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지난해 9월 5일 상하이의 고층빌딩 모습. EPA=연합뉴스
"아파트를 현금으로 구매하시면 약 1000달러(약 147만원) 상당의 금괴를 드립니다!" "옌타이에 있는 휴가용 별장도 얹어드려요!"


이는 부동산 불경기가 4년 이상 이어진 중국에서 부동산 업체들이 내놓은 갖가지 미끼 상품이다. 지난해 중국 저장성의 한 중개업체와 베이징에 본사가 있는 또 다른 부동산 업체는 아파트를 구입하는 고객에게 각각 금괴와 별장을 주겠다고 발표했다. 휴대전화나 제트기 회사 지분을 주는 곳도 있다. 허난성에서는 마늘·밀 등 농작물을 부동산 계약금으로 내도 받아준다. 실제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센트럴 차이나 그룹'은 아파트 30채 매각 계약금으로 마늘 430t을 받았다.

광둥성 후이저우에선 여성 중개업자 15명이 소개팅 앱을 통해 남성 31명에게 접근한 뒤 결혼을 조건으로 아파트 구매를 유도해 사회 문제가 됐다. 중국판 틱톡 더우인에서는 중개업자들이 팔리지 않는 집에서 라이브 방송으로 춤·노래·개그를 선보이며 아파트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이런 사례들은 중국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보여주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이코노미스트 최신호가 보도했다.

지난 2021년 11월 5일 중국 베이징 아파트 단지 건설 현장 근처를 사람들이 걷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업체들이 각종 유인책으로 부동산 판매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중국 부동산 시장이 코로나 19 때부터 시작된 장기 침체에서 헤어나지 못해서다. 중국 대도시의 부동산 중개업소 중 10%는 폐업했다. 중국의 한 부동산 중개인은 이코노미스트에 "3년 만에 수입이 반 토막 났다"고 하소연했다.

"상량식에 요란한 축하 왜?"…"대출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선 최근 요란한 상량식이 열리고 있다고 외교잡지 더디플로맷이 보도했다. 중국 란저우의 한 아파트 단지는 '봉정대길(封頂大吉)'라고 쓴 거대한 붉은 현수막을 내걸었다.

중국의 상량식. 상량식은 요즘 건물의 뼈대가 갖춰진 것을 축하하는 행사로, '봉정대길'(封顶大吉)이라고 적힌 빨간 현수막을 건물에 내거는 것이 관례다. 사진 더우인 캡처

왜 이런 일을 할까. 보통 중국 금융기관들이 상량식을 부동산 대출을 검토할 때 지표로 삼기 때문이다. 문제는 일부 개발업체들이 아직 다 짓지도 않은 아파트를 파는 경우가 있단 것이다. 즉, 상량식을 했더라도 부실 아파트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구매자가 법적 대응을 하기란 쉽지 않다고 한다. 루팅 노무라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더 디플로맷에 "사전 판매된 미완성 아파트가 중국에서 2000만채에 달한다"고 전했다.

외국계 큰 손들은 발을 빼고 있다. 시장 분석업체 MSCI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외국 자본의 신규 부동산 매입 규모는 59억 달러(약 8조 6000억원)였던 반면, 매각 금액은 69억 달러(약 10조원)였다. 지난달 29일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블랙록은 상하이 내 27층 오피스 건물인 트리니티 플레이스를 매입가의 34%에 불과한 약 9억 위안(약 1820억원)을 받고 울며 겨자 먹기로 매각했다.

中4대 국유은행에 공적자금 105조원 수혈 수년째 이어지는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자칫 중국판 '리먼 브러더스' 사태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 정부는 4대 국유은행에 5200억 위안(약 105조4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자본확충에 나섰다고 지난달 31일 중국중앙TV(CCTV)가 보도했다.

당국이 부동산 구조조정을 계속해 나가면서 위기가 금융 시스템으로 옮겨붙지 않게 '방화벽'을 설치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약발이 먹힐지는 미지수다. 중국 부동산 개발사의 부채 규모가 130조 위안(약 2경 6300조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새 발의 피'라는 지적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코노미스트에 "내년까지 중국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기 어렵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142 [속보]윤석열, 사저 출발···검은색 경호차량 타고 30초 만에 법원 도착 랭크뉴스 2025.04.14
48141 이재명 “전국민 AI 무료 사용…AI 투자 100조원 시대 열 것” 랭크뉴스 2025.04.14
48140 [속보]"中, 4월4일부터 희토류 수출 중단" 랭크뉴스 2025.04.14
48139 원·달러 환율 1428원 출발…“1410원대 진입 시도할 것” 랭크뉴스 2025.04.14
48138 [단독] 윤석열 ‘나랏돈 잔치’…500만원 캣타워·2천만원 욕조까지 랭크뉴스 2025.04.14
48137 한동훈 "내 정치는 尹 지원도 못 받아... 국민 잘 되시라고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14
48136 한덕수 8.6%, 한동훈 제치고 3위…이재명 48.8%·김문수 10.9%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4.14
48135 윤 '내란 혐의' 첫 공판‥이 시각 중앙지법 랭크뉴스 2025.04.14
48134 봄이야? 겨울이야?…무주 덕유산 12㎝ 눈 내려 랭크뉴스 2025.04.14
48133 진열된 빵에 혀를… 서울 유명 빵집 위생 논란 랭크뉴스 2025.04.14
48132 이광재, 경선 불출마‥"압도적 승리 위해 모든 것 바칠 것" 랭크뉴스 2025.04.14
48131 “승무원도 몰라”…도착지 모르는 ‘미스터리 항공권’ 완판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14
48130 [속보]이재명 "AI투자 100조 시대 열겠다"…AI단과대·병역특례 공약 랭크뉴스 2025.04.14
48129 이재명 48.8%…김문수 10.9%, 한덕수 8.6%, 한동훈 6.2%[리얼미터](종합) 랭크뉴스 2025.04.14
48128 "이게 차기 대통령 후보 최강 라인업"...최악 딥페이크 판친다 랭크뉴스 2025.04.14
48127 굿바이 이복현?…‘직’ 건다더니 광폭 행보 랭크뉴스 2025.04.14
48126 [Why] 美 관세 폭탄에도 “두렵지 않다”…시진핑이 ‘강경 리더십’ 굽히지 않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14
48125 [단독] "600만원이면 돌풍 후보로" 선거 여론조사 뒤 '검은 커넥션' 랭크뉴스 2025.04.14
48124 출마 안한 한덕수 8.6%…이재명 48.8% 독주 랭크뉴스 2025.04.14
48123 이제 맥주 양조사 아냐... 리튬사업한다며 코스닥 상장사 관리종목 만든 세력, 제주맥주 입성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