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지난해 9월 5일 상하이의 고층빌딩 모습. EPA=연합뉴스
"아파트를 현금으로 구매하시면 약 1000달러(약 147만원) 상당의 금괴를 드립니다!" "옌타이에 있는 휴가용 별장도 얹어드려요!"


이는 부동산 불경기가 4년 이상 이어진 중국에서 부동산 업체들이 내놓은 갖가지 미끼 상품이다. 지난해 중국 저장성의 한 중개업체와 베이징에 본사가 있는 또 다른 부동산 업체는 아파트를 구입하는 고객에게 각각 금괴와 별장을 주겠다고 발표했다. 휴대전화나 제트기 회사 지분을 주는 곳도 있다. 허난성에서는 마늘·밀 등 농작물을 부동산 계약금으로 내도 받아준다. 실제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센트럴 차이나 그룹'은 아파트 30채 매각 계약금으로 마늘 430t을 받았다.

광둥성 후이저우에선 여성 중개업자 15명이 소개팅 앱을 통해 남성 31명에게 접근한 뒤 결혼을 조건으로 아파트 구매를 유도해 사회 문제가 됐다. 중국판 틱톡 더우인에서는 중개업자들이 팔리지 않는 집에서 라이브 방송으로 춤·노래·개그를 선보이며 아파트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이런 사례들은 중국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보여주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이코노미스트 최신호가 보도했다.

지난 2021년 11월 5일 중국 베이징 아파트 단지 건설 현장 근처를 사람들이 걷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업체들이 각종 유인책으로 부동산 판매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중국 부동산 시장이 코로나 19 때부터 시작된 장기 침체에서 헤어나지 못해서다. 중국 대도시의 부동산 중개업소 중 10%는 폐업했다. 중국의 한 부동산 중개인은 이코노미스트에 "3년 만에 수입이 반 토막 났다"고 하소연했다.

"상량식에 요란한 축하 왜?"…"대출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선 최근 요란한 상량식이 열리고 있다고 외교잡지 더디플로맷이 보도했다. 중국 란저우의 한 아파트 단지는 '봉정대길(封頂大吉)'라고 쓴 거대한 붉은 현수막을 내걸었다.

중국의 상량식. 상량식은 요즘 건물의 뼈대가 갖춰진 것을 축하하는 행사로, '봉정대길'(封顶大吉)이라고 적힌 빨간 현수막을 건물에 내거는 것이 관례다. 사진 더우인 캡처

왜 이런 일을 할까. 보통 중국 금융기관들이 상량식을 부동산 대출을 검토할 때 지표로 삼기 때문이다. 문제는 일부 개발업체들이 아직 다 짓지도 않은 아파트를 파는 경우가 있단 것이다. 즉, 상량식을 했더라도 부실 아파트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구매자가 법적 대응을 하기란 쉽지 않다고 한다. 루팅 노무라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더 디플로맷에 "사전 판매된 미완성 아파트가 중국에서 2000만채에 달한다"고 전했다.

외국계 큰 손들은 발을 빼고 있다. 시장 분석업체 MSCI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외국 자본의 신규 부동산 매입 규모는 59억 달러(약 8조 6000억원)였던 반면, 매각 금액은 69억 달러(약 10조원)였다. 지난달 29일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블랙록은 상하이 내 27층 오피스 건물인 트리니티 플레이스를 매입가의 34%에 불과한 약 9억 위안(약 1820억원)을 받고 울며 겨자 먹기로 매각했다.

中4대 국유은행에 공적자금 105조원 수혈 수년째 이어지는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자칫 중국판 '리먼 브러더스' 사태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 정부는 4대 국유은행에 5200억 위안(약 105조4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자본확충에 나섰다고 지난달 31일 중국중앙TV(CCTV)가 보도했다.

당국이 부동산 구조조정을 계속해 나가면서 위기가 금융 시스템으로 옮겨붙지 않게 '방화벽'을 설치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약발이 먹힐지는 미지수다. 중국 부동산 개발사의 부채 규모가 130조 위안(약 2경 6300조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새 발의 피'라는 지적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코노미스트에 "내년까지 중국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기 어렵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44 트럼프, 관세 ‘부메랑’ 우려에 “인플레 없다”…연준엔 금리인하 압박 랭크뉴스 2025.04.07
45243 대한항공 조종사들, 호주 호텔서 주먹질…'尹 탄핵' 놓고 싸움 랭크뉴스 2025.04.07
45242 5년 생존율 암보다 낮은 '이 병'··· 짬뽕 국물을 조심하라? 랭크뉴스 2025.04.07
45241 트럼프 “유가·금리·식품값 내려가···인플레이션 없다” 랭크뉴스 2025.04.07
45240 “시간 빠듯”... 安·洪 등 국민의힘 주자들, 대선 출마 선언 예고 랭크뉴스 2025.04.07
45239 트럼프발 ‘R의 공포’ 급습…증시, 폭싹 주저앉았다 랭크뉴스 2025.04.07
45238 "저희 고등학생인데요"…수상한 중국인 2명, 휴대전화 확인해 보니 랭크뉴스 2025.04.07
45237 [속보] 미국도 트럼프 발 블랙 먼데이…S&P500 4.19↓ 나스닥 4.63%↓ 랭크뉴스 2025.04.07
45236 ‘개헌’ 거리 둔 민주, 힘 실은 국힘…다른 셈법에 대선변수 안 될 듯 랭크뉴스 2025.04.07
45235 “산불 피해 복구에 써주세요”… 재난 구호성금 1124억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4.07
45234 "다시 때가 됐다"... 민주당, '尹 부부' 겨냥 명태균특검법 재가동 랭크뉴스 2025.04.07
45233 검, ‘공천개입’ 김건희 소환 방침···대선 국면 돌입 전 ‘윤 부부 조사’ 마무리 전망도 랭크뉴스 2025.04.07
45232 [단독] 착륙까지 이어진 선명한 ‘엔진 소리’…“추력 일부 살았다” 랭크뉴스 2025.04.07
45231 [단독] 마지막 ‘2분 40초’ 영상 첫 공개…“한계까지 절박한 선회” 랭크뉴스 2025.04.07
45230 일부러 죄짓고 교도소 가는 일본 노인들 랭크뉴스 2025.04.07
45229 다이먼 JP모건 CEO “트럼프 관세, 美 성장 둔화‧인플레 자극할 것” 랭크뉴스 2025.04.07
45228 '산불 사태' 국민성금 1천124억원…역대 재난구호금 최대 규모 랭크뉴스 2025.04.07
45227 "이러려고 뽑은 게 아닌데” ‘트럼프 지지’ 월가 거물도 돌아섰다 랭크뉴스 2025.04.07
45226 '공수처' 탓만 하는 폭도들‥헌법재판소 '불복' 선동하는 전광훈 랭크뉴스 2025.04.07
45225 트럼프에 초상화 혹평받은 英화가 "사업에 타격" 랭크뉴스 2025.04.07