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일 밤부터 홈페이지 중단
SNS엔 '제 20대 대통령'으로 소개
대통령실 홈페이지. 캡처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파면 선고 이틀째인 5일에도 용산 대통령실과 한남동 관저는 적막했다. 대통령실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공개 입장이나 행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주말인 탓에 대통령실에는 최소 인원만 출근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선고 직후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기가 곧바로 내려진 데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행보와 비전, 국정과제, 의혹 해명 등이 담긴 대통령실 홈페이지의 운영이 중단되는 등 곳곳에서 흔적이 사라지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다. 이날 정오쯤 대통령실 홈페이지(www.president.go.kr)를 보면 하얀 바탕 배경화면에 ‘대통령실 홈페이지 점검 안내’ ‘현재 대통령실 홈페이지 서비스 점검 중입니다.’라는 안내문이 보인다. 파면 선고가 있었던 전날 밤부터 홈페이지 점검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홈페이지는 윤 전 대통령 소개뿐 아니라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정과제’, ‘카드뉴스’, ‘국정비전’ 등의 항목으로 구성돼 있었다. 특히 대통령실은 ‘사실은 이렇습니다’ 코너를 창구 삼아 제기되는 의혹과 논란들을 반박하곤 했다.

코너 운영 초반엔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을 반박하는 내용들로 주로 구성돼 또 다른 논란을 사기도 했다.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875원 대파’ 발언이 논란이 되자 “농축산물은 가격 외부요인에 따른 변동이 크고 지난 정부 때 최고 가격을 기록했다”고 설명한 게 오히려 더욱 논란이 됐다. 윤 전 대통령의 실제 발언과 당시 맥락을 적절히 전달해 오해를 잠재웠어야 했지만, 잘못 전달된 진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보단 ‘전 정부 탓’으로만 돌리는 모습이 오히려 비판만 키웠다.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 됐을 때도 당시 청와대는 파면 사흘째 되는 날부터 홈페이지를 중단, 점검에 들어갔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의 유튜브·페이스북·X 등 소셜미디어(SNS) 계정은 살아 있다. 전날까지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로 표기됐던 문구는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이라는 문구로 수정된 상태다.

한남동 관저에 머물고 있는 윤 전 대통령 부부 거처 이전 움직임도 아직이다. 6일쯤 관저를 떠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날까지 대통령경호처에 퇴거 관련 계획이 통보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97 3월 취업자 19만3천명↑…'고용한파' 제조업·건설 일자리 급감(종합) 랭크뉴스 2025.04.09
45896 [단독] 최재해·유병호 말싸움…윤석열 탄핵에 각자도생? 랭크뉴스 2025.04.09
45895 청년 절반 이상 "자녀 경제적 독립 전까지 부모가 책임져야" 랭크뉴스 2025.04.09
45894 3월 취업자 19.3만명 증가… 보건복지·공공행정이 이끌어 랭크뉴스 2025.04.09
45893 한덕수 월권 헌법재판관 임명에 민주 “내란 연장” 국힘 “대선 후보 추대 ” 랭크뉴스 2025.04.09
45892 "나 감옥 가면 어떻게 돼?"... 초등생 살인교사 명재완, 범행 전조 있었다 랭크뉴스 2025.04.09
45891 트럼프, 한국 등과 ‘맞춤형’ 관세 협상 지시…중국엔 104% 강행 의지 랭크뉴스 2025.04.09
45890 백악관 "트럼프, 무역 협상서 韓日 같은 동맹국 우선하라고 지시" 랭크뉴스 2025.04.09
45889 [2보] 3월 취업자 19만3천명 증가…건설·제조업은 급감 랭크뉴스 2025.04.09
45888 [단독] “창원산단, 윤석열 정부 히든카드” 명태균, 김건희에 보고 랭크뉴스 2025.04.09
45887 [단독] 최재해·유병호 직원들 앞서 말싸움…윤석열 탄핵에 각자도생? 랭크뉴스 2025.04.09
45886 “신세 많이 졌습니다”···윤석열 파면으로 ‘기쁨의 영업종료’ 향린교회 랭크뉴스 2025.04.09
45885 韓 25%· 中 104%…美, 오후 1시 관세 방아쇠 당긴다[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9
45884 윤석열 전 대통령, 퇴거 안 하는 이유는?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09
45883 김여정, 한미일 北비핵화 성명에 반발…"핵역량에 명분될 뿐" 랭크뉴스 2025.04.09
45882 [속보]3월 취업자 수 19만명 넘었는데…건설업은 "역대 최대 감소" 랭크뉴스 2025.04.09
45881 관세 직격탄 맞은 車 산업에 정책금융 3兆 지원… 내수 촉진 위해 전기차 보조금도 확대 랭크뉴스 2025.04.09
45880 트럼프, ‘방위비 인상’ 포문 열다…취임 뒤 첫 한미 정상 통화 랭크뉴스 2025.04.09
45879 "성공? 하버드 아닌 한국 식료품점서 답 찾았다" [안혜리의 인생] 랭크뉴스 2025.04.09
45878 백악관 “보복은 실수, 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받아쳐”···9일부터 중국에 104% 관세 부과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