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인천공항 패스트 트랙 확대해야" vs "특혜는 안된다" 의견 분분


(서울=연합뉴스) 성연재 기자 = "누군 소리 지를 줄 몰라서 안 지르는 줄 알아?"

최근 인천공항 출국장 앞에서 한 연예인이 출국하려다 경호원과 일반인 승객 사이에 격한 말싸움이 오갔다.

그룹 NCT 위시 멤버가 출국하는 과정에서 비켜달라고 요구하는 경호원과 일반인 승객이 고함을 지르며 싸운 것이다.

가뜩이나 붐비는 출국장이 연예인들과 몰려든 팬들 탓에 혼잡이 극에 달했다는 후문이다.

문제는 이러한 마찰이 한두 번이 아니라는 데 있다.

K-컬처 덕분에 한국인 연예인들의 출입국은 거의 매일 이어진다.

같은 날 김포국제공항에서도 SM엔터테인먼트 8인조 신인 그룹 하츠투하츠(Hearts2Hearts)가 출국하는 과정에서 극성팬이 몰려들며 극심한 혼잡이 빚어졌다.

대부분 언론이 일회성 연예 관련 기사로 처리했지만, 관광업계 쪽에서는 이를 단순히 웃고 넘어갈 수만은 없는 사안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관광업계에서는 출국장 혼잡을 피하기 위해 차라리 연예인도 일정 비용을 받고 패스트 트랙(우선 출국 서비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온다.

현재 인천공항에서는 만 7살 미만 유아나 임산부 등 교통 약자를 동반하면 최대 3인까지 패스트 트랙을 이용할 수 있다.

오는 6월부터는 패스트 트랙 제도가 확대돼 미성년 자녀 3명 이상 가구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하츠투하츠의 김포국제공항 출국길에 몰려든 인파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속내가 복잡하다.

공사는 지난해 말 연예인 출국 시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비용을 받고 연예인들의 패스트 트랙 이용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연예인만 특혜를 받는 이유가 뭐냐'는 식의 비판이 일자 계획을 철회했다.

공사 관계자는 "일반 승객들이 연예인들 때문에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잦아 패스트 트랙을 도입하려고 했었다"면서 "연예인들에게 비용을 내고 패스트 트랙을 이용하게 하면 일반인 승객의 불편도 줄어들 것으로 판단했는데 여론이 좋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런데 최근 패스트 트랙 허용 범위가 다자녀 가족까지 확대된데다 연예인 출국 시 혼잡과 갈등이 심화하면서 연예인 패스트 트랙 허용 여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인천공항의 패스트 트랙은 현재 교통약자에 한해 극히 소극적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세계 유수의 허브 공항 상당수는 일정 비용을 지불한 사람 또는 항공사의 높은 티어(등급) 또는 비즈니스 승객 이상에게는 빠른 출입국 절차를 밟게 하는 패스트 트랙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붐비는 인천공항 [사진/이진욱 기자]


인천공항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세계 30대 공항(여객 송출 기준) 가운데 비즈니스 승객을 포함한 패스트 트랙을 운영하지 않는 공항은 인천공항이 유일하다.

상당수 공항은 고객 유치를 위해 주차장에서 의전실과 게이트 앞으로 바로 갈 수 있는 '프리미엄 서비스'까지 내걸고 있다.

심지어는 공산권인 베트남마저 일반승객들도 미화 20달러가량의 '웃돈'을 주면 패스트 트랙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자는 최근 베트남을 다녀오면서 하노이 공항에서 패스트 트랙을 신청했는데 입국자가 몰리는 시간엔 2시간 가까이 걸릴 수 있는 입국 심사 시간이 1분도 걸리지 않았다.

하노이공항의 패스트 트랙. 공항 담당자가 직접 영접을 나와 빠른 창구로 안내하는 모습. [사진/성연재 기자]


패스트 트랙 도입 문제는 국토부가 주관하는 출입국간소화위원회 통과가 우선이다.

이 위원회는 국토부와 법무부, 세관 등도 얽혀 있지만, 키는 정치권에 있다.

이학재 인천공항 사장은 "해당 부처가 움직이려면 결국 정치권이 해결해줘야 할 문제며 정치권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공항은 국민 정서가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판단이다.

연예인 출입국 시 혼잡에 불만을 표출하지만 막상 패스트 트랙을 시행하려고 하면 '나도 바쁜데 누구를 위해 운영하느냐'는 의견이 많다는 것이다.

인천공항공사는 그러나 만약 패스트 트랙 운영으로 벌어들인 돈을 출입국 시설과 인력 확충 등에 활용한다면 일반 승객에게도 혜택이 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학재 사장은 "연예인들로부터 비용을 받아 일반 승객들을 위해 쓴다면 모두가 좋은 일이 될 것"이라면서 "무엇보다 국내 기업과의 계약을 위해 입국하는 바이어들이 휴가철 등 공항이 복잡할 때 일반 승객들과 똑같이 줄을 서게 하는 것도 무리가 있어 비용을 내고 이용하게 하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31 “한국은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나라”… 평화적 시위에 감명받은 외국인들 랭크뉴스 2025.04.06
44730 우원식 "개헌 국민 투표" 제안에 민주 "내란 종식이 먼저" 랭크뉴스 2025.04.06
44729 日쓰시마 해역서 환자이송 헬기 추락…6명중 3명 심정지 랭크뉴스 2025.04.06
44728 ‘재난구조 44년’ 베테랑 조종사였는데… “노후 헬기 교체 시급” 랭크뉴스 2025.04.06
44727 헌재서 ‘거짓의 성’ 쌓은 윤석열…제 거짓말에 스스로 무너졌다 랭크뉴스 2025.04.06
44726 월요일 일교차 15도 이상… 서울 낮 최고 20도 랭크뉴스 2025.04.06
44725 거세지는 트럼프 폭풍, 한중일 경제협력 활용해야[김광수특파원의 中心잡기] 랭크뉴스 2025.04.06
44724 우원식이 불붙인 개헌론… 민주당 내부 ‘비토론’이 관건 랭크뉴스 2025.04.06
44723 헌재 尹파면 결정문 결론 “민주공화국 주권자는 국민” 강조 랭크뉴스 2025.04.06
44722 우원식 "대선·개헌 투표 동시에 하자"…관건은 양당 지도부 동의 랭크뉴스 2025.04.06
44721 "트럼프, 나랏일 손 떼라" 美전역서 폭발…1400건 집회 열렸다 랭크뉴스 2025.04.06
44720 트럼프 관세 후폭풍… 프랑스 “美 빅테크, 데이터 규제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06
44719 우연히 태운 승객이 형수…유산 다툼에 동전 집어던진 택시기사 랭크뉴스 2025.04.06
44718 공장서 30대 직원 심정지 사고…공식입장 없는 아워홈 랭크뉴스 2025.04.06
44717 "이재명 대 윤석열 구도로 어떻게 대선 치르나"... 尹과 '손절' 봇물 랭크뉴스 2025.04.06
44716 봉인 풀린 수사들‥선거법 공소시효 4개월 남아 랭크뉴스 2025.04.06
44715 전광훈 주말 집회 참석자 평소 절반… 극우 세력, 동력 잃고 갈라서나 랭크뉴스 2025.04.06
44714 유시민 "국민의힘 대선후보 내지 말아야…내봐야 안될 것" 랭크뉴스 2025.04.06
44713 국회의장 “대선·개헌 국민투표 동시에 하자”···친명계 중심 반발 랭크뉴스 2025.04.06
44712 李 이르면 8일 당대표 사퇴… ‘통합형 캠프’ 꾸려 경선 출격 랭크뉴스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