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부부 돌아갈 아크로비스타 가보니
김건희 운영하던 '코바나콘텐츠' 흔적도
경비 직원들 분주..."주민들 불편" 취재 제한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파면을 결정한 4일 윤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떠나 이곳 아크로비스타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상윤 기자


“대통령님 계속 힘내시라고 왔어요”-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

4일 오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사저로 옮기기 전까지 살았던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주변엔 그의 지지자와 유튜버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아크로비스타 내 상가(아케이드)에는 김건희 여사가 운영한 ‘코바나콘텐츠’ 안내 표지판 등 윤 전 대통령 부부 흔적을 사진으로 남기려는 이들도 보였다. 윤 전 대통령이 한남동 관저를 떠나 조만간 이곳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아지자 주변 상인들은 윤 전 대통령의 복귀에 대한 언급은 대부분 피하면서 “(집회 등으로) 시끄러워질까 걱정된다”며 불편한 마음을 내비쳤다.

이날 윤 전 대통령이 한남동 관저를 떠나 돌아오게 될 아크로비스타 주변 이웃들은 파면된 대통령의 복귀가 썩 달갑지만은 않은 모습이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몰려올 경우 각종 잡음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경호·경비 등으로 불편을 겪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아크로비스타 주변에서 학원을 운영하는 최모씨는 "한남동 관저로 들어가기 전까지 경호를 위한 교통 통제 때문에 주민들 모두가 괴로워했다"며 "여기로 돌아오지 말고 다른 곳에 사저를 마련해 경호에 따른 주민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운영하는 한 상인은 "아직 별다른 소란은 없지만 소음 피해가 커질 것 같아 걱정"이라고 했다.

尹 지지자 “대통령님 계속 힘내시라고 왔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파면을 결정한 4일 윤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상가에 김건희 여사가 운영하던 기업 코바나콘텐츠의 간판이 붙어 있다. 이곳 상가 지하1층에 사무실을 뒀던 코바나콘텐츠 자리는 현재 다른 업체가 사용하고 있지만, 간판 등 표식은 여전히 남아있었다. 하상윤 기자


실제 이날 아크로비스타와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인 교대역 6번 출구에서 아크로비스타로 향하는 오르막길엔 윤 전 대통령 지지자로 보이는 이들이 목에 태극기를 두르고 붉은 모자를 착용한 채 서성이거나, 유튜버로 보이는 시민이 휴대폰이 장착된 삼각대를 손에 쥔 채 방송하는 듯한 모습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정오를 넘어서자 '반국가세력 척결'이 적힌 피켓과 태극기를 들고 아파트 앞에 등장하는 이들도 속속 나타났다. 이들은 “대통령님 계속 힘내시라고 왔다”고 말했다.

이에 이곳 경비원들도 건물 입구를 맴도는 취재진과 지지자들을 분산하느라 분주히 움직였다. 한 언론사 기자는 경비원들의 자제 요청에도 주민 인터뷰를 계속 시도하다 경찰에 신고돼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오후 4시쯤엔 윤 전 대통령 경호 관련 차량으로 보이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아파트 입구로 들어섰다. 실제 경호차량인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주민들 시선은 집중됐다. 한 주민은 "차에서 양복 입은 사람들이 여럿 내렸다"고 말했다.

돌아오는 윤 전 대통령, 우호적인 주민들도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입구에서 경비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곽주은 인턴기자


윤 전 대통령 부부의 복귀를 담담히 받아들이는 주민도 여럿 있었다. 주민 김모씨는 “대통령 후보가 되기 전까지만 해도, 주민들 사이에선 그저 반려견 산책을 자주 시키던 유명인사 정도였다”고 했다. 여전히 윤 전 대통령 부부에 우호적인 주민들도 많을 것이라는 게 김씨 설명이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임 후에도 반년 가까이 이곳에 머물며 용산 대통령실로 출퇴근했다. 2022년 12월 윤 전 대통령 내외가 한남동 관저로 들어갈 때 주민들은 윤 대통령 부부와 반려견 사진을 대형 액자로 만들어 선물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07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 "尹정부 실패, 통렬히 반성·사죄" 랭크뉴스 2025.04.12
47506 '햄버거 회동' 김문수·나경원 …“어느 후보와도 협력" 랭크뉴스 2025.04.12
47505 “나경원, 윤석열 재림인가···‘MB 아바타’ 시즌2 보는 듯” 랭크뉴스 2025.04.12
47504 민주당 “한덕수, 대선 출마 간 그만 보고 입장 밝히길" 랭크뉴스 2025.04.12
47503 尹 지지자들 광화문·서초동 집결… “사기 탄핵, 윤 어게인” 랭크뉴스 2025.04.12
47502 제주 고교 교사 "4·3 유전자" 발언 논란에 학교 측 "깊이 사과" 랭크뉴스 2025.04.12
47501 ‘中의 흙수저’가 던진 ‘BYD 쇼크’, 주유하듯 5분 충전에 400km 달려[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5.04.12
47500 백악관이 오바마 초상화 떼고 로비에 건 그림 정체는? 랭크뉴스 2025.04.12
47499 산불 성금 1300억원 모였다···정국 10억, 임영웅 4억 기부 랭크뉴스 2025.04.12
47498 尹 가르고 나타나는 明? 디플로맷, ‘유력 주자’ 이재명 조명 랭크뉴스 2025.04.12
47497 광명 붕괴사고 하루 경과…악천후 속 실종자 수색작업 총력 랭크뉴스 2025.04.12
47496 명동 대신 성수, 북촌 대신 은평?…"카페투어하러 한국 와요" 랭크뉴스 2025.04.12
47495 토종 OTT, 글로벌 태풍에 맞설 날개와 비행법 찾을까 [김희경의 컬처 인사이트] 랭크뉴스 2025.04.12
47494 민주 "尹, 개선장군 행세하며 '퇴거쇼'…퇴근시간 퍼레이드 민폐" 랭크뉴스 2025.04.12
47493 한덕수·토허제·명태균?…오세훈 '돌연 불출마'에 경선 구도 '출렁' 랭크뉴스 2025.04.12
47492 젤렌스키 "우크라 참전 중국인 최소 수백 명"…연일 中 참전설 제기 랭크뉴스 2025.04.12
47491 상관 폭행하고 “야 이 XX야” 모욕…육군 내 하극상 징역형 랭크뉴스 2025.04.12
47490 이재명 후원회 출범...회장은 '비상계엄 저항한 5·18 유가족' 랭크뉴스 2025.04.12
47489 2030 "얼어 죽어도 미국장"…코스피∙코스닥 '고령화 증시' 랭크뉴스 2025.04.12
47488 강원 고성 DMZ 산불 재발화… 헬기 2대 투입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