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구속 등에 사법·정치 신뢰 잃자 협박·폭행·분신 이어져
전문가들 "선동 멈추고 통합 시도해야 광장의 폭력 줄어들 것"


폭력과 난동이 휩쓸고 지나간 서부지법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되자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방법원 내부로 난입해 불법폭력사태를 일으킨 19일 오후 서부지법 내부의 한 사무실과 집기류 등이 파손돼 있다. 2025.1.19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계엄 선포부터 파면 선고까지 지난 123일간 탄핵 찬반을 둘러싼 극한 대립이 협박과 폭행, 방화와 분신 등으로 번지는 일이 끊이지 않았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탄핵 정국은 일단락됐지만, 이런 극단 행동의 불씨가 쉽사리 꺼질지는 미지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일부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극단성을 띠기 시작한 것은 지난 1월 15일 윤 전 대통령이 체포되면서부터다. 그날 저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있는 정부과천청사 인근에서 50대 남성이 가연성 물질을 이용해 분신한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이 구속된 1월 19일에는 영장을 발부한 서울서부지법이 유린당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영장 담당 판사를 찾겠다며 유리창과 건물 외벽을 부수고 청사에 침입해 방화를 시도했다.

윤 전 대통령에게 불리한 결정을 내린 판사나 진보 성향 헌법재판관, 야당 정치인을 향한 살해 협박글은 부지기수다. 경찰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헌법재판관 등 헌재 협박 91건, 서부지법 관련 협박 83건을 수사 중이다.

지난달 14일에는 40대 남성 유튜버가 윤 전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지 못할 경우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 등을 살해하고 분신하겠다는 글을 올려 경찰에 신고당했다. 이 유튜버는 탄핵심판 선고일 직전까지 헌재 앞에서 버젓이 방송했다.

지난달 20일에는 헌재 앞에서 윤 전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에게 누군가 날계란을 투척해 백혜련 의원과 이건태 의원이 피해를 보기도 했다.

서울 도시건축전시관 옥상서 윤 대통령 지지자 분신 시도
(서울=연합뉴스) 7일 낮 서울 중구 도시건축전시관 옥상에서 소방관들이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로 추정되는 한 남성의 분신 시도 현장을 수습하고 있다.
경찰 등에 따르면 이 남성은 전시관 옥상에서 유인물을 뿌린 뒤 몸에 불을 붙였다. 2025.3.7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email protected]


폭력과 자해를 서슴지 않는 이런 극단 행위의 기저에는 정치적 양극화뿐 아니라, 사법·정치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깔렸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지난 총선에서 부정선거가 자행됐다거나, 윤 전 대통령이 허위 사유로 탄핵 소추됐다는 등 제도의 신뢰를 허무는 주장이 지지자들의 충동성과 만나며 벌어진 결과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탄핵정국이 키운 극단 행위 가능성이 조기 대선 기간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하려면 정치권이 먼저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극단 행위는 결국 우리 사회의 고질적 문제인 정치적 양극화 때문"이라며 "제도 정치권에서 통합을 시도해야 비로소 광장에서도 폭력과 혐오가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당장은 무엇보다 윤 전 대통령의 태도가 중요하다"며 "탄핵 선고에도 지지자들을 선동하면 극단 행위는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24 차에 치인 거북 구조한 베스트셀러 작가... "거북은 느리지만 끝내 회복한다" 랭크뉴스 2025.04.05
44323 "봄바람 휘날리며" 심장 멎는다…돌연사 막는 4가지 습관 랭크뉴스 2025.04.05
44322 尹, 관저서 나경원 1시간 독대 “고맙다, 수고했다” 랭크뉴스 2025.04.05
44321 "전광훈 못 믿어" vs "그래도 힘 실어야"… 보수단체 단일대오 균열조짐 랭크뉴스 2025.04.05
44320 국민 10명 중 7명 "조기 대선, 尹은 자숙해야" 랭크뉴스 2025.04.05
44319 강호동이 샀던 가로수길 건물, ‘166억원’ 매수자는 MC몽 랭크뉴스 2025.04.05
44318 형사 불소추 특권 사라진 윤석열, 시민단체 “선거법 위반·여론조사 왜곡 수사 촉구” 랭크뉴스 2025.04.05
44317 제주섬 자연과 사람 녹아들어 ‘맨도롱’한 그 맛 이윤화의 길라잡이 맛집 랭크뉴스 2025.04.05
44316 콧줄 꽂고 누워 있기 싫어, 유언장을 쓴다 [.txt] 랭크뉴스 2025.04.05
44315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나…“어려운 시기에 역할 고맙다” 랭크뉴스 2025.04.05
44314 지칠 때 오세요…산골짜기 망경산사 랭크뉴스 2025.04.05
44313 다시 광화문으로 "파면은 끝 아닌 시작‥내란 세력 처벌해야" 랭크뉴스 2025.04.05
44312 서울경찰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하향 조정 랭크뉴스 2025.04.05
44311 48명 살해한 러 '체스판 살인마' "추가 11건 자백 준비" 랭크뉴스 2025.04.05
44310 탄핵 뒤 첫 광화문 집회 시민들 “윤 파면 기쁘지만, 끝이 아닌 시작”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5
44309 외신이 지적한 향후 과제는 '통합'… "대통령 떠났지만 더 큰 분열 남았다" 랭크뉴스 2025.04.05
44308 “대통령 파면하는 게 민주주의냐” 김문수, 대선 출마 시사 랭크뉴스 2025.04.05
44307 "트럼프 불신하는 독일, 뉴욕 보관 중인 1200t 금괴 인출 검토" 랭크뉴스 2025.04.05
44306 대통령 탄핵 뒤 첫 광화문 집회…시민들 “끝이 아닌 시작”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5
44305 골리앗 이긴 다윗...성심당, '빵'으로 CJ 눌렀다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