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무역전쟁 신호탄에 시장 패닉
미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애플 7.3%↓·테슬라 10.5%↓
미국 뉴욕증시가 4일(현지시각) 글로벌 무역전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급락했다. 핀비즈맵 갈무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폭탄에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4일(현지시각) 충격에 휩싸였다. 미국 뉴욕증시는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고, 유럽증시도 전날보다 낙폭을 키웠다. 채권 금리는 이틀째 급락세를 이어갔고, 국제유가도 연이틀 폭락하며 4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5%(2231.07) 급락한 3만8314.8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5.97%(322.44) 떨어진 5074.0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5.82%(962.82) 하락한 1만5587.79에 각각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팬데믹 확산 공포가 덮친 2020년 3월16일(-12%) 이후 5년 만에 일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해 12월16일 고점 이후 20% 넘게 하락하며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했다. 지난 3∼4일 이틀간 낙폭만 11%를 넘어섰다.

미국 뉴욕증시가 4일(현지시각) 글로벌 무역전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충격에 휩싸였다. 이날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5.5%(2231.07) 급락한 3만8314.86에 거래를 마쳤다. EPA 연합뉴스

다우 지수는 지난 12월4일 고점 대비 15% 빠지며 조정 구간에 들어섰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정책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위험이 커지면서 미 증시는 이틀 연속 폭락 장세가 이어지며 팬데믹 확산 초기 패닉 장세 이후 최악의 한 주를 보냈다.

주간으로는 다우 지수가 7.9%, S&P 500 지수가 9.1% 떨어졌고, 나스닥 지수는 10% 하락했다. 3대 지수 모두 주간 기준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날 미국 증시가 개장하기 3시간 여 전 중국 정부의 보복 관세 방침이 중국 국영 채널인 CCTV 방송을 통해 발표됐다.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발효 시점은 4월10일로 못박았다. 미국의 조처에 대해선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방침도 밝혔다. 이에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경기침체 공포가 금융시장을 덮쳤다. 여기에 “아직 정책 변환을 얘기하기엔 이르다”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느긋한 발언까지 전해지면서 시장에선 투매가 이어졌다.

최근 뉴욕증시 조정이 ‘거품 논란’이 일었던 기술주를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이날 급락 장세는 경기순환주나 경기방어주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이어졌다. 시총 1위 애플과 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는 이날 각각 7.3% 급락했고, 테슬라는 10.5% 폭락했다.

유럽 증시도 이틀째 폭락세를 이어갔다. 주요국 증시의 낙폭은 전날보다 더 컸다. 독일 DAX40 -4.66%, 프랑스 CAC40 -4.26%, 영국 FTSE100 -4.95% 등 주요국 증시가 모두 5% 안팎 급락해 거래를 마쳤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장 중 한때 4% 밑으로 떨어지며 6개월 만에 저점 기록을 경신했다. 미 달러화 가치는 반등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화 인덱스는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102.9로 전장 대비 0.8% 상승했다.

관세전쟁이 촉발한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도 불구하고 국제 금값은 3% 가까이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024.2달러로 전장보다 2.9% 하락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최근 금값이 랠리를 이어간 가운데 연이틀 이어진 글로벌 증시 폭락으로 유동성 부족에 직면한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차입 투자자가 마진콜 상황(추가 증거금 요구)에 직면한 경우 현금 확보를 위해 안전자산인 금을 매도하기 때문이다.

국제유가도 이틀째 급락하며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이날 ICE 선물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브렌트유 종가는 배럴당 65.58달러로 전장보다 6.5%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종가는 배럴당 61.99달러로 전장 대비 7.4% 급락했다. 이는 팬데믹 시기인 지난 2021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글로벌 경기침체와 함께 원유 수요 감소를 가져올 것이란 전망이 유가를 끌어내렸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12 "백종원 만나게 해줄게"…더본코리아, 女지원자 술자리 면접 랭크뉴스 2025.04.08
45311 귀갓길 쓰러진 50대 목수, 6명에게 새 삶 주고 하늘로 랭크뉴스 2025.04.08
45310 故장제원 아들 노엘 "우울하고 비통한 시간…더 치열하게 살겠다" 랭크뉴스 2025.04.08
45309 트럼프, 각서 통해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차단 결정 재검토" 랭크뉴스 2025.04.08
45308 트럼프 "맞불 중국에겐 또 맞불, 다른 국가와는 대화"...협상 가이드라인 제시한듯 랭크뉴스 2025.04.08
45307 [Today’s PICK] 대학 등록금 ‘견인 효과’…교육 물가 16년새 최고 랭크뉴스 2025.04.08
45306 백악관발 가짜뉴스에 미 증시 요동…"관세 90일 유예 아냐" 랭크뉴스 2025.04.08
45305 뉴욕 증시 '관세 롤러코스터'에 잠 못자는 서학개미들…급락→급등 반복 랭크뉴스 2025.04.08
45304 트럼프 고집에… 증권가 “코스피 저점 예측 의미 없다, 진통 계속될 것” 랭크뉴스 2025.04.08
45303 멕시코 대통령 "대미 보복관세 원치 않지만, 배제하진 않아" 랭크뉴스 2025.04.08
45302 “트럼프, 관세 90일간 유예 검토? 가짜뉴스”… 美 증시 ‘출렁’ 랭크뉴스 2025.04.08
45301 트럼프, 中에 50% 추가 관세 위협…"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랭크뉴스 2025.04.08
45300 트럼프 “中 보복관세 취소 안하면 50%추가관세…다른 나라완 즉시 협상” 랭크뉴스 2025.04.08
45299 이재명, ‘권력구조 개편’ 개헌 보류…계엄요건 강화 등은 일부 수용 랭크뉴스 2025.04.08
45298 당뇨 환자 신장 진료 함께 받으면 콩팥병 진행 늦춘다 랭크뉴스 2025.04.08
45297 “맞짱 뜨자” 대한항공 기장·부기장 탄핵두고 주먹 다짐 랭크뉴스 2025.04.08
45296 한남동 관저 퇴거 미루는 윤석열, 무슨 꿍꿍이인가 [사설] 랭크뉴스 2025.04.08
45295 용산? 청와대? 세종? 광화문? 차기 대통령 집무실 어디일까 랭크뉴스 2025.04.08
45294 이천수 “건진법사 공천 뒷돈 현장 목격” 랭크뉴스 2025.04.08
45293 “관세 소나기 피하자” 서학개미, 주식에서 채권 ‘대이동’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