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골든타임을 지켜라 우리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질병일지라도 ‘골든타임’은 있습니다. 미리 관리하고, 전조증상을 놓치지 않는다면 예방할 수 있는데요. 오늘 ‘추천! 더중플’에선 봄철에 더 위험한 심근경색을 비롯해 통풍, 척추 질환, 지방간 등의 골든타임을 전문가들과 알아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10명 중 3명이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사망한다는 급성심근경색은 어느 계절에 가장 많이 발생할까요? 추운 날씨에 병원 찾는 환자가 늘어나는 겨울(12~2월)일까요? 정답은 의외로 봄(3~5월)입니다. 아침점심으로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에, 감기나 비염 같은 잔병뿐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는 큰 병도 걸리기 쉬운데요. 돌연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심근경색의 경우, 가슴 통증이 나타나지만 때론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전임의 출신 박민수(서울ND의원) 원장은 환절기 건강을 지키는 핵심은 ‘면역력’이라고 강조합니다. “평소 면역력을 관리하지 않으면 환절기에 뇌졸중, 심근경색 같은 ‘혈관 사고’가 일어나기 쉽다”고 설명하는데요. 일교차가 거의 없을 때는 자율신경계가 날씨에 빠르게 적응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적습니다. 그런데 환절기에는 일교차가 커지면서 자율신경계가 체온 조절 등에 많은 에너지를 쓰게 됩니다. 그러면 본연의 소화 기능이나 혈액 순환에 무리가 가게 되고,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질병에 취약해지는 것이죠.

박 원장은 “면역력은 우리의 몸을 지키는 하나의 군대와 비슷하다”며 “부강한 나라가 강한 군대를 조직하는 것처럼, 건강한 사람일수록 면역력이 더 균형을 이룬다”고 설명합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감기에 쉽게 걸리고, 복통도 쉽게 앓게 됩니다. 장염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도 취약해지고요. 특히 나이 들수록 면역력이 떨어지는데, 예전에는 몸속에 있어도 건강을 위협하지 못했던 병원체나 바이러스가 신체를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강력한 통증을 유발하는 대상포진이 있습니다.
더중앙플러스 '뉴스페어링'에 출연한 박민수 서울ND의원 원장.

그렇다면 면역력을 키우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박 원장은 면역력을 끌어 올리는 ‘거꾸로 식사법’을 제안했는데요. 그것은 뭘까요? 박 원장이 면역력을 지키기 위해 1시간에 한 번은 꼭 한다는 생활운동 4종 세트도 직접 배워봤습니다. 박 원장과의 인터뷰 전문에선 다음 질문에 대한 해답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면역력은 타고나는 것 아닌가?
-면역력은 강할수록 좋을까?
-영양제를 먹으면 면역력이 좋아질까?
-하루에 먹는 영양제의 적정량은?
-면역력에 가장 좋은 음식 한 가지는?
-면역력에 최악인 음식은?
-배달음식은 무조건 안 좋을까?
-면역력에 좋은 수면습관은?
-우울증도 면역력과 관련이 있을까?

▶심근경색, 봄이 가장 무섭다…면역력 높일 ‘쎈’ 습관 4가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927

'뉴스 페어링' 시리즈 - 골든타임 기획 ①술도 안 먹는데 간암이라고? 옆구리서 놓친 ‘무서운 징조’
‘침묵의 장기’인 간을 서서히 망가뜨리는 지방간에 대해 알아봅니다. 전조 증상이 없는 지방간, 큰 병으로 이어지는 걸 막기 위한 골든타임은 언제일까요. 김범경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를 만났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2680

②휠체어 탈 몸이 도봉산 오른다, 78세 노인이 매일 하는 운동
우리 몸의 중추인 척추,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몸 전체가 무너질 수 있는데요. 이경석 신경외과 전문의는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노년에도 젊은 시절의 꼿꼿한 척추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방법은 무엇일까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9237

③“등푸른 생선? 통풍엔 최악” 악마 통증 부르는 뜻밖 음식.
우리나라 통풍 환자 수가 10년 새 1.7배 넘게 늘었습니다. ‘악마의 통증’으로 알려진 통풍은, 오랫동안 방치하면 뼈가 녹아내리는 건 물론 생명과 직결되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풍 치료의 골든타임은 언제일까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033

④“다 나았다” 항생제 한알 남겼다…年 수백만 죽이는 위험한 착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4402

⑤“난 머리만 대면 잠들어” 치매 부르는 엄청난 착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4454

⑥소금 양치가 건강에 좋다고? 치아 다 빠진 조선이 그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0861

⑦머리 감을 때 몇초 헹궈요? 탈모 부르는 사소한 습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8839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97 트럼프에 화답한 EU “대미 보복관세 90일간 보류” 랭크뉴스 2025.04.10
46696 "지금은 이재명" 넘어야 할 3대 허들…비호감·사법리스크·보수단일화 랭크뉴스 2025.04.10
46695 제주로 향하던 진에어 여객기서 동체 하단 패널 떨어져 랭크뉴스 2025.04.10
46694 박성재 법무장관 복귀‥헌재 "계엄 가담 증거 찾을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4.10
46693 우크라에 붙잡힌 중국인 포로 "508만원 내고 러군 입대" 왜 랭크뉴스 2025.04.10
46692 국힘, 경선 흥행 성공이 살 길…1차선 민심 100%로 4명 뽑는다 랭크뉴스 2025.04.10
46691 "김성훈에게 미래 맡길 수 없다"‥경호처 내부 '연판장'까지 랭크뉴스 2025.04.10
46690 예상 못한 ‘국채 투매’에 놀란 트럼프, 한발 물러섰다 랭크뉴스 2025.04.10
46689 "종말이 온다" 퇴근후 총연습하며 극한상황 대비하는 미국인들 랭크뉴스 2025.04.10
46688 '어대명' 그늘? 민주당 경선 룰 '초고속'... 김두관 측 "일방통행" 반발도 랭크뉴스 2025.04.10
46687 고3이 수업중 휴대폰게임 지적에 교사 폭행…분리조치·조사돌입(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0
46686 선관위 찾아가며 "적진에 침투"‥김민전이 데려간 부정선거론자들 랭크뉴스 2025.04.10
46685 "한덕수 출마 연판장" 거세진 대망론‥"내란대행 용기 없을 것" 랭크뉴스 2025.04.10
46684 출마 김문수 “친북·반미 세력에 맞서야”...선대본부장엔 김재원 랭크뉴스 2025.04.10
46683 만취 승객만 태운 택시기사…'가짜 토' 뿌리고 1.5억 뜯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682 [단독] "尹 지하로 가게 해달라"‥법원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10
46681 전한길 불러 '파이팅'‥'윤심' 정치 노골화 랭크뉴스 2025.04.10
46680 올해 칸영화제 초청작에 韓영화 ‘0′…12년만의 굴욕 랭크뉴스 2025.04.10
46679 “판사가 개소리 징징” ‘서부지법 난동’ 변호인들, 유튜브서 ‘막말’ 랭크뉴스 2025.04.10
46678 125% 대 84% 관세전쟁···중국 “할리우드 영화 수입 줄인다”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