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WSJ "적은 마진 탓 가격인상 불가피…베트남 대신 인도 등으로 공장 옮길 듯


인도 칸들라항의 컨테이너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소비자들이 가격 인상과 상품 선택지 감소에 대비해야 하게 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 유통업체에 제품을 납품하는 기업 관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그대로 유지될 경우 비용 인상분을 소비자에게 그대로 전가할 수밖에 없다고 현실을 설명했다.

수십 년에 걸쳐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한 가운데 납품업체들이 최소한의 중간이윤만을 유지한 채 제품을 공급해왔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높은 인건비 탓에 노동집약적 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생산지를 바꾸는 것도 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 단기간에 이뤄질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중국 상하이 주재 미국 상공회의소의 에릭 정 회장은 기업들이 미국에 대한 판매를 줄이거나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할 수 있다며 "관세로 인해 소비자의 선택지는 줄고 가격은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호주의 보호장갑 제조업체 안셀은 관세 인상을 반영해 4일 미국 내 제품가격을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안셀 측은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할 계획을 가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수 납품업체는 즉각적인 가격 인상으로 대응하는 대신 개별 협상 과정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인하 또는 철회할 가능성에 기대를 걸며 관망세를 취하는 분위기다.

이 같은 관세 인하 기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의 통화 사실을 밝히면서 더욱 커진 상황이라고 WSJ은 진단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베트남에 46%의 초고율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라고 말했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전했다.

한편 상호관세율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멕시코, 브라질, 인도 등 상대적으로 낮은 세율이 책정된 국가들이 승자로 부상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등 고율 관세가 책정된 아시아 지역의 생산기지가 이들 국가로 이전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미 가구협회에 따르면 중국과 베트남은 미국이 수입하는 가구의 절반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도 중국, 베트남, 태국이 전 세계 공급량의 대부분을 제조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기대와 달리 업체들은 노동집약적 제품의 생산공장이 미국으로 이전될 것이란 기대가 비현실적이라고 여긴다고 WSJ은 전했다. 미국에 숙련 노동자와 공급망 체계가 부족한 데다 인건비 부담이 크기 때문이란 것이다.

전미제조업협회는 미국 제조업 노동자의 2023년 평균 급여는 복지 혜택을 포함해 10만3천 달러(1억5천만원)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이는 중국의 평균임금보다 4배 높은 수준이라고 WSJ은 전했다.

전미 의류·신발협회의 스티브 라마르 회장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생산기지가 대규모로 미국으로 돌아오는 게 선택지가 아닌 것은 분명하다"라고 말했다.

미국의 싱크탱크 글로벌개발센터(CGD)의 찰스 케니 연구원은 "중국의 공장들은 이미 베트남으로 이전했고, 다음 장소는 관세가 상대적으로 낮은 인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11 韓 대행 “美 관세,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마지막 소명 다할 것” 랭크뉴스 2025.04.14
43610 답 피한 나경원…“의회주의자라면서 계엄군 국회 진입 때 뭐 했나” 랭크뉴스 2025.04.14
43609 "시진핑, 美 아킬레스건 발견"‥희토류도 '수출 중단' 랭크뉴스 2025.04.14
43608 "주소는?" "서초4동 아크로‥" 지귀연 질문에 '고개 끄덕' 랭크뉴스 2025.04.14
43607 헌재 "주택건설사업때 전체 신규가구 기준 학교용지부담금 합헌" 랭크뉴스 2025.04.14
43606 "뽑기 3회까지 당첨확률 0" 공정위 그랜드체이스클래식에 과징금 랭크뉴스 2025.04.14
43605 [속보] 한덕수 불출마?…“대미 관세 협상이 제게 부여된 마지막 소명” 랭크뉴스 2025.04.14
43604 "물 마시러 가다가 갑자기 폭삭"…'구사일생' 굴착기 기사 생존담 랭크뉴스 2025.04.14
43603 경찰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저지 혐의' 피의자 조사 필요" 랭크뉴스 2025.04.14
43602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500만원 캣타워·2천만원 ‘히노키 욕조’ 랭크뉴스 2025.04.14
43601 尹 첫 법원 출석에 서초동 ‘한도 초과’ 소음… “윤 어게인” vs “재구속” 랭크뉴스 2025.04.14
43600 공수처 인사위원, 한덕수 직무유기 고소···“검사 임명 안 해 존립 흔들어” 랭크뉴스 2025.04.14
43599 부산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서 또 ‘땅꺼짐’…1개 차로 통제 랭크뉴스 2025.04.14
43598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다음 주 중 발표‥아이폰 관세 곧 발표" 랭크뉴스 2025.04.14
43597 尹 첫재판 직접발언 "몇시간 사건을 내란으로"…검찰 "국헌문란" 랭크뉴스 2025.04.14
43596 [속보] 트럼프 “반도체 새 관세 다음주 발표, 머지않은 미래 시행” 랭크뉴스 2025.04.14
43595 [속보] 尹 "내란몰이로 겁먹은 사람들의 진술일 뿐"... 첫 재판서 내란 혐의 전면 부인 랭크뉴스 2025.04.14
43594 “트럼프 암살·정부 전복” 美 고교생이 부모 살해한 이유 랭크뉴스 2025.04.14
43593 [속보] 尹 “6시간 만에 해제한 비폭력 사건... 내란 아냐” 랭크뉴스 2025.04.14
43592 [속보] 트럼프 “반도체 새 관세 다음주 발표”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