 김병주 MBK 회장, 세계 부호 순위 한달새 27계단 오른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8
45549 “반려견 죽였다”···경찰관 앞에서 아버지 흉기로 살해하려 한 딸 랭크뉴스 2025.04.08
45548 공수처, 해병대 수사 재개 검토‥"尹도 피의자" 랭크뉴스 2025.04.08
45547 [속보]‘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혐의 김만배 항소심서 무죄 선고 랭크뉴스 2025.04.08
45546 이재명 "한덕수, 대통령이 된 줄 아나"... 尹 측근 이완규 재판관 지명에 반발 랭크뉴스 2025.04.08
45545 우원식,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에 “인사청문회 요청 안 받겠다” 랭크뉴스 2025.04.08
45544 [단독] 메리츠, 홈플러스 대출금리 8% 아닌 14%... 얼마나 깎을지가 회생 최대 난관 랭크뉴스 2025.04.08
45543 4번째 대권 도전 안철수…손가락에 적은 여섯 글자 무슨 뜻? 랭크뉴스 2025.04.08
45542 대통령 대행 초유의 헌법재판관 지명…국회는 못 막는다? 랭크뉴스 2025.04.08
45541 박찬대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무효…권한쟁의·가처분 등 법률적 대응” 랭크뉴스 2025.04.08
45540 [속보] ‘성남도개공 조례 통과 청탁’ 김만배 2심서 무죄 랭크뉴스 2025.04.08
45539 [1보] '성남도개공 조례 청탁 혐의' 김만배 항소심서 무죄 랭크뉴스 2025.04.08
45538 이준석, 단일화 질문에 "국힘서 모욕적으로 내쫓았는데…" 랭크뉴스 2025.04.08
45537 헌법재판관 지명 ‘월권’ 파문…한덕수 선출한 국민 아무도 없다 랭크뉴스 2025.04.08
45536 민주당,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에 “권한쟁의심판·가처분 신청 검토”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